|
|




|
|
|
|
|
|
|
|
|
|
|
|
일단 위치를 알아보자.
식방 주방이 확 트여 있어 요리하는 모습도 지켜볼 수가 있다.
그런데 색깔부터 그렇게 먹고 싶었던 짜장면 그대로였다. 노란 단무지와 잘 익은 김치가 짜장면의 맛을 돋구워 주었다.
면은 따근따근 쫄깃쫄깃했다.
|
|
|
|
유럽 리투아니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뉴스 포털사이트인 delfi.lt이다
3월 4일 첫 화면에 한국당근 기사가 올라왔다.
"매운 한국 당근"(Aštrios korėjietiškos morkos)은 음식 이름이다.
이 "매운 한국 당근"을 만드는 요리법이 소개되어 있다.
이 "한국 당근" 음식의 정체는 무엇일까?
여러 해 전 TV 방송을 위해 취재한 적이 있었다.
당시 대형매점 이끼(Iki)의 수석요리사가 설명해준 바에 따르면
소련 시대 고려인들이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인 당근을 이용해
한국적인 매운 맛을 내는 음식을 만들어 먹은 데서
이 "한국 당근"이라는 이름이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식은 발트 3국을 비롯해서 옛 소련 공화국에 널리 펴져 있다.
요리법은 간단하다.
당근을 채썰어, 후추, 카르다몬, 석탕, 식용유, 식초 등으로 버무려 샐러드처럼 만든다.
이날 기사에 실린 요러법을 소개하면 이렇다.
당근 1kg
백포도주 4 숟가락
마늘 100g
매운 고춧가루
해바리기씨 식용유 100g
고수(빈대풀, coriander, kultiva koriandro)씨앗가루 2 숟가락
소금 약간
대형상점 식품판매대서 쉽게 이 샐러드를 볼 수 있다. 또한 유리병에 든 "한국 당근"도 볼 수 있다. 종종 자기도 한국 음식을 먹어본 적이 있다거나 즐겨 먹는다고 말하는 현지인들을 만난다.
"한국 음식 맛이 어때?"
"매워."
"어떤 한국 음식을 먹었는데?"
"한국 당근."
한국에는 없는 "한국 당근"이 이렇게 여기 유럽 사람들에게 한국 음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가끔 우리 집도 이 "한국 당근" 샐러드를 가게에서 구입해서 고기 등과 함께 먹는다. 먹을 만하다.
|
|
|
|
|
|
|
|
|
|
리투아니아에서 사시는군요.
한국에서도 어머니들이 김치를 담가주시지 않으면 집에서 만들어 먹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그래도 글 쓰신 분은 남자분이신 것 같은데, 만드실 생각을 다 하셨네요.
저는 생각만 있지, 뭐... 주는 대로 먹는 편이라.
리투아니아는 고등학교 때 펜팔 잠깐 했었는데, 그때는 한류고 뭐고 없었고, 인터넷도 없어서, 편지로 왕래했었는데, 세상이 20년 지나니까 확 달라졌네요.
김치 만든 이야기 잘 읽었습니다.
예전에 블로그 열심히 할 때는 가끔 들렸었었습니다. ㅎㅎ
안녕히 계세요.
|
|
|
|
|
|
|
|
|
|
|
|
|
|
평소 형제처럼 지내는 폴란드 친구가 있다. 바르샤바에 살고 있는 친구이다. 엊그제 밤 갑자기 연락이 와서 내일 방문해도 되냐고 물었다. 바르샤바는 빌뉴스에서 약 400km 정도 떨어진 거리이지만 안가본 지 여러 해가 되었다. 지난 연말 친구가 초대했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응하지 못했다.
그런 차에 이렇게 직접 빌뉴스를 온다고 하니 몹시 반가웠다. 여러 이야기를 하는 차에 지난 주 금요일 자기 집에서 열린 "한국음식의 날"을 사진과 함께 소개해주었다.
|
|
|
|
|
|
|
|
|
|
여러모로 안타까운 부분이군요,,,,
요즘은 점점 한국거주 외국인이나 다른 서양국에선
한국음식을 좋아하는부류가 늘어난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많은부분에서 노력이 부족하군요.
솔직히 한국은 음식전파에 너무 소극적인 부분이 있는것같음,,, 그냥 우리끼리 잘먹으면 됐지 멀,,,,하는식 ㅋㅋ
그런건 정부차원에서나 단체에서 신경을 써야하는데말이죠. 너무 무관심한것같음;;
외국에서도 몸소 한국음식 샘플을 보여주시는 초유스님 ㅎㅎ,,,, 언젠가는 점점 한국음식에 호감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지기를 기대해봅니다 ^^
아마도
앞으로 세계가 일일생활권,/세상교류속도가 빨라질수록 한국문화도 많이 알려질거라 생각합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