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쪽 하늘에는 폭우가 쏟아지고, 이쪽 하늘에는 해가 쨍쨍하다. 이는 산이 없는 발트 3국에서 종종 접하는 자연 현상 중 하나이다.
언젠가 집에 있는 딸아이가 멀리 떨어지지 않은 시내 중심가에서 일을 보고 있는 데 전화가 왔다.
"아빠, 지금 비가 정말 엄청 와!"
"그래? 여긴 비가 전혀 안 오는데."
같은 시내에서도 이처럼 여긴 비가 오고, 저긴 비가 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어떤 때에는 거리 하나를 두고 비가 오고 비가 오지 않는다. 이런 현상을 카메라에 담아보고자 노력하지만, 기회가 쉽게 오지 않는다.
일전에 에스토니아 해변도시 패르누를 방문하는 데 바로 이 광경이 눈 앞에 펼쳐졌다.
가까운 바다에는 폭우가 쏟아지고 있지만 해변에는 햇살이 가득하다. 한 아이가 아무런 걱정 없이 그네 타기를 즐기고 있다. 폭우가 오는 지에는 아랑곳 하지 않고 해변을 산책하는 사람, 해수욕을 즐기는 사람도 있다. 폭우가 금방 이쪽으로 오지 않을 것임을 알지만, 그래도 불안한 마음이 든다. 손에 든 우산을 만지작거려 본다.
다행히 이날 폭우는 강 건너 불이었다. 세상의 고난이 다 이렇게 비켜간다면 얼마나 좋을까...... 피할 수 없는 고난 앞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달관자의 심정으로 살아갈 수 있다면 이 또한 좋으리라.
아래는 초유스 그란카나리아 가족여행기 9편입니다. 초유스 그란카나리아 가족여행기 1편 | 2편 | 3편 | 4편 | 5편 | 6편 | 7편 | 8편 | 9편 | 10편 그란카나리아 여행을 다녀온 지 곧 한 달이 된다. 여기 살지 않는 사람은 믿을 수가 없겠지만, 그동안 해가 쨍쨍 뜬 날이 없었다. 온통 구름낀 하늘, 우중충 내리는 비, 오후 4시에 찾아오는 밤...... 겨울철 이런 날씨 속에 살다보니 더 더욱 쾌청한 남쪽 나라로 여행하고 싶어한다. 여름철이 되면 홀라당 옷을 벗고 일광욕에 빠지는 유럽 사람들이 쉽게 이해된다. 그란카나리아를 가족여행지로 정한 결정적인 이유는 거의 1년 내내 맑은 날이 지속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가는 날이 장날이다고 8일 동안 비가 3일 왔다. 미국 동부가 샌디로 피해를 보던 바로 그 시점이었다. 대서양 반대편인 그란카나리아에도 보기 드물게 태풍과 폭우가 쏟아졌다. 현지 지인은 "1년에 있을 비 내리는 날이 이번에 다 왔다."라고 말했다.
먼 나라에 짧은 기간 동안 여행와서 하루 종일 비 때문에 숙소에 머문다는 것은 안타깝지만, 가뭄에 시달리는 현지인에게는 비를 몰아온 사람으로 환영받을 수도 있는 일이었다.
숙소에서 머무는데 천장에서 빗방울이 떨어졌다. 잠깐 비가 그치는 동안 관리인이 지붕으로 올라가 수리를 하는 듯했다.
폭우와 폭풍은 오후 늦게 잠잠해졌다. 비온 후의 해변과 사막 산책도 좋을 것 같아 딸 둘은 숙소에서 카드 놀이를 하고, 우리 부부는 해변으로 갔다. 산책만 하고자 했는데 해수욕까지 하게 되었다. 텅텅 빈 해변이 오히려 더 인상적이었다. 비에 굳은 모래가 바람에 날리지 않아 좋았다.
사막 모래를 밟고 숙소로 돌아오는 데 언덕에서 뜻밖의 일을 알게 되었다. 위로 올라가던 아내가 힘겨워 했다. 굳은 모래라면 흙을 밟고 올라가는 듯해야 하는데 어느 순간 굳은 모래가 와르르 조각나버렸다.
