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모음2012. 10. 23. 06:53

발트 3국 리투아니아는 추수가 보통 7월 하순에서 8월 중순이다. 주로 밀, 보리, 호밀 등이 재배된다. 추수가 끝난 후 들판에서 짚 뭉치들이 여기저기 있거나 아래 사진처럼 한 곳에 거대하게 모아져 있다. 짚은 축사의 바닥재로 사용된다. 그리고 동물 분비물로 더러워진 짚은 나중에 퇴비가 된다.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서 북서쪽으로 140킬로미터 떨어진 농촌 마을 나우야미에티스(Naujamiestis, 인구 800명)는 가을이 되면 언론이나 방송에 등장한다. 이 마을 문화원은 7년전부터 짚조각 공원을 만들어오고 있다. 

마을 농민들의 짚을 기증받아 문화원 직원들과 마을 어린이들, 학생들,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짚조각 작품을 만든다. 이 조각품은 마을 어귀 풀밭에 전시되어 오고가는 사람들과 마을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있다. 해마다 작품의 주제가 다르다. 

올해 주제는 '악기'이다. 그랜드피아노, 콘트라베이스, 서양 거문고, 호른, 백파이프 등 다양한 악기들이 만들어졌다. 특히 짚울타리에는 악보가 그려져 있다. 보기만 해도 손가락이 악보따라 움직이지는 듯하다. 


이 짚조각 공원은 가을에만 있는 한시적이다. 10월 하순에 날을 정해 짚조각품을 모두 불태운다. 그 이유를 마을 문화원장에 물었더니 답이 이렇다. "영원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불태우는 것은 아름다운 정화(淨化)이다."

곡물 수확이 끝난 농촌 마을,
이렇게 짚이 아름다운 조각품으로 되살아났다. 이 짚조각 공원은 마을의 새로운 명물로 떠올랐다. 흐린 날씨가 점점 많아지는 가을날 마을 사람들이 함께 힘을 모아 만든 짚조각품을 보면서 즐거움을 나눈다. 이제는 인근을 비롯한 멀리서도 사람들이 찾아올 정도로 널리 알려지고 있다.

Posted by 초유스
사진모음2011. 3. 7. 06:07

지난 주말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 중심에 전통 행사 "카쥬카스 장날"이 열렸다. 카쥬카스는 3월 4일 축일의 주인공인 리투아니아의 유일한 가톨릭 성인(聖人) 카지몌라스(Kazimieras, Casimir, 1458-1484)의 애칭이다.

이 날은 그가 25세의 젊은 나이로 결핵으로 숨진 날이다. 폴란드 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작 카지몌라스 4세의 둘째 아들이자 요가일라(Jogaila)의 손자로 폴란드 크라쿠프 왕궁에서 태어났다. 왕세자였고, 독신으로 남았다. 그의 선행과 덕행으로 가득 찬 삶은 그가 살아있는 동안에 큰 주목을 끌었다. 그의 유해는 빌뉴스 대성당에 안치되어 있다.

그의 축일에 리투아니아 전국에서 온 사람들이 그의 무덤이 있는 빌뉴스 대성당에 모여 추모미사를 올렸다. 전국에서 축일을 위해 오는 사람들은 자신의 지방특산물이나 겨울 내내 만들었던 민속공예품들을 가지고와 서로 필요한 것을 매매함으로써 17세기부터 ‘카쥬카스 장날’(Kaziuko mugė)이라는 축일 장날이 형성되었다.

이 날 사람들은 식구별로 물건을 사는 풍습이 있다. 아내와 함께 토요일 장터를 다녀왔다. 워낙 사람들이 많아 파는 물건들을 제대로 볼 수가 없었다. 우리 부부의 눈길을 끈 공예품은 다름 아닌 짚공예품이었다. 리투아니아에서는 보기 드물게 짚조각을 하는 사람을 만났다. 아내는 짚으로 만든 새 두 마리를 사면서 "비록 짚이지만 봄날 새는 생동감을 준다."고 덧붙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리투아니아에서는 보기 드물게 짚으로 조각하는 예술가 다누테(Danut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아내가 구입한 짚으로 만든 새: 가격은 20리타스(9천원)

"보잘 것 없는 짚도 이렇게 사람에 따라 작품과 상품이 되네."라고 아내가 말했다.
"왜 우리에겐 이런 재주가 없을까......"

* 관련글: 남한 말고 북한에 메밀가루를 갖다줘 (2010년 카쥬카스 장날에서)

Posted by 초유스
영상모음2008. 9. 22. 05:21

가을이다. 이제 내일이면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추분이다. 이 분깃점으로 음을 상징하는 밤이 점점 길어지고, 양을 상징하는 낮이 점점 짧아진다. 이 추분에 앞서 옛날 리투아니아인들은 수확을 거둔 후 그 짚으로 다양한 모양의 조각상을 만들었다. 몇 해 전 이맘 때 빌뉴스를 가로지르는 네리스 강변에서 짚 조각상 전시회가 열렸다. 일전에 올린 "짚으로 만든 거대한 조각상" 글에서 이미 사진으로 소개한 바 있다.

당시 염소 4마리가 층층을 이룬 거대한 조각상이 큰 인기를 끌었다. 높이가 15m로 이 부문에서 리투아니아 최고 기록을 세웠다. 이 짚 조각상을 만드는 모습을 영상에 담아보았다. 배경음악은 안드류스 마몬토바스(Andrius Mamontovas)의 노래 "너는 멀리 있을거야"(tu busi toli)의 앞부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초유스
사진모음2008. 9. 6. 18:33

일모작인 리투아니아에는 8월이면 보통 수확은 한다. 주로 보리와 밀 농사를 한다. 몇 해 전 이맘 때 빌뉴스를 가로지르는 네리스 강변에 열린 짚 조각품을 직접 만들고 전시회하는 행사가 열렸다. 당시 거대한 염소 4마리 조각상이 큰 인기를 끌었다.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이렇게 만든 조각상을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추분에 불을 태우면서 한 해의 농사에 감사하고 이듬해의 풍년을 기원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초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