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곳에서 한국어 헌법을 보게 되니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을 새삼스럽게 다시 한 번 더 느껴 본다. 이날 행사의 장면을 아래 영상(촬영: Vida Čojienė)에 담아 보았다.
|
|
|
|
|
|
|
|
이 궁전은 세워진 이후부터 지금까지 화재나 전쟁 등의 피해를 입지 않아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궁전 내부에서는 당시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고, 정원에는 수천 그루의 장미가 자라고 있다.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이 즐겨찾는 라트비아 최고 관광지 중 하나이다.
궁전 내부 관람을 마친 후 정원 관람표를 따로 혹은 함께 구입한 사람은 정원으로 들어간다. 입구에 있는 전동차를 타고 정원 곳곳을 둘러볼 것을 적극 추천한다. 전동차 승차권은 3유로이다. 이 전동차 앞 유리에 붙여져 있는 여러 나라 국기가 눈에 들어온다.
라트비아
영국
러시아
리투아니아
대한민국
이 국기들은 안내 방송을 들을 수 있는 언어를 표시하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 등 여러 나라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데 자국과 인근 나라 러시아와 리투아니아를 제외하면 영어와 한국어만 남는다. 여기에서도 한국의 세계적 위상을 확연히 느끼는 것은 나만이 아닐 것이다.
|
|
|
|
* 주말에 올 새 모니터(화면 속 사진)와 딸아의 노란 색 꽃선물
|
|
|
|
요즘 취미 하나가 늘어났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전혀 관심이 없었는데 올해부터는 한국 드라마를 즐겨 보고 있다. "구르미 그린 달빛"도 딸 덕분에 나도 보게 되었다. 한국어 노트를 마련해서 드라마를 보면서 접하는 새로운 단어를 적기도 한다.
서너 문장을 써서 검사를 부탁하기도 한다. 이 모든 것이 강요나 강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발심해서 하게 된 것이라 그저 감사할 뿐이다.
|
|
|
|
캔맥주에는 술을 마실 때 잔을 부딛히며 하는 말이 여러 언어로 써여져 있다.
|
|
|
|
* 그림: 애밀레 페트라비츄테
|
|
|
|
|
|
|
|
축제라는 말에도 웃음이 터져 나왔다.
축제는 Čiukčiai(축치인)을 뜻하는 츅체이를 연상시켰기 때문이다. 눈이 좁쌀처럼 생긴 아시아인들을 경멸해서 말하는 말 중 하나가 "츅체이"이다.
사(4)과
사과(과일)
사과(잘못을 사과)도 동일하게 써지만 각기 뜻이 달라서 주목을 끌었다,
행복
한복
항복도
비슷한 발음이라 학생들이 힘들어한다.
물고기
생선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고기 등에서 보듯이 고기는 죽은 것인데 왜 물고기는 산 것을 말하나?!
한국어 문장 중 "간장 공장......"을 알려주었더니 배꼽을 잡고 웃어대었다.
리투아니아어에 이와 유사한 문장은 다음과 같다.
개리 비라이 개로이 기료이 개라 기라 게레: 좋은 남자들이 좋은 숲 속에서 좋은 기라(맥콜)을 마신다
이렇게 한국어를 가르치다보면 뜻하지 않게 수업 시간에 웃는 경우가 더러 생긴다.
|
|
|
|
|
|
|
|
|
|
|
|
|
|
|
|
|
|
|
|
|
|
제 남편이 "제" "재" "쟤" 발음을 구분 못해요. 제가 발음 하고 맞춰보라고 해면 그 차이가 들리지 않는대요. 저희 엄마에게는 제 발음이 확실하게 들리거든요. 만약을 대비해서 재차 확인을 했는데 남편 식구들은 경상도 사람이라서 그 구분이 없나봐요.
쟤는 좀 힘드니까 제외하더라도 제 하고 재는 발음을 할 때 입 모양과 입속에서 혀의 위치가 다른데 그것도 못하더라고요. 한국사람인데도요. 일단 경상도라서 어렸을 때 부터 발음 구분이 잘 안들렸나 봐요. "경제 제재" 를 발음 하라고 하면 경제제제 라고 발음을 해서 훈련시키는 데 안되요.
외국이니까 얼마나 더 힘들겠어요. 한국어를 듣는 기회조차 없으니 정확한 한국 발음을 들을 기회가 없으니까 많이 힘들어 할거에요.
한정된 시간으로 한글까지 정확하게 배우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 같아요. 그래도 이 만큼이라도 한국어 하는것이 얼마나 기특해요? 요가일래 대단합니다.
