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라가나스 어느 호텔 마당에서 본 화초다. 시멘트 화분에서 고이 자라던 나무가 점점 크져 마침내 단단한 시멘트 화분 마저 깨부수고 말았다.
화려한 분홍색 꽃이 가장 흔히 보인다. 이 꽃의 이름은 유도화 또는 협죽도(nerium oleander)이다. 지중해 연안 나라들에서 담장, 정원 등 관상용으로 많이 기르고 있다. 한국 제주도에서도 자생한다고 한다. 떨어져서 잎은 대나무잎 닮았고 꽃은 덩쿨장미꽃을 닮았다.
숙소가 있는 호텔로 가는 거리에는 거의 집집마다 협죽도가 피어 있다.
진 꽃, 지는 꽃, 피는 꽃, 필 꽃이 공존하고 있다.
꽃향기가 좋아 코끝을 꽃잎까지 대면서 향기를 맡아본다.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협죽도는 강한 독성을 지니고 있는 식물이다. 독성분은 주로 잎에 분포되어 있고 꽃이 필 때 최고조에 이른다.
협죽도는 붉은색 꽃도 있고 흰색 꽃도 있다.
화려한 아름다움과 향기로운 냄새를 지니고 있는 이 협죽도가 사람과 가축에게 해를 입힐 정도로 독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금시초문이다. 그래서 낯선 곳에서 낯선 식물은 늘 조심해야 할 대상이다. 불빛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꽃이다.
어릴 때 한국 시골집 담장에서도 자라던 무화과다.
올리브 열매다.
모래에서도 잘 자라고 있는 건생식물이다.
거대한 벌이 건생식물 꽃에서 꽃물을 빨고 있다.
선인장 백년초가 노란꽃을 피우고 있다.
한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분꽃이다.
길을 가다 어디서 코에 익은 아주 은은한 향기가 나기에 냄새를 따라 가본다. 할아버지 수염 달린 듯한 인동덩굴(인동초 인동) 꽃이다. 어릴 때 시골집 담장에 자라던 그 인동덩굴을 이곳 그리스에서 다시 보다니... 꽃물이 달콤해 꽃을 따서 쭉쭉 빨곤한 어린 시절이 눈앞에 선하다.
담벼락에 바짝 붙어 자라고 있는 어린 협죽도가 밝은 분홍꽃을 피우고 있다.
|
|
인동초가 제일 예쁘고 쓸모가 있는거 같아요.
인동초는 왠지 동양에서, 특히 한국에만 있을거 같은 느낌이었는데, 그리스에도 있다니 , 처음 알았어요.
한국에서 아쉬운건, 협죽도를 무슨 괴물인양 취급하며,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다 뽑아버렸다는거예요.
한번 방송을 타더니, 그동안 잘 기르고 있던걸 전부 베어버리고, 뽑고. . .
독없는 식물이 얼마나 있다고. . . .
하다못해 상추도 독을 가지고 있는데, 그럼 상추도 재배하지 말아야된다는 얘기잖아요.
한국은 너무 극단적인 경우가 종종 있어요.
옜날에는 울안에 뱀이 못들어오게 일부러 울타리삼아 심기도 했는데.
|
|
라가 나스만(Laganas Golf) 일대 모래해변의 주인공은 사람이라기보다는 동물이다. 바로 바다거북이다. 특히 게라카스 해변은 바다거북이가 알을 부화하는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일몰부터 오전 7시까지 입장이 금지되어 있다.
바다거북이가 이곳에서 밤에 알을 낳고 부화된 거북이가 바다로 나아가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거북이와 관광객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해변이다. 사람들은 해변쪽으로만 다닐 수 있고 해안쪽은 입장이 금지되어 있다.
그런데 발자국에 저렇게 많이 나 있을까?
|
|
|
|
세계 각지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그리스의 현지인들은 그리스의 세계적 명소를 다 가봤을 것이라는 착각이나 짐작이 빚어낸 물음이다.
6월 중순이라 낮 온도가 25도 내외지만 햇볕에 노출된 자리보다 그늘막 자리가 좋다. 시설투자를 아까워하지 않고 이렇게 찾아오는 여행객들을 환대해주는 듯해서 감사함을 느낀다.
8일 동안 체류하면서 유료 주차장을 만난 곳은 딱 한 군데다. 유황 해수욕장(Xigia Sulfur Beach)으로 유명한 곳이다. 절벽 사이에 있는 아주 작고 작은 해수욕장이다. 도로에서부터 유황 냄새가 물씬 풍긴다. 아래 4K 동영상으로 이 해수욕장을 소개한다.
도로에서 막 벗어나면 아스팔트로 덮인 잘 마련된 주차장이 나온다. 숫자까지 새겨진 주차장이라 보기에도 예사롭지 않다. 잠시 후 주차원이 다가온다.
"여기 주차장은 사설이라 주차비를 내야."
"우린 저 아래 해수욕장에서 잠시만 머무려고 하는데..."
젊은 주차원은 건네주려고 하던 주차권을 거두면서 그렇게 하려고 한다. 그의 너그러움과 이해심에 감사를 표한다.
해수욕장에 가장 가까운 곳일지라도 빈자리만 있으면 주차비에 대한 걱정 없이 주차할 수가 있어서 정말 좋다. 숙소인 호텔은 바로 거리 건너편에 큼직한 호텔 주차장이 있다.
8일 동안 이용한 렌트카의 연료 소비량은 22리터이고 비용은 36유로다. 렌트비 170유로와 주유비 36유로를 합쳐 206유로를 지불하면서 이번 여행에서 이동을 아주 편하게 했다.
주유소에는 주차원이 있어 기름을 넣어주고 앞유리까지 청소해준다. 본인이 직접 주유를 하는 발트 3국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장면이다.
여행에서 돌아와 신용카드로 걸어놓은 보증금 1000유로가 풀릴 때까지 렌트 관련 서류와 인수할 때와 반납할 때 각각 찍어 놓은 자동차 상태 사진을 지우지 않고 보관해둔다.
|
|
|
|
2. Greco's restaurant -주요리 볼로냐 스파게티와 해물 스파게티를 시켰는데 이렇게 나와요.
구글지도 위치: https://goo.gl/maps/HZkUfsCJh9ouZzgF7
3. Filoxenis restaurant - 주요리 꼬치구이와 해물 스파게티만 시켰는데 이렇게 나와요.
구글지도 위치: https://goo.gl/maps/N1KLnhH9nttDXCeT8
|
|
|
|
그런데 장일남의 "기다리는 마음" 가사가 점점 현실로 다가온다.
