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j Kantoj en Esperanto | Korea Kantaro en Esperanto | Korea Populara Kanto 한국인들이 애창하는 노래를 틈틈이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번역하고 있다. 그동안 번역한 노래를 수록한 책이 2022년에 발간되기도 했다.
파도가 부서지는 바위섬 인적 없던 이곳에 세상 사람들 하나 둘 모여들더니 Al insul', kie disrompiĝis ond', al senhoma ĉi teren' pli kaj pli da homoj de l' mond' venis daŭre jen.
어느 밤 폭풍우에 휘말려 모두 사라지고 남은 것은 바위섬과 흰파도라네 En la nokt' disblovite de fajfun', malaperis ĉiuj for; solaj restis la rokinsul' kaj la blanka ond'.
바위섬 너는 내가 미워도 나는 너를 너무 사랑해 다시 태어나지 못해도 너를 사랑해 Ho insul', eĉ se vi malamas min, tamen mi pasie amas vin; eĉ se mi ne renaskiĝos plu, mi amegas vin.
이제는 갈매기도 떠나고 아무도 없지만 나는 이곳 바위섬에 살고 싶어라 Ankaŭ nun mevoj jam forlasas vin, restas tute neni', sed ĉi tie enl la insul' vivi volas mi.
바위섬 너는 내가 미워도 나는 너를 너무 사랑해 다시 태어나지 못해도 너를 사랑해 Ho insul', eĉ se vi malamas min, tamen mi pasie amas vin; eĉ se mi ne renaskiĝas plu, mi amegas vin.
이제는 갈매기도 떠나고 아무도 없지만 나는 이곳 바위섬에 살고 싶어라 나는 이곳 바위섬에 살고 싶어라 Ankaŭ nun mevoj jam forlasas vin, restas tute neni', sed ĉi tie enl la insul' vivi volas mi, sed ĉi tie sur la insul' vivi volas mi.
코로나바이러스가 여전히 위세를 떨치고 있다. 프랑스는 5월 10일까지, 독일은 5월 3일까지 코로나19 전염 확산을 막기 위해 봉쇄조치를 최근 연장했다. 박물관 등 관공명소들도 휴관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여러 유명한 박물관들이 코로나 시국에 온라인으로 전시실이나 전시품을 개방에 누구나 쉽게 접근해 문화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했다. 온라인으로 관람할 수 있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박물관 10개를 아래에 소개한다[출처].
1. 에르미타주 박물관 (Hermitage Museum)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국립 박물관이다. 영국 박물관과 루브르 박물관과 함께 세계 3대 박물관으로 손꼽힌다. 1764년에 예카테리나 2세가 미술품을 수집한 것이 그 기원이다. 현재 방 1000여개에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제로, 라파엘로, 루빈슨, 피카소, 고갱, 고흐, 르노와르, 렘브란트 등의 수많은 명화와 고대 유믈들이 전시되어 있다.
* 관람객들이 붐비는 에르미타주 박물관 복도다. 박물관은 언제 다시 저런 모습을 되찾을까?
2. 루브르 박물관 (Louvre Museum)
프랑스 파리에 있는 국립 박물관이다. 파리 중심가에 있는 루브르 궁전에 위치해 있다. 12세기 요새로 출발한 루브르 궁전은 1672년 베르사유 궁전에 거주하기로 결정한 루이 14세가 왕실의 수집품을 전시하기 위한 장소로 쓰도록 했다. 프랑스대혁명 당시 1793년 박물관으로서 첫 문을 열었다. 누구나 인생에서 한 번은 가보길 원하는 곳이다.
미국 뉴욕에 있는 솔로몬 로버트 구겐하임 미술관이다. 인상파, 후기인상파 그리고 현대미술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다. 솔로몬 구겐하임은 철강왕으로 알려진 벤저민 구겐하임의 형이다. 벤저민은 타이타닉호의 침몰사고로 사망하고 그의 딸인 페기 구겐하임이 막대한 상속 유산으로 세계의 미술품을 수집했다. 이에 솔로몬 구겐하임이 조카의 수집품을 전시할 미술관을 건립했다.
더 많은 온라인 박물관이나 미술관 구경은 구글의 예술과 문화 수집 사이트에서 할 수 있다. 해외여행을 해서 현지에서 직접 이 박물관을 찾아 관람하기는 당분간 힘들 것이다. 자가체류하면서 아직 가보지 못한 사람은 온라인으로 관람해보고 갔다온 사람은 여행의 추억을 되살려보자.
왜 조각상은 천으로 얼굴을 가렸을까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로 가족여행을 다녀왔다. 먼저 북쪽에 위치한 란사로테(Lanzarote) 섬에서 보내다가 푸에르테벤투라 섬으로 옮겼다. 한 번 여행으로 두 섬을 모두 둘러보기 위해서다. 플라야블랑카(Playa Blanca)에서 여객선을 타야 한다. 란사로테 섬에서 가장 남쪽 해변에 위치한 이 일대 또한 관광휴양지로 개발되었다. 도시 이름 그대로 해변을 따라 형성된 이 도시는 그야말로 하얀색 건물들로 가득 차 있다. 배가 출발할 시간이 아직 되지 않아서 해변 산책로를 따라 구경에 나섰다. 선물가게, 식당, 술집, 커피숍 등이 끝없이 이어진다.
청동상 앞에서 걸음을 멈춘다. 바다와 수평선을 바라보고 있는 조각상이다. 카나리아 제도의 기성세대들에게 헌정하는 스페인 조각가 나바로 베탄코르 차노(Navarro Betancor Chano)의 작품이다.
다가가서 보니 얼굴가리개를 하고 있는 모습이 특이하다. 부모, 조부모, 증조모 세대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동기부여 덕분에 자녀들이 교육을 받고 나아가 도시가 개발되어 오늘날 발전과 복지를 현재의 사람들이 누릴 수 있게 된 것에 감사하기 위해서다.
천으로 얼굴을 가린 것은 무엇 때문일까? 특정한 인물이 아니라 기성세대를 구성하는 익명의 누구나를 표현하기 때문이 아닐까... 사회나 단체에 조그마한 업적이라도 있으면 자의든 타의든 특정 개인의 송덕비나 공덕비나 기념비를 세우려는 세태에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듯하다.
플라야블랑카 여객선 선착장이다. 푸에르테벤투라 섬의 코랄레호 선착장은 여기에서 14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하루에 합쳐서 총 20회 여객선이 운영되고 있다[
여객선 회사는 모두 세 개다. Fred.Olsen Express (7회 운행, 25분 소요), Naviera Armas(7회 운행, 35분 소요) 그리고 Lineas Maritimas Romero(6회 운행, 45분 소요)다.
휘날리는 국기가 스페인 땅에 와 있음을 상기시켜 주고 있다. 플라야블랑카와 란사로테가 점점 시야에서 멀어지고 있다.
갑판 위에서 담소를 나누는 우리 가족.
푸에르테벤투라 섬의 북단에 위치한 코랄레호가 드디어 눈앞으로 다가오고 있다.
코랄레호에서 우리가 묵을 숙박지는 휴양객들을 위한 연립주택단지다. 깨끗하게 잘 가꾸어진 건물들이 야외수영장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첫 번째 현관문이 있는 집이 우리 숙소다. 복층으로 되어 있다. 1층에는 거실, 부엌, 욕실 그리고 테라스가 있다. 2층에는 침실 2 개와 욕실 그리고 발코니가 있다.