소녀상을 지켜주세요.
https://petitions.whitehouse.gov/petition/please-protect-peace-monument-glendale-central-library/Zl0fHlLP
여기가 링크이고, 백악관 사이트 서명 페이지입니다.
서명 꼭 부탁해요!
1. "create an account" 눌러
2. 이메일, 내이름, 성, 다 적고 밑에
3. challenge question 에 대한 답을 적으시면 됩니다.
가입한 이메일에 보면, 비밀번호가 나옵니다.
이메일적고, 백악관에서보내준 비밀번호 입력.
|
|
|
|
|
|
|
|
|
|
|
|
|
|
|
|
|
|
|
|
제가 2005년 카자흐스탄에 건축설계일로 상주한 적이 있습니다.
그 때 현지 기술자로 환갑이 넘으신 오가이(고려인)와 같이 일을 했습니다.
제 성도 오씨이므로, 같은 성씨라 아주 반가와 하시더군요.
어렸을 때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오씨(오가이)인 것만 아신다고 하시며
뿌리를 알고 싶어 하시기에
오씨의 계보에 대해 A4용지에 쓰면서 설명해 드리고
종친회 홈페이지를 열어 보여 드렸더니, 아주 감격해 하시더군요.
A4용지를 집에 액자로 걸어 두시고 손자 손녀에게 가르쳐 주시겠다고 합니다.
마침 제가 종손이라 가계 내력을 잘 알아 다행이었습니다.
요즘은 국력이 강해지고 있어 해외진출이지만
예전엔 강제적인 해외차출이라....만감이 교차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은/는"은 보통 topic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합니다. 영어 등의 서구어는 topic을 나타낼 때 문장 제일 앞에 두면 되지만 한국어 같이 주어-topic (주제어)-목적어 등의 순서가 자유로운 언어는 주격조사와 구분하여 topic marker를 따로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topic marker는 앞에 나온 주제를 계속 이야기 할 때, 주제를 한정할 때 등에 쓰입니다. 때로 topic 을 old information이라는 말로도 표현합니다. (정관사의 용법을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습니다.)
1. 개 한 마리가 있습니다. 그 개는 눈을 아주 좋아합니다.
2. 나는 눈을 싫어합니다. 여기는 좀 어둡군요. ("나", "여기"로 주제를 한정합니다)
반면 한국어의 ~이/가는 focus marker라는 말로 자주 분석되곤 합니다. focus marker의 특징은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부정관사의 용법을 연상시킵니다.)
1. 개 한 마리가 있습니다. 여기 개가 있습니다. (모두 개의 존재를 처음 소개하는 경우입니다.)
2. (그가 아니라) 내가 눈을 싫어합니다. (눈을 싫어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이 아니라 나라는 것을 새로운 정보로 제공합니다.)
저는 호주 어른에게 기초 일본어(문법보다는 회화 위주)를 가르치는데 "는" 과 "가"의 차잇점에 관해서 질문을 자주 받아요. 그래서 저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나는 학/교/에/ 갑/니/다.
내/가/ 학교에 갑니다.
(// 된 부문이 강조하는 부분)
라는 문장을 가지고 설명을 해요.
나는 이라는 문장에서는 "는" 뒤에 오는 부분이 강조된다고 내가 라는 문장에서는 "가" 앞에 있는 내가 강조 되는 것이라고. 예를 들면 영어 질문 What are you doing? 이라고 물었을 때 너에게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닌, 네가 하고 있는 행동에 관심이 있으는 것이라면 문장의 주어에 "는"을 붙이고, Who is going to school 이라고 물었을 때는 주어에 "가/이"를 붙인다고 합니다. 강조하는 부분이 앞부분이냐 뒷부분이냐 (왜 냐하면 일본어 문장은 항상 동사로 끝나기 때문에)따라서 "는"과 "가"를 구분해서 쓴다고 합니다.
그러면 대부분 이해를 하더군요.
|
|
|
|
|
|
|
|
|
|
|
|
|
|
|
|
|
|
|
|
|
|
|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일부 고위 공직자들이 썩어 초대형 범죄 접수가 안 되고 있습니다.
2018.12.05 05:10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청와대 검찰 경찰 국민권익위원회 판사 변호사 법무사 행정사 등과 국민분들께 수사 조사 검증을 요청합니다.
(6차 국민청원 나라 땅 개인 땅을 고위 공직자들이 주범이 되어 강탈해갔습니다)
http://www1.president.go.kr/petitions/450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