일출봉에 해 뜨거든 날 불러주오...
기다려도 기다려도 님 오지 않고...
일출시각이 6시 14분으로 나와 있는데 10여분이 지나도 해가 나올 줄을 모른다. "빨래 소리 물레 소리에 눈물 흘렸네" 가사를 아래 가사로 바꿔본다.
"잔잔하게 출렁이는 바다에 내몸 던졌네"
태양 기운과 바다 기운 둘 다 받아볼 욕심으로 바닷물에 참방 뛰어든다. 이렇게 목욕재계를 한다. 이 덕분인지 목욕을 마치고 나오자 곧 스코포스(Skopos) 산 정상 위로 해가 서서히 떠오르기 시작한다. 이 시각이 6시 30분이다. 아래 사진은 스코포스 산 정상과 라가나스 만의 일출 광경이다.
카메오 섬이 일출 직후 햇살을 받고 있다.
카메오 섬으로 인도하는 나무다리는 아침 9시에 열린다. 이렇게 두 번이나 카메오 섬을 만난다. 섬 내부까지 들어갈 기회가 다음에 오길 바란다. 사실 또 자킨토스로 여행가고 싶다.
|
|
|
|
|
|
|
|
크로아티아 자다르(Zadar) 페트르차네(Petrčane) 현지인 친구 집에서 머물면서 인근에 있는 닌(Nin 위치)을 다녀왔다. 닌은 인구 3천명도 되지 않는 작은 휴양도시지만 중세시대 크로아티아 첫 수도였고 크로아티아 기독교 역사에서 아주 중요한 도시다. 닌은 크로아티아 국가의 요람이고 크로아티아 국민들에게 특별한 감정을 느끼게 하는 곳이다.
우리 일행은 먼저 천일염전(Solana Nin 위치)을 찾았다. 1500년부터 지금껏 전통방식대로 소금을 생산하고 있음을 염전 박물관의 벽화가 잘 말해 주고 있다. 기계가 아니라 바닷물을 끌어들여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소금을 만들고 있다.
박물관이자 안내소이자 판매소까지 겸한 건물 안으로 들어간다. 소금생산 과정을 담은 흑백사진이 전시되어 있고 소금 운송 도구 등이 전시되어 있다. 직원 서너 명은 소금을 구입하는 방문객들을 안내하거나 계산하는 데 분주하다.
큰 자루에 담아 전시해놓은 소금이 눈길을 끈다. 왼쪽부터 소금꽃, 천일염, 가는 소금이다. 닌 소금의 대명사는 바로 소금꽃(꽃소금 cvijet soli, flower of salt, feur de sel)이다. 여기 소금은 요리뿐만 아니라 건강제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닌 천일염전을 안내사와 함께 둘러 본다.
염전에 왔으니 소금을 먼저 볼 줄 알았는데 안내사는 가둬 놓은 바닷물 속을 먼저 보여준다. 그는 두 손으로 염전에 자라고 있는 아주 작은 물고기인 씨몽키(sea monkeys, brine shrimp)를 떠서 보여준다. 이런 동물도 물이 증발된 후 소금에 함유되어 독특한 맛을 내는 데 기여한다.
사진만으로 보면 갈대가 자라고 있는 호숫가나 강가의 모습을 연상할 수 있겠다. 닌 염전에는 갈매기도 보이고 녹색 풀도 자라고 있다. 이 녹색풀의 정체는?
이 염생식물의 정체는 퉁퉁마디(salicornia europaea, salicornia, saltmarshes)다. 염전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다. 이 또한 소금생산 과정에서 활용돼서 유기 미네랄 소금을 만들어 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먹어보니 톡톡 씹히면서 김치를 만들기 위해 절여 놓은 배춧잎을 먹을 때 나는 맛이다.
소금꽃을 생산하는 과정을 지켜 본다. 소금꽃은 세계 음식 애호가들 사이에 소금의 캐비어로 불러어진다. 소금꽃은 밝고 섬세하고 촉촉한 맛을 가지고 있다.
소금꽃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수세기 동안 동일한 전통과 기술로 만들어진다. 수분이 점차 증발되면 남아 있는 바닷물 위에 부유하는 소금층이 생긴다. 마치 살얼음같다.
넓직한 사각형 채에 이 부유층을 담는다. 그러면 수분은 밑으로 빠지고 보송보송하고 촉촉한 소금은 남는다.
이를 통에 담고 가득 차면 큰 통으로 옮기고 다음에 건조시킨다. 햇볕에 붉게 그을린 그의 피부가 작업의 고됨을 말해주고 있다. 하루에 보통 소금꽃 400kg을 채취한다고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금꽃은 아래 통에 담겨 판매되고 있다. 이곳에서 소금꽃 10kg을 구입해 한동안 맛있는 청정 소금을 먹었다. 지금 거주하고 있는 북유럽 리투아니아는 천일염이 생산되지 않아서 소금은 전적으로 수입인데 대부분 암염이다. 불순물이 그대로 눈에 보인다.
고대에는 소금 1온스가 금 1온스와 물물교환될 만큼 소금이 귀하고 비쌌다. 급여나 월급의 의미를 지진 샐러리(salary) 단어는 소금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 sal에 그 어원을 두고 있다. 로마시대 소금을 병사들에게 급여로 지급한 것이 살라리움(salarium)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기에서 샐러리(salary) 단어가 나왔다.
염전 관광을 마친 후 우리는 닌의 중심으로 향한다(주차장 위치). 방어 목적으로 석호 안에 있는 섬에 도시가 형성되었다. 저 바다 건너가 닌이다.
닌 중심이 있는 섬과 육지를 잇는 석교 근처에 오른손을 쭉 뻗어 검을 들고 있는 동상이 나온다. 보기에도 위엄이 넘친다. 크로아티아 역사에 중요한 인물이라 여겨 일단 사진을 찍고 돌아와 누구인지를 검색해봤다. 브라니미르(Branimir)로 879년에서 892년까지 크로아티아를 통치한 공작이다.