거실 소파는 침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대체로 유럽 사람들은 휴양지에서 장기간 머물 경우 호텔방보다 부엌을 갖춘 숙박시설을 선택한다. 하루에 한 두 끼 정도는 직접 해서 먹는 것이 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2인 1실 방이다.
욕실이다.
해수욕장이 그렇게 멀리 떨어져 있지 않지만 보통 이런 숙박단지는 자체 야외수영장을 갖추고 있다. 수온 조절도 가능하다. 날씨가 해수욕하기에 적합하지 않거나 혹은 집에서 시간을 보내고 싶을 때 수영장은 아주 유용하다.
늦은 오후 무렵이라 수영장은 한산하다.
낮에는 수영장 주변이 일광욕을 즐기는 사람들도 붐빈다.
햇볕이 내리쬐는 수영장이다. 수정처럼 맑은 물이다.
수영을 할 수 없어도 살 수 있는 수영법이다. 일명 생존 수영법이다. 1. 물에 가라앉아서 죽을 수 있다라는 두려움을 먼저 버린다.2. 가슴과 허리를 펴고 다리를 살짝 뻗어서 몸을 뜨게 한다.3. 팔은 옆으로 혹은 머리 위로 혹은 다리 쪽으로 향하게 한다. 4. 눈은 감거나 하늘을 응시하면서 편하게 호흡한다. 한참 수영을 하다가 지치면 이렇게 해서 쉬는 유럽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걸어서 푸에르테벤투라의 코랄레호를 둘러보다 하루는 머무르고 있는 코랄레호를 도보로 일주해봤다. 이날 걸은 총 거리는 약 7킬로미터였다.
일출 무렵에 숙소를 나선다.
코랄레호는 여전히 개발 중이다. 기초가 돌덩이라 바닥은 견고하지만 집짓기는 어렵겠다.
이런 돌뿐인 불모지에 사람들은 집을 짓고 식물을 심어 적합한 주거환경을 만든다.
키다리 홀쭉이 아저씨를 연상시키는 야자수가 자라고 있다.
싱싱하게 자라는 푸른 선인장을 보니 '역시 만물은 자기가 살만한 자리에 살아야 잘 살게 되는 구나!'를 새삼 느껴본다.
그런데 여기에서 사는 식물은 절대적으로 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아무리 건조에 강하도록 진화된 다육식물일지라도 관수용 호스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너무나도 척박한 환경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보살핌 덕분에 통통하게 잘 자라는 식물의 모습을 보니 괜히 내 산책 걸음이 가뿐해지는 듯하다.
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 중 하나인 푸에르테벤투라(Fuerteventura)를 가족과 함께 다녀왔다. 섬북단 코랄레호(Corralejo)에 머물면서 주로 인근 해수욕장에서 시간을 보냈다. 인구 1만7천여명의 도시이지만 인근에 광활한 모래사막과 길쭉한 모래해변이 있어서 많은 휴양관광객들이 찾아오는 곳이다.
숙소에서 해수욕장까지는 3-5km 거리다. 늘 걸어다녔다. 길 옆에는 담장도 모래색이고 주택도 모래색인 풍경을 흔히 볼 수 있다. 1970년대 초부터 관광개발이 활발해져 지금은 푸에르테벤투라의 최고 인기 있는 관광지 중 하나다. 휴양도시답게 자전거도로가 잘 마련되어 있다.
익숙하지 않은 것 하나가 눈에 띈다. 바로 가정용 계량기가 집안이나 집벽이 아니라 담장 외벽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놓으면 검침원 사칭 등으로 인한 불미스러운 사건을 예방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겠다.
큰 거리는 차도, 자전거도로, 인도가 잘 구별되어 있다.
아열대 지대라 가로수가 야자나무다. 마주 오는 사람을 피하기 위해 옆으로 비키려다가 찢어진 야자나무 잎사귀에 종종 찔린 뻔한 적도 있다. 조심해야...
키가 큰 야자나무와 밖으로 튀어 나온 발코니가 공존하고 있다. 심술궂은 건축가를 만났더라면 저 야자나무는 분명히 천수를 누리지 못했을 것이다.
숙소로 향하는 거리를 따라 가는데 열린 문으로 다양한 색깔을 띠고 있는 꽃들이 보인다.
꽃의 환영을 받으면서 마치 투숙객인냥 들어가고 싶은 마음이 절로 일어난다. 덩굴식물인 부겐빌레아(bougainvillea)다. 원산지가 브라질이고 꽃말은 정열이다. 꽃말답게 정말 화려한 정열로 유혹하는 듯하다.
그런데 화려한 색은 부겐빌레아꽃이 아니다. 초록색은 나뭇잎이고 빨강색이나 노란색이나 분홍색은 잎이 변해서 된 포엽(苞葉)이다. 진짜 꽃은 하얀색이다. 포엽이 이렇게 선명하고 다채로운 것은 나비나 벌을 진짜 꽃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다. 자연은 참 신비롭구나!
어느 집 담장에 핀 무궁화속의 부상화다. 밝고 산뜻한 붉은색이 강한 인상을 준다.
남쪽에서 FV-1 도로를 따라 길쭉한 단색의 사막언덕과 모래해변 사이로 달리다가 코랄레요로 진입하는 바로 입구에 시선을 강타하는 집을 만날 수 있다. 각양각색의 식물과 조각으로 가득 차 있다.
)라 쓰여 있다. 타바이바(tabaiba)는 선인장 종의 하나로 푸에르테벤투라의 토착 식물이다. 이 집에 누가 살기에 이렇게 정성스럽게 꾸며 놓았을까? 필히 평범한 사람은 아닐 것이다. 나중에 확인해보니 역시 집주인은 전문가다. 스페인 남서부 도시 세비야(Seville)에서 태어난 건축가, 화가, 사진가, 조각가, 작가, 한마디로 예술가 카를로스 칼데론 이루에가스(Carlos Calderon Yruegas)다.
위에 사진에서 보여준 코랄레요의 일반적인 담장 모습과는 전혀 다르다.
쪽문이다. 동화 속 마법의 집으로 그냥 빨려 들어가고 싶다. 아쉽게도 닫혀 있다.
수중 물고기궁전에서 나온 인어가 평소 수영으로 야무지게 다져진 근육질 몸매를 자랑하고 있는 듯하다.
담장예술과 정원식물이 멋지게 조화를 이루는 장소다. 담장 넘어 있는 정원의 경관이 궁금하지만 쉽게 어떤할지가 눈에 그려진다.
구멍 난 철판을 사이에 두고 여인 둘이서 무언의 대화를 나누고 있다. 무슨 이야기를 주고 받고 있을까?
두상이라 해야 할지 흉상이라 해야 할지...
하나로 봐야 할지 둘로 봐야 할지...
잠시 생각에 빠져 본다.
몰래 마시는 술일까...
술 마실 시간을 알려주는 종일까...
술 마셨다고 동네방네 고자질하는 종일까...
흥나게 술 마시자는 종일까...
언제 조각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혹시 짝짝이 스타킹의 유행을 예지해서 만든 것은 아닐까...
365일 늘어지게 일광욕을 하는 여인이다.
조각 하나하나에 의미가 숨겨져 있을 것이다. 멍하니 서서 예술가의 의도를 한번 추측하려고 하니 식구들이 바보 같다면서 나에게 발걸음을 재촉한다. 집주인은 30년 동안 이 작품들을 만들었다. 그대로 놓아두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발상이 떠오르면 개조하거나 새롭게 만든다. 유지하고 보수하고 창작하는 데에 적지 않은 수고와 비용이 들어간다. 자신의 작품을 이렇게 공개해서 우리 같은 행인들이 감상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니 그저 고마울 따름이다.