일반적으로 모래는 흙보다 비가 잘 스며들고 빠진다. 그런데 이날 그렇게 많은 비가 쏟아졌는데도 모래에 스며든 비의 양이 이 정도뿐이다는 것에 깜짝 놀랐다.
서너 센티미터의 굳어진 모래 밑에는 언제 비가 왔느냐라고 모래가 오히려 묻고 있는 듯했다. 땅에 닿은 비는 높은 데서 낮은 데로 흐르지, 위에서 밑으로 쑥 빠지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중국 사천성 선빈시 장녕현에는 흔들바위가 있다. 이 흔들바위는 높이 5m, 둘레 약 20m, 무게가 약 200톤이다. 강한 지진에서도 살아남아 낭떠러지 위에서 흔들흔들 하고 있다. 사람이 손으로 가변게 흔들어도 심하게 움직인다고 한다. [사진출처 image source link]
최근 중국 중경(총칭, Chongqing)에 폭우로 거대한 바위가 산에서 굴러떨어졌다. 이 두 바위는 무게가 각각 200톤과 100톤이다. 이로 인해 3명이 부상당했고, 5대의 자동차가 부서졌다. 특히 맥주 400상자를 실은 화물차가 피해를 입어 도로 바닥에는 부서진 맥주병이 사방에 흩어졌다. [사진출처 image source link]
당분간 산 위에 있는 거대한 바위를 볼 때마다 중경의 바위 사고가 생각날 듯하다. 하지만 다행히 리투아니아에는 한국인이 생각하는 산도 없고, 바위도 없다.
"홍수속 진풍경, 도심 도로에서 수상스키" 글에서 5월 중하순 폴란드 남부지방 홍수에 대해 이야기했다. 어제 폴란드 바르샤바 친구가 스카이프(skype) 인터넷 대화 중 사진을 보내왔다.
6월 3일 내린 엄청난 비의 결과물이 적나라하게 담겨져 있었다. 친구는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 근교 피아세츠노에 살고 있다. 고도가 낮은 피아세츠노 도심에는 1.5m까지 물이 차서 아파트 1층이 모두 물에 잠겼다. 일요일에도 자원봉사자들이 집안에 갖힌 친구에게 음식을 날려다 주었다.
사진제공 / Foto: Radosław 동일 Jędrzejczak
6월 3일 저녁 비가 오는 소리를 들었지만 그렇게 심각하게 생각하지는 않았다. 차 물을 끓이기 위해 부엌으로 내려와서 창문 밖을 보니 초록색 풀 대신 빗물이 점점 고이기 시작했다. 딱 1시간 동안 내린 비로 뜰은 물이 가득 찼다. 빗물이 집으로 들어올까 조마조마했지만 다행히 집안으로는 들어오지 않았다. 건물 기초를 좀 높이 설계한 것이 무척 다행스러워했다. 매일 4cm 정도 빗물이 빠지고 있다.
폭우와 함께 거센 바람이 불었다. 거리 건너편에 자라고 있던 나무가 뿌리채 뽑혀 집쪽으로 넘어졌다. 집 건물이 나무가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해 이 또한 다행스러웠다.
채소를 심어놓았던 뜰 안의 텃밭도 완전히 물에 잠겨버렸다. 물이 찬 뜰을 강이나 호수로 착각한 청둥오리 한 쌍이 날라와서 놀고 있었다. 살면서 자기 집 뜰에 청둥오리가 날라와 헤엄칠 줄은 상상도 하지 못했다.
폴란드에는 약 5만 마리의 비버가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비버가 남부지방 홍수피해를 더욱 심각하게 한 한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청둥오리가 이미 왔으니 폴란드 친구는 이제는 비버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비 피해의 상심 속에서도 여유와 웃음을 잃지 않고 있는 친구에게 박수와 격려를 보낸다.
5월 중하순 폴란드 남부 산악지역에 내린 폭우로 폴란드에는 15명이 목숨을 잃었다. 100년만에 찾아온 기록적인 홍수로 비스와 강을 비롯한 많은 강이 범람하고 도시에는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다. 이런 와중에 일부 사람들은 물이 가득 찬 도심 도로에서 수상스키를 타기도 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