그는 재임기간 동안 크로아티아 해안 지역의 독립성을 강화했고 요한 8세 로마 교황으로부터 이를 확인 받게 되었다. 879년 6월 7일 역사상 최초로 그는 합법적 통치자로, 크로아티아는 합법적 국가로, 닌은 합법적 수도로 승인 받게 되었다. 최초의 크로아티아 국가 승인 1128주년을 맞아 2007년 현재의 자리에 4미터 높이의 동상이 세워졌다.
중심으로 들어가면 또 하나의 거대한 동상을 만난다. 스플리트(Split)를 먼저 구경하고 온 사람은 엄지 발가락을 보자마자 이 사람이 누구인지 쉽게 알아볼 수 있다. 그르구르 닌스키(Grgur Ninski, Gregory of Nin)다. 이름에서 보듯이 닌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사람이다. 그르구르는 그레고리우스(Gregorius)의 크로아티아어 이름이다.
900년에서 929년까지 로마 가톨릭 닌 주교구의 주교다. 그는 그때까지 대부분의 보통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라틴어로만 진행되던 미사에 크로아티아어를 도입했다. 이는 크로아티아 언어와 문화에 아주 중요했을 뿐만 아니라 크로아티아 왕국 내 기독교를 더 강하게 했다. 그르구리 주교는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 자부심의 상징이 되었다. 참고로 925년 토미슬라브(Tomislav) 공작이 크로아티아 국왕으로 즉위했다. 이렇게 닌에서 만난 두 동상 덕분에 크로아티아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두 인물을 알게 되었다.
그의 동상 엄지 발가락을 손으로 문지르면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전해진다. 세상에 행운을 바라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 지 이미 황금색으로 변했다. 누군가 문 지를 때마다 저 황금이 그 사람 지갑 속으로 쑥 들어가면 얼마나 좋을까...
오전이라 중심 거리는 조용하고 한산하다.
한적한 거리를 따라 조금 더 가보면 오른쪽에 크로아티아 최초의 주교좌성당이라는 안내판이 있는 성 안셀름(Anselm) 성당이 나온다. 크로아티아 왕국 시대(925-1102) 닌의 주교좌성당이다. 6세기에 처음 지어졌고 여러 차례 복원이 되었고 현재의 모습은 18세기부터다.
남유럽 나라이라서 그런지 성당(St. Anselm) 이름이 생소하다. 안셀름(안셈 안셀무스 1033-1109)은 이탈리아에서 태어났고 영국 캔터베리 대주교(1093-1109)를 지냈고 스콜라 철학(기독교 신학 중심의 철학적 사상)의 창시자다.
다시 조금 더 걸어가면 고대 로마의 가옥 유적 가운데 세워진 조그만 성당이 나온다. 9세기 초기 로마네스크 로마 가톨릭 성 십자가 성당(Holy Cross)이다. 크로아티아 공국 시대(626-925) 공작의 왕실 성당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 주교좌성당은 아니지만 세계에서 가장 작은 주교좌성당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이 근처에 1세기 베스파시아누스(Vespasianus) 황제(재임 69-79) 때 지어진 유적지가 있다.
자다르에서 닌으로 들어오가나 나갈 때 작은 언덕 위에 세워진 탑 모양의 조그마한 석축 성당이 보인다. 성 니콜라우스(니콜라이) 성당(위치)이다. 선사시대 피라미드 무덤 위에 12세기에 세워졌다. 길이가 5.90미터, 폭이 5.70미터, 높이가 6미터다.
지금도 12월 6일 성 니콜라우스 축일과 4월 25일 성 마르크(마가) 축일에 미사가 행해진다. 중세시대 닌 중심에서 대관식을 마친 일곱 명의 왕이 이 성당까지 말을 타고 와서 대중에게 자신 모습을 보였을 만큼 작지만 유서깊은 성당이다.
붉은 지붕과 성 안셀름 성당 종탑이 보이는 곳이 바로 닌의 중심이다.
이제 해수욕을 하기 위해 자리를 옮긴다. 닌 중심과 석호가 내려다 보이는 크랄위치나 해수욕장(Kraljičina plaža 왕비 해수욕장)이다. 지금껏 가본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지역 해수욕장 대부분이 자갈이었는데 여기는 발트 해변에서 주로 보는 부드러운 모래다.
알아보니 모래사장 길이가 8km로 크로아티아에서 제일 긴 모래 해수욕장이다. 크로아티아 초대 국왕 토미슬라브가 이곳에서 왕비와 함께 잊을 수 없는 황홀한 일몰 전경 등을 즐긴 것에서 이름지어졌다고 한다.
일광욕을 즐기면서 이따금 왼쪽으로 고개를 돌리니 온몸을 완전 까맣게 칠한 사람들이 하나 둘씩 나타난다. 광활한 모래사장 어딘가에 진흙탕이 있다는 것이 아닌가...
궁금해서 발걸음을 그쪽으로 옮기니 정말 진흙탕이 나왔다.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넓은 치료용 진흙탕이 바로 여기다. 노천 무료 진흙탕이다. 누구나 와서 온몸에 진흙을 묻히고 모래사장에서 일광욕을 즐긴 뒤 비취색 바다로 첨벙해서 첩첩 산맥을 바라보면서 수영을 한다. 이 여행의 즐거움을 어찌 쉽게 표현할 수 있을까...
해수욕 일광욕 진흙욕을 한꺼번에 만끽할 수 곳이 바로 여기다. 이 해수욕장이 크로아티아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해수욕장 하나로 손꼽히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구나!
오늘날 닌은 비록 그 규모가 작지만 중세 크로아티아의 수도였고 크로아티아 국민들의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곳으로 자다르(Zadar) 등 인근 도시에서 여러 날 동안 묵는 여행객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여행지다.
아래는 닌 천일염전 방문을 담은 동영상이다.
|
|
|
|
|
|
|
|
목격한 사람이나 이 소식을 접한 사람이나 이 세상 모두에게 행운이 함께 하길 바란다.
|
|
|
|
한국어로 번안되어 가장 널리 알려져 불려지고 있는 폴란드 민요는 <아가씨들아>일 것이다. 19세기 초 폴란드 실레시아(실롱스크) 지방에서 시작된 이 노래는 폴란드의 대표적인 민요 중 하나다. 실레시아는 체코 동북부와 폴란드 서남부에 걸쳐 있는 지역의 역사적 명칭이다.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폴란드 도시는 LG 가전공장이 있는 브로츠와프(Wrocław)다. "아가씨들아" 한국어 가사는 아래와 같다.