체코의 수도 프라하는 누구나 한번쯤 가보고 싶은 도시다. 한 번 가보면 또 가고 싶은 곳이 프라하이기도 하다. 유럽에 30년 살면서 여러 번 프라하를 다녀왔다. 프라하에 갈 때마다 들러는 곳 중 하나가 바로 카를교다. 카를교는 프라하 시내를 동서로 가로지는 블타바(Vltava) 강에 세워져 서쪽 언덕 위 성과 동쪽 평지 위 구시가지를 서로 연결시켜 주고 있다. 기존 유디타(Judita) 다리가 1342년 봄 얼음홍수로 파괴되자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이자 보헤미아의 왕 카를 4세가 새 다리를 짓도록 명했다. 가장 좋은 착공일에 대해 점성가들에게 의견을 물어 얻은 숫자가 135797531다. 이에 1357년 7월 9일 5시 31분 그가 직접 기초석을 놓았다고 전해지고 있다. 1402년 완공되어 1841년까지 프라하의 유일한 다리였다. 석재가 사암, 길이가 516미터, 폭이 9.5미터인 카를교는 16개의 아치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 18세기 만들어진 바르코 양식 조각상 30개가 다리를 장식하고 있다. 6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이 다리 앞에서 강 건너편 프라하 성을 바라보면서 즐기는 여행의 묘미는 글로 표현하기가 힘든다. 유유히 흐르는 강물을 내려다 보고 잠시 고개를 들어 거대한 성을 쳐다본다.
언덕 위 웅장한 프라하 성은 길이가 570미터로 세계에서 가장 긴 성으로 알려져 있다. 프라하와 체코의 상징물로 역대 통치자들이 기거한 곳이다. 로마네스크와 고딕 양식으로 870년에 짓기 시작해 1929년에 완공되었다. 고딕 건축의 걸작품으로 꼽히는 비투스 대성당이 가운데 우뚝 솟아 있다.
이 카를교가 어떻게 건설되었는지를 쉽게 [관련글] 알 수 있는 흥미로운 영상을 최근 접하게 되어 아래 소개한다. 카를 4세 탄생 700주년을 맞아 3D 그래픽으로 제작된 것이다. 카를교 산책 중 이 영상을 보면 14세기 다리의 기둥과 아치 구조물 건설방법을 보다 더 실감나게 느낄 수 있겠다.
10월 하순 9일 동안 지중해 몰타로 가족여행을 다녀왔다. 여행 마지막 날 호주에서 온 큰딸은 비행기 출발시간이 아침 9시고 우리는 저녁 7시이다. 숙소 체크아웃 마감시간이 오전 10시다. 그래서 일단 큰딸이 공항 가는 택시를 같이 타고 나온다.
공항까지 가서 큰딸을 배웅한 후 여행가방을 짐보관서에 맡기고 도시을 구경하러 나올지 아니면 중간에 먼저 내려서 므디나(Mdina)를 구경할지를 두고 고민에 빠진다. 몰타는 일광절약시간제(10월 마지막 일요일 1시간이 앞으로 당겨진다)를 실시하고 있다. 아침 6시 택시 안에서 여명을 만난다.
달리는 택시 앞유리를 통해 여명이 점점 더 강렬한 색채로 유혹한다. 급기야 택시가 언덕 위 므디나 옆을 지나갈 때 운전사에게 내려달라고 부탁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된다. 택시에서 큰딸과 급하게 작별한 후 우리는 빠른 걸음으로 일출광경을 잘 볼 수 있는 곳으로 걷는다. 언제 이런 황홀한 일출광경을 보았던가?
새들도 일어나 해맞이 축가를 부르는 듯하다. 신기하게도 지평선 바로 위 짙은 먹구름 사이에 해가 나올 정도로 작은 구멍 하나가 뻥 뚫여 있다.
그리고 찰나 후 그 구멍 사이로 빨갛게 익은 동그란 홍시 같은 해가 쏙 얼굴을 내민다. 표현할 수 없는 감동이 눈에서 온몸으로 퍼진다.
이른 아침이라 므디나 도심으로 가는 거리에는 우리 외에는 아무도 없다. 므디나는 몰타섬 내륙 중앙에 위치해 있다. 면적이 0.9평방킬로미터고 인구가 200여명이지만 한때 몰타의 수도였다. 해발 185미터로 몰타섬에서 두 번째로 높은 지점에 있어서 섬 전체를 내려다 볼 수 있다.
청동기 시대에 형성된 이 도시는 고대 로마를 거쳐 870년부터 아랍이 지배한다. 이때 지금의 이름 므디나(벽으로 둘러싸인 도시라는 뜻)를 받는다. 그 이후 1091년 노르만 왕조, 1282년 스페인 아라곤 왕조, 1530년 요한 기사단, 1798년 프랑스, 1800년 영국의 지배를 차례로 받게 된다. 수도가 발레타로 옮겨진 후 므디나는 "조용한 도시"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노르만과 바로크 건축이 잘 혼합되어 있고 또한 여러 문화가 공존하고 있는 므디나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곳이다.
므디나로 들어가는 입구다. 방어용 해자 위에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여행가방 끌고 고대와 중세 도시 므디나 안으로 들어간다.
성문 안으로 들어가자마자 오른쪽에 형벌도구가 보인다. 지하감옥으로 안내한다.
좁은 골목들이 우리를 맞이한다. 므디나가 적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설계된 도시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뒤에서 밀고 오는 관광객들이 없으니 우리는 수백년 된 건물들을 만지면서까지 찬찬히 살펴보는 호사를 누리고 있다.
군데군데 보이는 현관문 앞 화분들은 누런색 석회석 벽으로부터 느낄 수 있는 지루함을 잠시 잊게 해준다.
현관문 앞 화초 정원이다.
성문 입구 반대편에 있는 또 다른 출입문 그리스인 문(Greeks Gate)을 통해 밖으로 나가본다. 석벽에 막혀 더 이상 뻗을 수 없게 되자 나뭇가지가 자신을 굽혀 위로 올라간다. 순수추단 (順水推丹)이라는 사자성어가 떠오른다. 물은 뭔가에 부딪히면 돌아서 흐르는 속성이 있다. 순수추단 (順水推丹)은 물길에 따라 노를 저어라라는 뜻이다.
벤치, 창문 그리고 부겐빌레아 두 그루가 사진을 찍어라고 마치 설정을 해놓은 듯하다.
쇠창살 너머에 보이는 창문보(커튼)의 십자가에서 요한 기사단 시대가 엿보인다.
성벽 건물을 따라 만난 작은 광장(위치는 여기)이다. 풀 한 포기 자라지 않는 광장에서 건물 벽을 가득 메워 담쟁이처럼 벽에 붙어서 올라가는 부겐빌레아가 감탄을 자아낸다.
아침이라 아직 식당 문이 닫혀 있다. 배달된 빵이 문 손잡이에 매달려 있는 모습이 퍽 인상적이다. 설마 배고픈 우리를 위해 내놓은 것은 아니겠지... ㅎㅎㅎ 아침커피 마시면 딱 좋을 시간인데 아쉽다.
전망대에서 내려다 보니 아침안개가 걷히는 저 멀리 발레타 등이 시야에 들어온다.
우리를 제외하고는 관광객이 전혀 없는 고요한 거리를 따라 발걸음을 유명하다는 바울 대성당 쪽으로 향한다.