산새들이 노래한다 수풀 속에서
아가씨들아 숲으로 가자
우리들은 아름드리 나무를 지고
아가씨들아 풀을 베어라
트랄랄랄라 트랄랄랄라 트랄랄랄라
트랄랄랄라 트랄랄랄라 트랄랄랄라
트랄랄랄라 트랄랄랄라 트랄랄랄라
랄랄랄 랄랄랄 랄랄랄 랄라
한낮이 되면 모두 둘러앉아서
아가씨들아 점심을 먹자
하루일이 끝나면은 손에 손잡고
노래에 맞춰 함께 춤추자
원래 가사에 있는 사냥꾼이 번안곡에서는 나무꾼으로 탈바꿈되었을 뿐만 아니라 내용이 사뭇 다르다. 아래는 폴란드어 가사가 자막으로도 나오는 동영상이다.
폴란드어 원래 가사는 어떨까? 폴란드어 원래 가사도 일부가 조금씩 다르다. 1990년대 초 폴란드에 잠시 거주할 때 현주인들로부터 배운 민요라 더욱 애정이 간다.
폴란드어 가사 1 | 2 | 한국어 번역 - 최대석 (초유스) |
Szła dzieweczka Szła dzieweczka do laseczka, Do zielonego, do zielonego, do zielonego. Napotkała myśliweczka, bardzo szwarnego, Bardzo szwarnego, bardzo szwarnego. Gdzie jest ta ulica, gdzie jest ten dom, Gdzie jest ta dziewczyna, co kocham ją? Znalazłem ulicę, znalazłem dom, Znalazłem dziewczynę, co kocham ją. O mój miły myśliweczku, bardzom ci rada, Bardzom ci rada, bardzom ci rada. Dałabym ci chleba z masłem, alem go zjadła, Alem go zjadła, alem go zjadła. Jakżeś zjadła, tożeś zjadła, to mi się nie chwal, To mi się nie chwal, to mi się nie chwal. Jakbym znalazł kawał kija, to bym cię zabrał, To bym cię zabrał, to bym cię zabrał. |
아가씨가 갔지 아가씨가 숲에 갔지 푸른 숲으로 푸른 숲으로 푸른 숲으로. 사냥꾼과 마주쳤지 정말 잘생긴 정말 잘생긴 정말 잘생긴. 길거리가 어디, 집이 어디 내 사랑 아가씨 어디 있니? 길거리도 찾고 집도 찾고 내 사랑 아가씨도 찾았네. 나의 사랑 사냥꾼아, 정말 반가워 정말 반가워, 정말 반가워. 주고 싶은 버터빵을 먹어 버렸네 먹어 버렸네 먹어 버렸네. 먹었다니, 먹었다니, 내게 자랑 마 내게 자랑 마, 내게 자랑 마. 회초리를 찾는다면 널 때릴 텐데 널 때릴 텐데, 널 때릴 텐데. |
최근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번역된 가사를 살펴보게 될 기회가 생겼다. 노래 번역은 다른 번역에 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이 더 있다. 가장 중요한 사항이 악보 음표의 강약과 가사 단어의 강약을 일치시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가능하다면 각운을 맞추는 것이다. 그래서 원래 가사에 있는 단어가 없어지기도 하고 전혀 새로운 단어가 들어가기도 한다.
예를 들면 kun la ĝoj'와 sur la sama voj'는 원래 가사에 전혀 없다. 하지만 이 두 구를 넣으면서 ĝoj'와 voj'가 각운을 이룬다. 음절수를 제외하고는 한국어는 음절 강세나 각운이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번역자에게는 아주 다행스럽다.
에스페란토 가사 - Roman Dobrzyński | 한국어 번역 - 최대석 (초유스) |
Iris Knabineto Knabineto arbareton iris kun la ĝoj’, iris kun la ĝoj’, iris kun la ĝoj’, kaj renkontis ĉasisteton sur la sama voj', sur la sama voj', sur la sama voj'.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Ĉasisteto, samvojano, mi salutas vin, mi salutas vin, mi salutas vin. Vi ricevus buterpanon, sed mi manĝis ĝin, sed mi manĝis ĝin, sed mi manĝis ĝin. Se vi manĝis, do vi manĝis, ne incitu min, ne incitu min, ne incitu min. Se mi havus bastoneton, do mi batus vin, do mi batus vin, do mi batus vin. |
아가씨가 갔지 아가씨가 숲속으로 즐겁게 갔지, 즐겁게 갔지, 즐겁게 갔지. 사냥꾼을 마주쳤네 같은 길에서, 같은 길에서, 같은 길에서.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오 사냥꾼 길동무요,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주고 싶은 버터빵을 먹어 버렸네, 먹어 버렸네, 먹어 버렸네. 먹었다니 먹었다니 내게 자랑 마 내게 자랑 마 내게 자랑 마. 회초리를 찾는다면 널 때릴 텐데 널 때릴 텐데 널 때릴 텐데. |
아래는 전경옥 가수가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부른 폴란드 민요 "아가씨들아"다.
|
|
|
|
윗쪽으로 올라갈수록 얼음 조각의 크기가 점점 작아져 있다.
가운데 구간에 와보니 얼음 조각 덩어리들이 거대한 띠를 형성해 윗구간에서 떠내려오는 얼음 조각을 받아서 점점 자신의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깨지는 소리가 들리면서 조금씩 밑으로 내려가고 있다. 낮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엷게 열었던 얼음이 녹으면서 아랫구간에 공간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강 윗구간에서 녹아서 크고 작은 얼음 조각들이 떠내려 오고 있다. 그야말로 해동이다. 때론 저 얼음 위에 무임승차하여 강유람을 즐기는 새들이 눈에 띈다.
저 멀리 리투아니아와 빌뉴스를 상징하는 개디미나스(Gediminas) 성탑이 보인다.
|
|
|
|
한편 남쪽에 살고 있는 유럽 에스페란토 친구들은 날마다 천연색 꽃 사진을 올리면서 그곳의 봄소식을 전하고 있다. 그중 가장 인상적인 것은 헝가리 페치에 살고 있는 마리어(Mária)가 최근에 찍은 것이다. 1990년대 초 헝가리에서 보낸 봄철이 무척 그리워진다[사진출처 foto: Mária Tallászné].
북위 55도에 위치해 있는 빌뉴스에서 이런 자연의 꽃은 3월말이나 4월초에나 만날 수 있다.
다양한 색깔을 지니고 있어 보기만 해도 아름답다. 마치 각색의 물감을 칠해놓은 듯하다. 유럽에서 30년에 살면서 처음 보는 새다. 이 새의 정체는 무엇일까?
날개의 노란색과 얼굴의 빨간색이 돋보인다. 아프리카에서 봄기운을 타고 유럽으로 날아온 철새일까? 궁금해서 친구 마리어에게 물으니 곧장 답이 왔다. 이 새는 오색방울새(kardelo, Carduelis carduelis, European goldfinch)다.
아, 새가 지닌 색이 독특하다고 생각했는데 새이름도 참으로 이에 걸맞구나...
알고보니 이 오색방울새는 철새가 아니라 유럽에 자생하는 새다. 얼굴이 빨갛고 머리가 흑백이고 등과 측면은 담황색이다. 그리고 검은 날개에 넓은 노란색 줄무늬가 있다. 꼬리는 검고 엉덩이는 하얗다.
유럽 자생종이라고 하지만 남유럽과 서유럽에는 사계절 볼 수 있고, 발트 3국과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 등지에서는 여름철에만 볼 수 있다. 이젠 여름철 이곳에서 이 새를 만난다면 확실하게 그 이름을 알 수 있겠다.
|
|
|
|
유럽 리투아니아 빌뉴스는 지난해 거의 눈이 내리지도 않았고 날씨가 참 포근했다. 그런데 이번 겨울은 유난히도 추웠고 눈도 많이 내렸다. 다행히 2월 중순부터는 날이 풀려서 거의 매일 낮 온도는 영상이다.
그렇게 수북하게 쌓였던 거리 눈도 이젠 거의 녹아서 흔적을 찾기가 어렵다. 물이 잘 빠지지 않는 광장이나 공터는 웅덩이나 못으로 변하고 있다.
하지만 숲은 여전히 녹고 있는 눈이 덮고 있다. 이번 주말 소나무 숲이 울창한 인근 공원을 모처럼 찾았다. 공원 입구부터 산책의 즐거움보다 소나무의 안타까움이 기다리고 있었다.
부지런한 담당 공무원들이 넘어져서 산책로를 덮고 있는 소나무 가지들을 잘 정리해 놓았다.
사방에는 마치 전쟁의 포탄으로 무너지고 쓰러진 도심의 폐허를 보는 듯하다. 부러진 크고 작은 푸른 소나무 가지들이 도처에 흩어져 있다.
땅에 떨어지지마자 두 동강이 나버린 소나무 가지
땅으로 곤두박질친 소나무 가지
나무 뿌리도 뽑혀져 있다.
가지뿐만 아니라 소나무 기둥이 통채로 넘어져 있다.
목재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겠다. 벌목이 아니라 자연재해다.
펄펄 휘날리는 눈송이 쌓이고 쌓이고 쌓이면
엄청난 위력을 발휘해 마침내 수십년 쭉 뻗은
소나무 뿌리째 뽑거나 밑동을 부러뜨리다니...
쓰러진 소나무가
"뭐든지 적다고 작다고 가볍다고 무시하지 마라. 쌓이고 쌓이면 한 순간에 큰 힘이 될거야"라고 전하는 침묵의 소리가 산책하는 내내 내 귓가를 맴돌았다.
|
|
|
|
2월 17일 이발사로부터 영업이 재개되었다는 반가운 쪽지가 왔다. 그런데 이발비가 올랐다고 한다. 12유로(만 6천원)에서 14유로(만 9천원) 올랐다. 그동안 영업을 전혀 하지 못했으니 올리는 것도 이해가 되지만 코로나바이러스로 실직을 하거나 수입이 없는 사람들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 아쉽다. 그렇다고 이발은 안 할 수가 없으니 예약을 하려고 하니 벌써 예약이 밀려서 1주일 후에야 가능하다고 했다. 그렇게 이번 달 23일 이발소를 찾았다.
마스크를 낀 채 이발하는 동안 이발사와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눴다.
1. 영업 재개 조건
"이발소나 미용실은 어떤 조건에서 영업을 재개했나?"
"공간이 12평방미터를 넘어야 되고 한 공간에 이발사 한 사람만이 일할 수 있다. 이발사 한 명당 근무시간은 4시간으로 제한되어 있다. 여기는 평소 3명이 동시에 일하는 공간인데 보다시피 지금은 나 혼자 일한다."
2. 보상비는 없나
"강제휴업으로 국가가 보상 지원을 하지 않나?"
"그동안 한 달에 250유로(34만원) 지원을 받았다."
"없는 것보다는 좋지만 그것으로 생활하기는 힘들겠다."
"전기세, 수도세, 가스비, 난방비, 전화비 등으로 150유로 지불하고 나면 100유로도 채 남지 않는다."
"아, 모두가 힘든 세상이네..."
3, 영국 아들은 실업급여로 800파운드
"영국에 아들이 산다고 하더니 이 시기에 잘 지내나?"
"코로나바이러스로 자녀가 셋인 아들이 실직자가 되었다."
"아이고... 실업급여가 나오지 않나?"
"한 달에 실업급여로 800파운드(125만원)을 받고 있다고 한다."
"모두 잘 견뎌낼 수 밖에..."
머리카락은 평소보다 다섯 배나 더 자랐는데 이발은 평소보다 훨씬 빨리 끝났다. 평소 이발 소요시간은 30-40분인데 이번에는 20분도 채 소요되지 않았다. 그 까닭은 묻지 않았다. 성가시는 긴 머리카락이 잘려나간 것에 크게 만족할 뿐이다. 이발비가 14유로인데 "이번만 15유로 드릴게요."라고 말하고 나오자 곧 새로운 손님이 들어온다.
|
|
|
|
아름다운 자연풍광과 고대로마의 유적 등으로 유명한 발칸반도 크로아티아는 누구나 한번쯤 여행하고 싶은 유럽 나라다. 특히 들쭉날쭉 길게 뻗어있는 비취색 아드리아해 해안선은 유럽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 휴양지들이 즐비하다.