바울 대성당은 12세기에 세워졌고 1693년 시칠리아 지진으로 심하게 손상되었다. 몰타의 바로크 건축가 로렌조 가파(Lorenzo Gafà 1639–1703)의 설계에 의해 1696-1705년 다시 지어졌다. 이 대성당은 가파의 대걸작으로 손꼽힌다. 대성당 앞 광장에는 채소상이 손님을 맞이하고 있다.
바울 대성당 정문 위에 있는 문장이 눈에 들어온다. 이 문장은 지금껏 몰타에 있는 여러 성당에서 보았다. 붉은 색은 그리스도의 열정, 백마는 사도 요한의 백마 탄 그리스도, 달은 어둠 속 빛, 노란 장미는 동정녀 마리아를 뜻한다. 라틴어 좌우명 Fidelix Et Verax는 충실하고 진실함을 뜻한다. 나중에 확인해 보니 이는 몰타 찰스 시클루나(Charles Scicluna) 대주교의 문장이다.
이른 시간이라 대성당 입장이 불가하다. 그런데 공사를 하는 인부들의 출입을 위해 문이 살짝 열려 있기에 들어가 본다. 북유럽 바로크 성당에 익숙해진 내 눈은 이 대성당의 화려함과 장엄함에 놀라 그저 휘둥그레질 수밖에 없다.
바닥 대리석에도 각양각색의 문장들이 새겨져 있다. 아직 성당 개방시간이 아니라서 찬찬히 둘러볼 수 없음이 못내 아쉽다.
광장을 벗어나자 수녀들이 나오는 성당이 눈에 띈다. 사방이 석회석 건물뿐이다.
가톨릭 가르멜회 성모영보 성당이다. 이 성당 또한 화려한 바르크 조각상과 그림으로 장식 되어 있다. 1695년 완공되었다. 1693년 지진으로 바울 대성당이 크게 파괴되자 대성당 기능을 잠시 하기도 했다.
성모영보(동정녀 성모 마리아가 예수 그리스도를 잉태할 것이라는 기쁜 소식을 전하는 것을 뜻함)을 묘사하는 천장 그림이 압권이다.
므디나의 중심거리엔 여전히 행인들이 안 보인다.
이제 2시간(6시 20분 - 8시 20분) 동안 므디나 산책을 마치고 모녀가 성문 밖으로 나가고 있다.
공항 가는 택시 안에서까지 망설이던 므디나 투어를 이렇게 마친다. 정말 오랜만에 맞이하는 일출광경은 황활함 그 자체다. 특히 높은 언덕이 거의 없고 보통 구름에 가려 일출을 제대로 볼 수 없는 북유럽 리투아니아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는 참으로 환성적이고 신비로운 광경을 느끼게 한다.
이른 아침 시간대라 관광객이나 행인이 전무한 고대와 중세 도시 므디나 골목길을 우리가 통째로 전세를 얻어서 산책을 한 듯하다. 앞으로 낯선 관광지에 가면 이렇게 일출과 더불어 아침 일찍 둘러볼 기회를 많이 가지는 것에 우리 가족은 서로 공감을 한다.
10월 하순 지중해 몰타 가족여행 넷째날이다. 이번 가족여행지로 몰타를 선택한 이유는 그래도 여전히 햇빛이 강하고 해수욕도 가능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었다. 그런데 막상 몰타에 와 보니 하루에도 날씨 변화가 심하다. 아침부터 하늘에는 구름이 끼어 있다. 일기예보에 따르면 이날 해수욕은 힘들겠다.
가족은 첫날 저녁 잠간 일부만 산책한 부지바(Buġibba)를 다녀오기로 한다. 그날 달이 휘영찬란한 밤이었다. 그런데 하늘 저쪽 먹구름 사이로 소리 없는 번개가 연신 번쩍거렸다. 마치 하늘이 불꽃놀이를 하는 듯했다.
그래서 이날 다시 부지바를 아래 동선으로 돌아본다. 부지바는 몰타섬 북쪽 세인트폴만(세인트 폴 베이, Saint Paul's Bay)에 자리잡고 있는 유명한 관광휴양지다. 호텔, 레스토랑, 술집, 나이트클럽 등이 즐비하다.
우선 우리는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 정도로 좁은 인도를 따라 간다. 몰타는 이런 인도가 흔하다. 보행할 때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비가 온 후 물웅덩이를 더욱 주의해야 한다. 차가 튀기는 물벼락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누런 단색 건물들이 주를 이루는 몰타의 거리를 산책하다보면 현관문 옆에 장식된 타일 문패와 도자기 작품이 이색적이고 경건한 분위기를 자아낸다[관련글: 몰타 거리 산책에서 색다른 재미를 느끼다]. 부지바를 향해 걸어가는 데 한 건물의 자투리땅 장식이 내 시선을 잡아당긴다.
바로 이 자루리땅에 고인이 된 지 벌써 50년이 넘게 지난 엘비스 프레슬리(1935-1977)를 추모하는 제단이 꾸며져 있다.
해변도로 옆에 산책로가 잘 조성되어 있다. 저 앞에는 비를 뿌릴 듯한 구름이 하늘을 덮고 있다.
반대편 하늘은 정반대다. 화창하다. 금방이라도 바닷물로 풍덩 뛰어들어 수영하고 싶어진다.
왼쪽 하얀색 건물들이 있는 곳이 바로 부지바다.
해변이라면 흔히 모래사장을 먼저 떠올린다. 하지만 여기는 아니다. 오랜 세월 동안 파도에 깎여평평해진 석회석 해변이다.
새로운 곳에 왔으니 새로운 인물도 알고 가야겠다. 산책로에서 만난 조각상의 인물은 마르키자 안나 부게야(Markiza Anna Bugeja, 1830-1916)다. 그녀는 이 지역과 가톨릭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가난한 이들에게 재산을 기부했다.
위그나코트탑(Wignacourt tower)이다. 이 탑은 1610년 몰타섬에서는 최초로 세워진 망루다. 1715년 포대(砲臺)가 추가로 설치되었고 지금은 박물관이다. 이 탑은 몰타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망루다. 왜냐하면 이 탑보다 5년 전에 세워진 고조섬 가르제스탑(Garzes tower)이 1848년 철거되었기 때문이다.
가운데 보이는 섬이 바로 세인트폴섬(산파울섬 Saint Paul's Island)이다. 사도 바울(파울로스) 일행이 로마로 향하다가 난파를 당해 도착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 만을 세인트폴만이라 부른다.
감의 계절이다. 어릴 때 시골집에는 여러 종류의 감나무가 자라고 있었다. 가을이 되면 푸른 감나무 잎사귀 사이 햋빛을 받아서 반짝이는 붉은 홍시를 하나 둘씩 따먹는 재미가 솔찬했다.
북유럽 리투아니아는 기후 조건이 맞지 않아서 감나무가 자라지 못 한다. 홍시와 단감에 대한 어린 시절 추억 때문에 10월이 되면 상점에 단감이 출시되길 몹시 기다린다. 초기에는 비싸서 살 엄두가 나지 않지만 가격이 떨어지면 왕창 산다. 이맘때 우리 아파트 창틀은 단감으로 장식 된다.
이곳에서 파는 단감들은 대개가 스페인에서 수입해온 것이다. 딱딱한 단감보다는 물렁물렁한 단감을 선호한다. 이렇게 창틀에 진열해 놓고 한 두 개씩 먹는다.