또한 내륙에 있는 플리트비체(Plitvička jezera) 국립공원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1979년에 지정되었다. 연이어진 청록색 호수 16개가 폭포를 이루면서 환상적인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 이 플리트비체 국립공원에 버금가는 호수와 폭포를 지닌 국립공원이 또 하나 크로아티아에 있다. 바로 크르카(Krka) 국립공원이다.
이곳은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찾아가기는 쉽지가 않다. 렌트카를 이용하거나 인근 주요 휴양도시(시베니크, 자다르, 스플리트 등)에서 현지 여행사의 하루 종일 관광 상품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편리하다. 크르카 국립공원의 핵심은 바로 총 길이 800미터에 17개 계단식으로 이뤄진 스크라딘스키 부크(Skradinski Buk) 폭포다. 먼저 로조바쯔(Lozvac 위치)로 가야 한다.
만약 렌트카를 이용할 경우 이곳에서 렌트카를 주차하고 입장권을 구입한 후 입구에서 전용버스를 타고 이동한다. 6월에서 8월까지 성수기 성인 1인당 개인 입장료는 200쿠나(약 3만5천원)다. 우리 가족은 이날 현지여행사의 관광 상품을 이용해 단체 입장료 150쿠나를 내었다.
구불구불하고 경사가 심한 숲길을 공원 전용버스가 데려다 준다.
저 아래 보이는 잔잔한 호수는 북유럽 피오르드를 연상시킨다. 여기가 치콜라(Čikola)이 크르카 강에 합류하는 곳이다. 바로 이 아래 스트라딘스키 부크 폭포가 있다.
주차장에서 내리자 매미소리와 경쟁하듯이 폭포소리가 울려퍼진다. 여기가 바로 스크라딘스키 폭포다. 들어가기만 하면 온몸이 청녹색으로 물들어질 듯하다.
가까이 갈수록 매미소리(참고로 크로아티아 매미 울음소리는 귀를 막고 싶을 정도로 크다)는 폭포소리에 파묻히고 만다. 부서지는 하얀 물과 흘러내리는 녹색 물이 자연의 색바림(그러데이션)을 보여주고 있다.
크르카 국립공원 여행의 백미는 노천 자연수영장에서 폭포의 웅장한 소리를 들으면서 하는 수영이다. 수온이 따뜻한 6월에서 9월까지 허용되지만 날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얀 폭포수를 쉬임없이 토해내는 장엄한 폭포의 광경을 물보라를 맞으면서 보고 있으니 시원한 청량감이 뼈속까지 스며든다.
폭포 바로 밑까지는 위험하기 때문에 접근을 막는 안전줄을 쳐놓았다.
돌바닥이 미끄러울 뿐만 아니라 여기저기 날카로운 부분이 있어서 조심하지 않으면 긁히기 쉽다. 수영용 신발을 신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눈에 띈다.
물이 참으로 맑고맑다. 하지만 헤아릴 수 없는 세월 동안 물흐름의 강약이 빗어낸 돌바닥은 평평하지 않고 울퉁불퉁하다. 곳곳의 물깊이가 다르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또한 돌 사이에 발이 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만약 물이 말라서 돌바닥 모습이 밖으로 훤히 드러난다면 기암괴석임이 틀림없을 것이다.
폭포 가까이 여객선 선착장이 있다. 우리가 선택한 하루 종일 관광 상품은 여객선을 타고 크르카 강을 유람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석회암 지대로 인해 생긴 비취색 강물이 참으로 이국적이다. 거주하고 있는 북유럽 리투아니아의 강은 대체로 갈색에 가깝다. 여기가 강이 아니라 잔잔한 아드리아해로 착각할 정도이다.
어찌 이런 풍광에 들고간 카메라를 놀릴 수가 있겠는가...
스크라딘(Skradin)에서 폭포로 향하는 여객선이다.
크르카 강변에 자리잡은 소도시 스크라딘(Skradin)이다. 자연수영장이 있는 스크라딘스키 폭포 이름은 바로 이 도시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우리는 이곳에서 여객선에서 내려서 기다리고 있던 관광버스를 타고 구불구불한 산악도로를 따라 이동한다.
1990년대 초 참혹한 전쟁을 경험한 크로아티아 국민들은 남다른 애국심을 가지고 있다. 산정상이나 언덕 등에서 펄럭이는 크로아티아 국기를 여기저기에서 볼 수 있다.
우리가 도착한 곳은 루페(Rupe 위치)다. 이곳에서 버스를 세워 놓고 우리 일행은 소형차들만이 다니는 다리를 건너 로슈키 슬라프(Roški slap) 가까이 있는 식당(위치)에서 오후 두 시에 늦은 점심을 먹는다.
거대한 무화과나무 밑에서 일행과 함께 크르카 강과 호수에서 잡은 민물고기를 택한다. 어릴 때 한국에서는 드물게 본 무화과나무가 크로아티아에는 지천에 널려 있다.
점심 식사 후 인근에 있는 크리스티얀(Kristijan 위치) 둘러본다. 물속에는 수많은 크고 작은 물고기들이 노닐고 있다. 점심에 먹은 생선도 얼마전까지만 해도 이렇게 자유롭게 돌아다녔을텐데 말이다. 애궁~~~
크르카 강물이 폭포에서 떨어져 비소바츠(Visovac) 호수로 유입되고 있다.
나무나 수풀 사이에 크고 작은 폭포가 산재해 있다. 거대한 사슴 조각상도 시선을 끈다.
맑고 차가운 물에 발을 다금니 온몸이 시원하다.
이곳에 있는 박물관을 구경하다 만난 직원의 키가 하도 크기에...
돌로 이어진 지붕이다.
방 중앙에 불을 피워 난방과 요리를 했다.
물레방아로 맷돌을 돌려 옥수수를 빻고 있다.
강력한 물의 낙차를 이용해 세탁을 하기도 했다.
시원한 노천탕에 앉아 더위를 잊는 아이의 미소를 보고 있노라니 숲속의 요정이 쉬고 있는 듯하다.
자다르(Zadar) 인근에서 체류하면서 이날 구입한 하루 종일 관광 덕분에 장엄한 폭포, 청녹색 강 유람 그리고 로스키 슬라프 인근에 있는 박물관 등을 두루 둘러볼 수 있었다. 크로아티아는 기회 닿을 때마다 가고 싶은 여행지다. 아래는 스트라딘스키 부크 폭포에서 자연수영장을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이상은 초유스의 크로아티아 가족 여행기 1편입니다.