10월 하순 지중해 몰타 상점에서 단감을 만났다. 사 먹고 싶었으나 비교 물가에 너무 민감한 아내 때문에 꾹 참아야 했다. 그때 몰타의 작은 단감 한 개가 1.2유로였다. 그런데 리투아니아 상점에서 파는 단감은 1킬로그램이 1-2유로다. 일전에 구입한 단감 한 개의 무게가 0.344킬로그램이다. 1킬로그램당 값이 0.90센트였다. 이때다 싶어 많이 구입하게 되었다.
한국에서 먹은 단감은 늘 굵은 씨앗이 여러 개 있었다. 그런데 지금껏 먹어 본 스페인 단감은 씨앗이 없다. 단감 씨앗을 빼내는 수고를 하지 않아서 좋다.
이제 얼마 후면 상점 과일판매대에 단감이 사라질 것이다. 오늘 상점으로 가 보고 가격이 좋으면 또 구입해야겠다.
10월 하순 지중해 몰타로 가족여행을 다녀왔다. 여행지에서는 가능한이면 걸어다닌다. 특히 숙소가 있는 동네 한 바퀴 돌기를 아주 좋아한다.
몰타 도심의 거리는 대체로 차도도 인도도 폭이 좁다. 거리 쪽으로 정원이 먼저 나 있는 주택이나 아파트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건물들이 일렬로 따닥따닥 붙어 있다. 건축 재료는 모래빛 석회암이 주를 이룬다. 반복되는 누런색 건물들이 단조롭다. 집집마다 현관문 옆에는 쓰레기 봉투가 청소차를 기다리고 있다.
몰타 기사단(성 요한 기사단)의 깃발이 타일로 건물 벽에 붙어 있다. 바로 밑에는 우편함이 있다.
예수 그리스도와 성모 마리아 도자기 성물이 붙어 있다 - 성심(sacred heart 성스러운 마음)
현관등 밑에 건물 번호와 성가정(holy family) 도자기 성물이 붙어 있다. 현관등이 성스러운 가정을 더욱 포근하고 따뜻하게 해주는 듯하다.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성모 마리아 도자기 성물이 붙어 있다 - 아베 마리아(Ave Maria). 라틴어 아베는 문안드리다, 인사하다, 공경하다, 찬미하다, 성스럽다, 고귀하다 등의 뜻이다.
건물 번호 밑에 거주자의 이름이 예쁜 타일에 쓰여 있다.
조그마한 성물 밑에 거주자의 이름이 쓰여 있는 타일이다. "성모님, 저희 로우르데스 가정을 보살펴 주소서"라고 기도하는 듯하다.
파란색 도자기 성물이 붙어 있다.
슬리에마(Sliema)에 있는 거리다. 대체로 누런 석회석 건물 일색이다.
하지만 발코니와 현관문 그리고 창문 덮개는 초록색, 파란색, 붉은색 등 다양하다.
모스타(Mosta)의 한 거리다. 좁은 인도에 자라는 지중해꽃 부겐빌레아다. 분홍색 꽃이 단색 석회석 건물들 사이에 더욱 돋보인다.
몰타 섬 중앙에 위치한 므디나(Mdina)의 구시가지에 있는 작은 광장이다. 풀 한 포기 자라지 않는 광장에서 건물 벽을 가득 메워 담쟁이처럼 벽에 붙어서 올라가는 부겐빌레아가 감탄을 자아낸다.
석조 건물의 초록색 문이 인상적이다. 마치 몰타에 부족한 녹색 정원을 대신하는 듯하다.
현관문 옆에는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성모 마리아 성물이 그리고 그 밑에는 문패가 붙어 있다.
현관등이 두 손 모아 기도하는 이를 밝혀 주고 있다.
화환으로 장식된 예수 도자기 성물이 벽에 붙어 있다.
가브리엘 대천사와 성모 마리아 도자기 성물이 붙어 있다. 가브리엘이 동정녀 마리아에게 나타나 성령(비둘기 등으로 상징)에 의해 처녀의 몸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잉태할 것이라고 알려 준다. 이것(라틴어 Annunciatio)을 성모영보, 성모희보, 수태고지라고 한다. 그 밑에는 안눈치아타(Annunziata)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다. 이 이름은 딸만 있는 가정에 다음 태어날 아기가 사내이길 바라면서 종종 아기에게 주는 이름이다.
므디나 구시가지 작은 광장에서 만난 집의 현관 앞이다. 양쪽 벽을 따라 화분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다.
짙은 녹색 현관문 오른쪽에 작은 현관등이 보인다. 그 밑에는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성모 마리아 성물이 있다. 등불이 이들을 비추는 듯하기도 하고 이들의 사랑과 자애로움이 등불을 밝히는 듯하기도 하다.
누런 석회색 건물 일색인 몰타 도시의 거리를 산책하다 보면 쉽게 지루할 수 있겠다. 다행히 현관문에 붙어 있는 종교적 성물(聖物)과 다양한 문패 등을 살펴 보면서 산책하니 몰타의 색다른 맛을 체험할 수 있었다. 교황이 거주하는 바티칸을 제외하고 가장 가톨릭적인 나라로 흔히 몰타를 꼽는다. 몰타의 거리를 다니다 보면 이 말이 그저 나온 말이 아님을 쉽게 실감할 수 있다.
10월 하순 지중해 몰타로 가족여행을 다녀왔다. 세인트 폴 베이(Saint Paul's Bay)에 배들이 정박해 있다. 특히 알록다록 여러 색으로 칠해진 배들이 눈길을 끈다. 이는 몰타의 전통 고기잡이 배인 루쭈(luzzu)다.
이 어선들은 보통 노란색, 붉은색, 초록색 그리고 파란색으로 밝게 칠해져 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이 눈에 띈다. 하나 같이 뱃머리에 눈 한 쌍이 그려져 있다. 무슨 의미일까?
사람 눈으로도 보이고 물고기로도 보인다. 보는 사람의 상상에 따라 달리 보일 수 있겠다.
몰타 가족여행 전에 미리 몰타에 대해 공부를 많이 한 아내가 루쭈 앞에 장식되어 있는 눈에 대해서 설명해 준다.
이는 고대 그리스와 이집트 사람들의 풍습에서 유래된다. 이 눈은 '호루스의 눈'(고대 이집트의 신격화된 파라오의 왕권을 보호하는 상징) 혹은 '오시리스의 눈'(고대 이집트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서 풍요를 상징 또는 부활과 재생을 의미)와 관련이 있다. 이 눈은 바다에 있는 동안 어부들을 보호해 준다.
루쭈는 흔히 몰타의 상징 중 하나로 여겨진다. 루쭈가 많이 정박해 있는 어항은 마르사실로크(Marsaxlokk)다. 몰타 섬 남동부에 위치해 있다. 이번 여행에서 가지 못한 것이 아쉽다.
혹시 비닷솟 물고기들이 이 눈 한 쌍을 가진 배를 물고기로 착각하는 것이 아닐까... 배가 앞으로 나아가면 동료 물고기가 오는 줄 알고 바닷속 물고기들이 이를 환영하러 다가오다가 그만 그물에 걸려드는 것이 아닐까... ㅎㅎㅎ
고기잡이를 나가는 몰타의 어부들이 호루스의 보호를 받아 무사하고 오시리스의 도움을 받아 만선을 이루고자 하는 바람이 이런 장식을 만들었을 것이다. 저 폴 베이를 지나 고기잡기 나간 어부들이 다 이 눈의 위력을 얻기를 바라본다.
모스크바 여행 중 가볼 만 거리 중 하나가 아르바트(arbat) 거리다. 아르바트라는 거리명을 처음 들었을 때 '마시는 차'가 떠올랐다. 왜냐하면 리투아니아어로 '마시는 차'가 아르바타(arbata)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차나 찻집과 관련이 깊은 거리로 짐작 되었다.