초유스 가족 크로아티아 여행기
|
|
|
|
코로나바이러스 범유행으로 국경이 폐쇄되고 지역간 이동마저도 제한되어 있다. 어디를 가고 싶어도 가지를 못한다. 그동안 바빠서 정리하지 못한 옛 여행을 되돌아본다. 언젠가 라트비아 서부지방을 다녀왔다.
폭포라고 하면 높은 산악에서 떨어지는 웅장한 폭포가 먼저 떠오른다. 유럽에서 가장 폭이 넓은 폭포는 어디에 있을까? 답은 뜻밖일 것이다. 바로 발트 3국 중 가운데 위치한 라트비아에 있다. 라트비아 서부지방 쿨디가(Kuldīga)에 있는 벤타스 룸바(Ventas Rumba, 벤타 급류)다. 벤타(Venta)는 리투아니아에서 시작해 라트비아를 거쳐 발트해로 들어가는 강이다.
폭의 길이는 249미터이고 눈이 녹아서 수량이 높아지는 봄 홍수철에는 270미터에 이른다. 평균적으로 100-120미터다. 높이는 1.6-2.2미터다. 이 폭포로 인해 내륙수로 운송이 불가능하므로 쿨디가가 자연스럽게 형성이 되었다. 1242년에 처음으로 언급되었고 1368년 한자동맹에 가입했다. 엘가바(Jelgava)과 더불어 쿠를란트 공국(1561-1795)의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다.
17세기 쿠를란트 야콥 케틀레르(Jacob Kettler 1610-1682) 공작이 우회 운송로 개설을 시도했으나 백운석이 너무 단단해 작업이 느리고 힘들어 포기했다. 19세기 제정 러시아도 발트해와 흑해를 잇는 내륙수로 개통 일환으로 이곳에 수로 건설을 시작했다. 역시 백운석 암반이 굴착하는 데 어렵고 또한 강 충분히 넓지도 않고 깊지도 않아서 운하건설 공사를 중단했다. 그 당시의 운하 유적이 여전히 남아 있다.
중세 시대 이곳은 연어나 철갑상어 등 산란 물고기 잡이로 유명했다. 1640년경 야콥 공작이 흥미로운 낚시법을 고안했다. 기반암을 파서 낚시용 보를 만들고 커다란 버드나무 바구니를 이용했다. 산란 물고기가 폭포를 뛰어 넘지 못하고 밑으로 떨어질 경우 바구니에 걸리도록 했다.
지금은 연어와 철갑상어는 이곳에서 사라졌다. 이곳에서 1892년에 마지막으로 철갑상어가 잡혔다. 봄과 가을에 산란 물고기가 공중으로 뛰어올라 폭포를 넘으려는 진귀한 풍경이 펼쳐진다.
벤타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다. 붉은 벽돌로 1874년에 완공되었다. 7개의 아치로 되어 있다. 총길이는 164미터로 유럽에서 가장 긴 벽돌 교량이다. 이 다리에서 폭포를 감상한 후 강변을 따라 폭포까지 구경을 다녀올 수 있다.
유럽에서 가장 폭이 넓은 폭포이지만 웅장하지 않고 붉은 벽돌 다리와 어울러 목가적인 풍경을 만끽할 수 있게 한다. 자유여행으로 라트비아를 샅샅이 둘러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가볼만한 곳이다.
|
|
|
|
이번 주 수요일(10일) 빌뉴스에는 32명이 동시에 방역지침을 어겨서 과태료를 부과받았다. 이날 밤 빌뉴스 시내 한 아파트에서 프랑스, 벨기에, 오스트리아,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인도, 터키, 에스토니아 그리고 러시아에서 온 외국 유학생들이 모여 모임을 가졌다. 소음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자 이웃이 경찰에 신고했다.
아래는 리투아니아 경철청의 현장 영상이다.
|
|
|
|
죽은 나무 한 그루가 공원 한가운데우뚝 서 있다. 한 사람이 여러 각도에서 사진을 찍는 데 심취해 있다.
이 나무를 베어내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
나무 기둥 둘레는 인공새집으로 가득 차 있다.
하얀 눈 모자를 쓰고 있는 알록달록한 인공새집이 새들에 대한 사람들의 배려만큼 돋보인다.
|
|
|
|
|
|
|
|
대체로 사과 크기가 크고 껍질이 얇다. 육즙이 많고 신맛과 단맛이 적절하다. 그야말로 씹으면서 새콤달콤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유럽 슈파마겟 사과판매대에서 무슨 사과를 사야할까를 망설이는 사람에게 이 조나골드를 권한다.
|
|
|
|
유럽인 아내는 꿀과 함께 크랜베리를 믹서기로 갈아서 유리병에 담아 냉장고에 겨울철용으로 보관하고 있다. 참고로 크랜베리는 넌출월귤이라 부르기도 한다. 직접 채취한 양만으로는 부족했는지 이번 일요일 아내는 대형 슈퍼마켓에서 나와서 거리 노점상으로 다가간다.
첨가물: 호두
첨가물: 생강
항산화 물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천연 야생의 크랜베리가 좋은 효과를 발휘해 겨울철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켜주길 바란다. ㅎㅎㅎ
|
|
|
|
전부 헌책이다. 뒷표지를 보니 도서관 도서 일련번호가 붙여져 있다. 모든 교재를 이렇게 도서관에서 빌려서 앞으로 공부한다고 한다. 부모 입장에서는 정말 좋지만 책을 펴내 이것으로 가르치는 교수들은 부수입이 따로 없어서 어쩌지.... ㅎㅎㅎ
대부분 학생들은 컴퓨터 노트북에 기록하지만 직접 필기를 하는 것이 좋아서 큰 공책을 구입했다고 한다.
공책 뒷표지를 보니 가격이 적혀 있다. 공책 한 권에 3.5유로이니 한국돈으로 약 5천원 정도다. 대학생용 공책의 값을 처음 알게 되었다.
"공책 산다고 돈을 달라고 하지 왜 안했어?"
"비싸지만 내 돈으로 샀어."
"그래도 공책 사 줄 여유는 있으니까 사달라고 해."
"괜찮아. 대학생이 됐으니까 이런 것도 이제 스스로 해결하도록 할게."