내 짐작은 틀렸다. 아르바트는 모스크바 성 밖에 있는 마을 즉 교외를 뜻하는 아랍어 arbad, 또는 수레를 뜻하는 타타르어 arba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그 옛날 각지에서 온 상공인들이 모스크바 중심으로 들어가기 위해 머물렀던 곳이다. 지금은 상점, 식당, 동상 등이 즐비해 여행객들과 젊은이들이 많이 붐비는 문화와 예술 거리다. 15세기에 형성된 구 아르바트 거리와 1970년대에 만들어진 신 아르바트 거리가 있다.
9월 초순 폴란드인 친구 라덱과 함께 이 아르바트 거리를 산책했다. 3호선 스몰렌스카야 역에서 내렸다. 이 거리에 살고 있는 지인을 역 앞에서 만나서 쉽게 아르바트 거리로 들어갈 수 있었다. 역에서 나와 오른쪽으로 돌아가서 마주치는 거리가 구 아르바트 거리다.
보행자 전용인 이 거리에 들어서자 거리 가운데 자작나무와 설치물이 우리를 맞이한다. 하얀 속살을 드러내는 자작나무를 보니 "아, 러시아에 와 있구나!"를 새삼 느낀다. 이 거리 전체가 이런 조경물로 꾸며져 있지 않을까 기대하면서 빠져 나오니 가운데가 뻥 뚫려 있는 넓은 산책로가 나온다.
왼쪽으로 보니 동상 하나가 눈에 확 띈다. 2012년 푸시킨 서거 175주년을 맞아 세운 알렉산드르 푸시킨(1799-1837)과 그의 아내 나탈랴 곤차로바(1812-1863) 동상이다.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시를 쓴 푸시킨은 러시아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어진다.
동상 맞은편에 있는 2층 건물이 푸시킨 기념 집이다. 1831년 1월 23일에서 5월 15일까지 푸시킨은 이 집에 있는 아파트를 빌려 부인과 살았다. 1986년 개관된 이 집은 1층이 푸시킨과 모스크바 주제로 2층이 푸시킨 기념물로 전시되어 있다. 거리에 파는 저 LOVE 그림이 부인에 대한 사랑 때문에 결투로 생을 마감한 푸시킨이 더 선명하게 각인된다.
왼쪽 건물에는 1919년에서 1933년까지 아나톨리 리바코프가 살았다는 동판이 걸려 있다. 그는 이 거리를 배경으로 쓴 "아르바트의 아이들" 작품으로 유명하다. 함께 간 라덱은 이 책을 읽었다고 하는데 부끄럽게도 나는 들어본 적이 없다. 이 건물 내에 있는 지인 집에서 커피까지 마셨으니 언젠가 꼭 한번 읽어 봐야겠다.
군데군데 거리 화가들이 그림을 그려 주고 있다.
불라트 오쿠자바(Bulat_Okudzhava, 1924-1997) 동상이다. 아버지는 조지아인으로 소련 공산당에 의해 사형당했고 어머니는 아르메니아인으로 18년 동안 감옥살이를 하게 되었다. 1950년대부터 작사와 작곡을 겸하는 가수로 활동했고 200여곡의 노래를 남겼다. 러시아 음유시가의 개척자로 불린다.
잠시 거리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해 본다.
잠시 쉬는 동안 물로 거리를 청소하는 모습을 여러 번 봤다.
"모스크바 거리가 참 깨끗해. 왜 그럴까?"
"저기 봐. 물청소를 하잖아!"
"맞아. 저것이 정답이다."
오전이라 아직은 거리가 다소 한산하다.
러시아 전통 인형 마트료시카 등 기념품을 파는 가게들이 산재해 있다. 역시 유명 관광 거리이구나...
러시아의 유명한 예술가들을 알리는 게시판이 행인들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아르바트 시작점 쪽에서 끝점 쪽으로 바라보는 거리 모습이다.
저 건물 앞에 간이화장실이 있고 그 뒤에 길쭉한 건물이 하나 있다.
이 벽은 최벽(Stena Tsoya)으로 불린다. 깨끗한 아르바트 거리와는 대조적으로 수많은 낙서들로 가득 차 있다.
바로 빅토르 최(초이, 1962-1990)를 추모하는 낙서들이다. 소련의 록 가수로 지금도 러시아에사 가장 인기 있는 자수 중 한 명이다. 그가 교통사고로 사망한 자리를 올봄에 찾아가 봤다. 사망지는 라트비아 투쿰스(Tukums) 근처 한적한 시골 도로 옆에 있다. 빅토르 최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에 하기로 한다.
곳곳에 거리 악사나 가수들이 공연을 하고 있다.
모스크바 850주년을 맞아 1997년 세운 분수대다. 푸치니가 작곡한 3막의 오페라 투란도트에 등장하는 "투란도트 공주" 조각상이 돋보인다.
시간이 지나자 사람들이 점점 많아진다. 아르바트 거리 시작점 쪽으로 바라본 모습이다. 저 멀리 벽화가 눈에 들어온다.
가슴 전체를 가득 덮고 있는 훈장들을 보니 필시 영웅이겠구나! 제2차 세계대전 연합군의 승리로 이끈 게오르기 주코프(1896-1974) 장군이다. 국립 역사 박물관 앞에 말 위에 탄 위풍당당한 주인공도 바로 이 사람이다. 레닌과 스탈린외에도 주코프도 있구나! 그를 처음 알게 되었다.
건물에 칠한 화사한 색이 멀지 않아 가을 단풍이 물들어감을 알리는 듯하다.
유료 간이 화장실은 찾기는 쉽지만 그 생김새는 예술 거리와는 좀 어울리지 않는 듯하다. 투박하기 그지 없다.
어느덧 우리는 아르바트 전철역에서 내려서 이 거리로 들어올 수 있는 시작점까지 다다랐다.
남아 있는 것이 시간뿐이라면서 우리는 아르바트 대로까지 둘러보기로 한다. 왕복 8차선의 넓은 도로다. 고층 아파트 건물 여기저기 달려 있는 에어컨 실외기가 의외다. 북위 55도 45분에 위치한 모스크바에 에어컨이 필요없을 듯하다. 북위 54도 68분에 위치한 빌뉴스 우리 집엔 선풍기도 필요없다. 그 이유를 물어보니 현지인은 웃으면서 "모스크바 사람들은 참을성이 부족해 1년에 이틀만 더워도 에어컨을 설치한다."라고 답한다.
신 아르바트 대로 인도는 나를 놀라게 한다. 인도가 작은 공원처럼 꾸며져 있고 보행자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걷느라 지친 우리는 양말까지 벗고 비스듬히 편하게 누워 힘을 충전시켜 본다.
긴의자까지 마련되어 사람을 기다리거나 잠시 쉴 수도 있다. 신 아르바트 대로를 산책하고 있으니 서울로 7017 공중공원이 떠오른다[라벤더 향 피어오르는 서울로 왜 since 7017일까]. 고가도로를 철거하지 않고 시민들의 산책과 휴식을 할 수 있는 공원으로 만들었다. 아르바트 대로 인도가 이런 공원 모습으로 꾸며져 있는 것에 러시아 변화를 다시 한번 새삼 느낀다.
신 아르바트 대로 사거리에서 좌회전을 해서 걸어가니 롯데 백화점과 롯데 호텔이 나온다. 조금 더 걸으면 마천루 스탈린 7자매 중 하나인 러시아 외부성 건물을 만난다. 지하도를 통해 반대편으로 나와 아지무트 호텔 앞에서 찍은 사진이다. 이 건물은 27층 172미터로 1951년 완성되었다. 스탈린 7자매는 스탈린이 스탈린식 고딕 양식으로 모스크바를 재건하려는 데서 세운 대표적인 고층 건물을 말한다.
신구 아르바트 거리를 다 둘러보고 우리는 보로딘스키 다리(Borodinsky Bridge)까지 산책을 계속한다. 다리 건너 오른쪽에 스탈린 7자매 중 하나인 34층 우크라이나 호텔이 보인다.
다리 왼쪽 넘어 저 멀리 스탈린 7자매 중 가장 높은 모스크바국립대학교(MGU)이 보인다. 1953년에 완공된 이 건물은 높이가 240미터이다.
이 다리를 건너 계속 가다보면 키옙스카야 지하철 역이 나온다. 이 역은 우크라이나 전통예술 양식으로 내부가 장식되어 있어 구경해볼만하다. 마치 지하궁전에 온 듯하다.
아래는 이날 우리가 한 도보여행 동선이다.
예술적 분위기가 넘치는 구 아르바트 거리, 활기찬 인파를 만날 수 있는 신 아르바트 대로 그리고 7자매 중 세 건물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브로딘스키 다리를 건너 키옙스카야 지하철역까지 구경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이 동선을 추천한다.
폴란드인 친구 라덱(Radek)의 초대로 러시아 모스크바를 최근 함께 다녀왔다. 러시아나 중앙아시아를 가면 반드시 먹어 봐야 할 음식 중 하나가 바로 양고기 꼬치구이인 샤슬릭이다.
양고기 음식이라면 30여년 전 불가리아 산악지대에서 먹어 본 양고기가 제일 먼저 떠오른다. 그때 양고기에서 역겨운 냄새가 심하게 나서 거의 먹지 못한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하지만 몇 해 후 스페인 발렌시아 근교 시골에서 먹어 본 양고기는 참으로 맛있었다.
우리를 만나자마자 라덱의 사촌 갈리나(Galina) 부부는 우리를 위해 양 한 마리를 잡겠다고 했다. 처음에는 농담으로 여겼다. 살생을 싫어해 말리고 싶었지만 25여년만에 모스크바를 방문한 사촌 라덱과 처음 온 나를 위해 양 한 마리를 잡아 특별히 대접하겠다고 거듭 말했다. 싫은 내색을 할 수가 없었다. 더우기 양 한 마리면 적은 돈이 아닐텐데 말이다.
갈리나 부부는 양고기를 주로 먹는 카자흐스탄 출신이다. 상점에서 양고기를 살 수 있지만 고기의 품질과 신선도를 확인하기가 어려우니 직접 양을 잡아 주는 곳으로 가자고 했다. 모스크바에 양고기를 즐겨 먹는 이슬람교도인 무슬림들이 많이 살기 때문에 합법적으로 살아있는 양을 잡아서 파는 곳이 있다고 했다.
가 보니 주변에 고층 아파트가 즐비하다. 이런 곳에 양을 잡아 주는 곳이 있다니 참으로 의아하다. 공터 뒤에 양 축사가 있다.
양철판으로 가려져 있는 곳에서 양이 때를 기다리고 있다.
암컷 고기가 냄새가 덜난다고 한다. 냄새를 덜나게 하기 위해 어린 수컷을 거세하기도 한단다.
양을 잡는 과정을 가까이에서 지켜 보라고 했지만 마당에 혼자 남아서 주변을 살펴 보았다. 건물 한 귀퉁이에 까마중 열매가 까맣게 익어가고 있다. 까만 열매를 따먹던 어릴 적 한국 시골의 여름이 떠오른다.
타지키스탄에서 온 아버지와 아들이 이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날 양 한 마리를 잡아 사온 고기는 14킬로그램이다. 삶아서 먹을 부위, 숯불에 구워서 먹을 갈비, 꼬치구이를 해먹을 부위로 분리한다. 잡은 양 한 마리 고기 14킬로그램은 한국돈으로 약 15만원이다.
양고기로 손님 접대하기 위해 가족들이 토요일 모스크바 근교 다차에 모였다.
각자 맡은 일을 한다. 숯불을 피우고, 양파를 썰고, 감자를 깎고, 식탁을 차리고...
러시아인들이 어떻게 양고기를 요리하는 지를 유심히 살펴 본다.
아무런 첨가물 없이 양고기와 물을 숯불에 푹 끊인다.
둥둥 떠다니는 양고기 기름을 걷어 내서 썰은 양파 위로 붓는다. 어디에다가 이 기름 양파를 사용할까 궁금하다.
기름을 걷어 낸 후 통감자를 넣는다.
이렇게 두 시간 정도 푹 구운 양고기와 잘 익은 감자를 건져 낸다.
뼈다귀에 붙은 살코기를 떼어 낸다.
남아 있는 양고기 육수에 아주 얇고 네모난 파스타를 넣고 끓인다.
우리 일행을 초대해 푸짐하게 접대해준 갈리나 부부다. 이날 양고기 요리는 남편이 다 했다. 그는 잡아 온 양고기를 먹기 편하도록 자르기 위해 칼 여섯 자루를 날카롭게 갈았다고 한다. 음식을 만들기 전까지 쏟은 정성이 대단하다.
기름 양파의 용도를 이제야 알게 되었다. 파스타를 한겹 한겹 쌓으면서 그 사이에 기름 양파를 넣는다.
완성된 파스타 요리다. 수제비 맛이다.
양고기와 함께 육수에 삶은 텃밭 감자는 분이 많고 참 맛있다.
일가 친척들이 둘러 앉아 삶은 양고기로 늦은 점심을 먹는다.
한 접시 가득 담은 삶은 양고기 점심
후추만 뿌린 양고기 육수다. 고기 한 점 먹고 육수 한 모금 마시고... 오래 기억에 남을 삶은 양고기 점심이다.
보드카 반주가 없을 리 없다. 주량에 따라 술잔 속 보드카 양의 높이가 도레미다.
벌써 늦은 저녁을 먹어야 할 때다. 이제 숯불에 구운 양고기 즉 샤슬릭을 먹을 차례다. 먼저 숯불에 피망, 토마토, 가지를 굽는다. 그냥 먹어도 될텐데 왜 구을까?
바로 이렇게 구운 채소로 양고기를 찍어 먹을 양념을 만들기 위해서다.
잘 구워진 양고기 갈비
피망, 토마토, 가지로 만든 양념에 찍어 고수와 함께 양갈비를 먹는다.
갈비만으로도 배가 태산만큼 불렀는데도 텃밭 숯불 위에는 양꼬치 고기가 익어가고 있다.
러시아 모스크바에 와서 양고기를 난생 처음 이렇게 푸짐하게 맛있게 잘 먹었다. 다차에서 양고기 요리로 가족애를 다지는 러시아인들의 삶을 가까이에서 지켜 보는 좋은 시간이었다. 양 한 마리를 통채로 잡아 환대한 이들 부부가 내가 살고 있는 리투아니아 빌뉴스로 오면 무슨 음식으로 대접할까 벌써 걱정이 앞선다.
일전에 한국을 방문했을 때 어느 삼계탕 집에 전시된 커다란 병 인삼주가 눈에 확 들어왔다. '우와, 우리 집 거실에서도 저런 인삼주가 하나 있으면 참 좋겠다'라고 속으로 생각했다. 빌뉴스에 사는 한국인 지인의 집에는 그 보다 더 큰 유리병 속에 인삼주가 담겨져 있다. 이 집을 갈 때마다 이 인삼주가 부럽다.
우리 집 거실에는 몇 해 전 인천공항 면세점에서 구입한 인삼 뿌리 한 개가 담겨져 있는 인삼주가 한 병 있다. 누군가에게 줄 선물용으로 구입했지만 '외국에 사는 한국인 집에 이것 정도는 하나 있어야 되지 않겠냐'라는 아내의 주장으로 남에게 선물하지 않고 그냥 우리 집 거실 장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 좋은 기회가 왔다. 지인의 도움을 얻어 3리터 유리병과 인삼 6년근 네 뿌리를 구입했다. 한국에서 갓 가져온 인삼을 받아서 먼저 물로 깨끗하게 씻었다. 마치 아이를 목욕시키는 기분이 들었다.
그리고 특별히 40도 리투아니아산 보드카를 부어넣었다. 인삼 네 뿌리가 들어간 3리터 유리병에 들어간 보드카 양은 2.5리터다.
리투아니아 사람들도 마늘이나 과일 열매에 보드카를 부어넣는다. 그런데 이는 보통 장기 보관용이라기보다는 필요에 따라 이내 마신다. 예를 들면 가을에 마늘주를 만들어 겨울철 감기 기운이 있을 때 마신다.
* 리투아니아 마늘주 (오른쪽)
* 리투아니아인 아내는 인삼의 생김 자체가 예술적이라 거실 장식용으로 제격이라고 한다.
지인의 말에 따르면 현지인들에게 인삼주를 선물했다니 '몸에 좋다'라는 소리에 얼마 가지 않고 다 마셔버렸다고 했다. 리투아니아인 아내도 이 말에 전적으로 수긍했다.
술은 보는 것이 아니라 마시는 것이지 ㅎㅎㅎ
이렇게 늦었지만 우리 집 거실에도 길쭉한 3리터짜리 인삼주가 진열되게 되었다.
"우리 언제 이거 마시지?"
"딸 결혼할 때 아니면 당신 환갑 때..."
"그냥 여기 한국인이 산다라는 전시용으로 사용하지 뭐."
이제 우리 집을 찾는 현지인들은 누구나 한번쯤 기묘하게 생긴 이것이 무엇인지 물어볼 것이다.
11월 초중순에 잠시 한국을 다녀왔다. 한국에 머무는 동안 가장 많이 먹은 과일은 다름아닌 감이다. 때론 단감 때론 홍시였다. 잎이 떨어지는 나뭇가지에 익어가는 감은 어디에서나 쉽게 만날 수 있었다.
전북 익산의 한 주택의 좁은 뜰에서 자라고 있는 감나무다. 마치 굵게 묶힌 전선줄이 감이 주렁주렁 달려 있는 얇은 가지를 지탱해주고 있는 듯하다.
경기도 수원 화성에 있는 동북노대(쇠뇌를 쏘기 위해 높게 지은 건물) 밖에서도 감이 점점 자연 홍시로 변해가고 있다. 손이 닿는다면 홍시를 따 먹고 싶은 마음이 꿀떡 같다.
아래는 대구 팔공산 입구 봉무동에서 만난 감나무다. 인기척이 있는데도 새 한 마리가 홍시를 열심히 쪼아 먹고 있다. 비슷한 색상 속에서 어떻게 홍시를 잘 알아볼 수 있는지... 사다리가 있다면 올라가 나도 따 먹고 싶다.
어린 시절을 보낸 시골 텃밭에는 여러 종류의 감나무가 자라고 있었다. 긴 장대로 아직 잎이 떨어지지 않는 나뭇가지 위에 몰랑몰랑한 빨간 홍시를 찾아 따먹곤 했다. 단감보다 홍시를 더 좋아한다. 어느 날 나와 이번 한국 방문에 동행한 폴란드인 친구는 홍시 한 쟁반을 대접 받았다.
이 쟁반을 앞에 두고 그에게 물아보았다.
"이것이 무엇인지 알아?"
"보아하니 토마토네!!!"
"정말?"
"그럼 한번 먹어봐."
"이잉~~~ 토마토가 아니네! 정말 달고 부드럽다. 뭐지?"
"떫은 맛이 사라진 잘 익은 감이다. 이를 홍시라고 해."
"난생 처음 먹어본 홍시 정말 맛있다."
정말이지 이날 대접 받은 홍시는 보기에 딱 잘 익은 토마토를 닮았다. 폴란드인 친구는 단숨에 홍시 하나를 먹어 버렸다. 내가 오물오물 씹으면서 꺼낸 감씨앗에 의아해 했다. 그는 홍시의 단맛과 물렁물렁함에 감씨앗을 느끼지 못한 채 쭉 빨아 먹어 버렸다. 다시 유럽으로 돌아가면 먹기 힘든 홍시를 기회 있는 대로 마음껏 먹었다.
요가일래는 "초유스 동유럽" 블로그의 일상 이야기를 통해 접해온 사람들에게 낯익은 이름일 것이다. 이제 한국으로 치면 고등학교 2학년생이고 만으로 16살이다. 지난 5월 모델 에이젠시를 혼자 찾아가 모델 지원서를 제출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서 조금씩 사진사(포티스트)나 분장사(메이크업 아티스트)로부터 모델 요청이 들어왔다[관련글: 출장에서 돌아오니 이미지 모델 된 딸아이].
리투아니아는 만 16살이 되면 부모 동의 없이 일을 할 수 있다. 이제 학교 공부가 아주 중요한 시기이다.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 성적이 대학교 입학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한편 요가일래는 방과 후 다니는 미술학교 졸업반생이기도 하다. 이런 바쁜 와중에서도 요즘 모델 아르바이트를 활발히 하고 있다.
"모델 아르바이트 힘들지 않아? 아빠가 너에게 용돈을 충분히 줄 수 있는 형편이 되잖아."
"아니야. 스스로 돈을 벌 수 있으면 벌어야 돼. 용돈을 달라고 하면 괜히 아빠를 고생시키는 것 같아서 내 마음이 아파."
"우와~ 정말?!"
* 모델: 요가일래 Jogailė Čojūtė
* 분장: Egle Make up
* 사진: Rimgaudas Čiapas photography
* 모델: 요가일래 Jogailė Čojūtė
* 분장: Samanta Sakalauskaitė
* 사진: Gintautas Rapalis
* 모델: 요가일래 Jogailė Čojūtė
* 분장: Indrė Paulina / MAKEUP YOUR LIFE Stilius
* 사진: Deimantė Rudžinskaitė
* 모델: 요가일래 Jogailė Čojūtė
* 분장:
* 사진:
* 모델: 요가일래 Jogailė Čojūtė
* 사진: Irmantas Kuzas
* 모델: 요가일래 Jogailė Čojūtė
* 분장: Egle Make up
* 사진: Rimgaudas Čiapas
일전에 소액 지폐를 많이 받은 적이 있어서 딸에게 물었다.
"아빠가 받은 이 소액 지폐를 네가 가지고 있는 고액 지폐와 교환하지 않을래?"
"안할래."
"왜? 너한테 소액 지폐가 더 필요하잖아."
"작은 돈은 더 빨리 그리고 더 쉽게 써버리게 되잖아."
"그래. 네 말이 맞다. 작은 것을 가볍게 여겨 함부로 하기가 더 쉽지. 네가 모델로 버는 돈은 당장 써버리지 말고 차곡차곡 모아두는 것이 좋겠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