이렇게 자녀교육비에 걱정이 없는 곳에 살고 있다는 것에 깊은 감사를 느낀다. 세계 모든 나라가 적어도 국민의 교육과 의료를 책임져 주는 시대가 빨리 오길 바란다.
|
|
대학시절에 샀던 비싸고 두꺼운 교재들을 아까워 쌓아놓았다가 결국은 고물상아저씨에게 몇만원에 팔았던 기억이 있어요. 그 어마어마한 돈을 주고 산 책들을 그냥 무게로 달아서 오만원도 안되는 돈으로 가져가 버릴때의 허무함과 분노를 잊을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제 아들도 자기가 산 교재를 처분하기 아까우니 방에다 쌓아두고있는데, 결국은 버릴거라 생각합니다.
이쯤되니 교재를 사라고 하는 교수들에게 화가 나더군요.
우리나라도 도서관에서 교재를 빌려 썼으면 좋겠어요.
안녕하세요, 옛 생각에 리투아니아 검색을 하다 이런 블로그가 있는 줄은...
2017년에 빌뉴스 대학에서 교환학생을 다녀왔는데 따님이 학교에서 받은 서적에 붙어있는 VU 비블리오테카 스티커가 참 눈에 익숙하네요. 훌륭한 학교에 진학하신 따님이 많이 자랑스러우실 듯 합니다
코로나 시국이다 보니 좋았고 힘들었던 리투아니아 기억이 많이 나는 때입니다. 상황이 진전되고 저도 언젠가는 다시 빌뉴스를 찾아가고 싶네요. 오늘은 블로그 글 보면서 많이 힐링하고 가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들 교재 부수입 얘기에 빵 터졌습니다 ㅎㅎㅎㅎㅎㅎ 대학시절 저희 에스페란토 교수님도 직접 집필하신 교재로 가르치셨는데 수업첫날 부끄러워 하시며 책을 사야한다고 말씀하시던 귀여운(?) 모습이 간만에 떠올라 신나게 웃었네요 ㅎㅎㅎㅎ
요가일래양 대학 무료과정 입학을 축하드립니다!!
저도 두 개 국가에서 일을 하고 사회를 겪어보니 확실히 취업과 생활을 생각하면 진로에 관해 최선생님 부부의 말씀이 맞다는 생각이 들지만, 학부전공이 전부가 아닐수도 있고 또 요가일래양 능력이 워낙 다방면으로 남다르게 출중하니 분명 여기저기서 모셔가려는 능력있는 졸업생이 될거라 예상합니다. 코로나가 여전히 꺾일줄을 모르고 있는데 최선생님 그리고 가족분들 모두 안전하고 건강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
|
일전에 북유럽 리투아니아 지방도시에 살고 있는 리투아니아인 장모님댁을 다녀왔다."내일 아침 날씨가 좋은데 버섯 채취하러 가고 싶어요.""좋지.""그물버섯이 아직 있으면 참 좋겠어요.""내가 그물버섯이 많이 있는 곳을 알고 있으니 같이 가보세."
그물버섯은 학명으로 볼레투스 에둘리스(boletus edulis)고 포르치니(porcini)로 널리 알려져 있다. 여기 사람들은 이 버섯을 최고로 꼽는다. 향과 질감이 좋다. 연하면서 쫄깃하다. 바로 아래 사진 속 버섯이 그물버섯이다. 이 버섯을 잔뜩 기대하면서 아침 일찍 일어나 소나무와 전나무가 울창한 숲 속을 이리저리 헤맸다.
그런데 아쉽게도 그물버섯 한 송이도 찾을 수 없었다. 인적이 있는 것을 보니 하루 전이나 우리보다 일찍 누군가 채취하고 갔을 지도 모르겠다. 아니면 9월 하순이라 벌써 버섯철이 지난 것일 수도 있겠다.
그냥 포기하고 돌아가려고 하는 찰나에 "마지막으로 저 전나무 숲으로 들어가보자"하면서 장모님이 앞장을 섰다.
"와~~~ 이리로 오게."
"그물버섯이요?"
"아니. 다른 버섯."
푹 쌓인 전나무 솔잎과 이끼 위에 버섯이 지천에 깔려 있었다.
"버섯 이름이 뭐예요?
"Ruduokė 혹은 rudmėsė."
이 버섯을 채취하는 모습을 4K 영상에 담아봤다.
처음 듣는 이름이라서 구글 검색을 해보니 이 버섯의 학명은 lactarius deliciosus (lactaria deliciosa agaricus deliciosus)이고 영어로는 saffron milk cap 혹은 red pine mushroom이다. 한국어로는 붉은젖버섯이다. 주름살을 살펴보면 붉은색 계통이다.
한참 동안 붉은젖버섯을 채취하니 내 손가락과 손바닥은 붉은색이 아니라 당근색으로 변했다.
한편 주름살이 상처를 입으니 점점 녹색으로 변했다. 집으로 와서 다시 붉은젖버섯을 꼼꼼히 손질을 했다.
갓 채취한 버섯을 요리했다. 붉은젖버섯은 날 것으로도 먹을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장모님은 아무리 좋은 식용버섯이라도 무조건 두 차례 끓인다고 한다. 리투아니아인들이 즐겨 해먹는 붉은젖버섯 요리법을 소개한다.
1. 버섯을 두 차례 끓인다
2. 돼지비계와 양파를 잘게 썰어 팬에 굽는다
3. 밀가루를 넣는다
4. 크림을 넣는다
5. 소금을 넣는다
6. 끓인 버섯을 두 차례 물로 씻어낸다
7. 버섯을 소스에 넣고 잘 섞는다
이렇게 삶은 햇감자 함께 붉은젖버섯 요리가 접시에 담겼다. 간단한 요리법이라 크게 기대하지 않았지만 맛이 아주 좋아서 두 접시를 말끔히 비웠다. "붉은젖버섯이 그물버섯만큼이나 맛있다"고 말하는 리투아니아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는 점심이었다.
붉은젖버섯을 손질하고 요리하는 모습을 영상에 담아봤다. 다음해부터는 숲 속에서 그물버섯만 찾지 말고 이 붉은젖버섯도 찾아야겠다.
|
|
|
|
* 니다 여행의 백미는 바로 사구 걷기
* 저 멀리 사구에 러시아와 리투아니아의 국경선이 있다
* 여행객 초유스다
|
|
|
|
코로나바이러스 범유행으로 거주국인 리투아니아에 머물러야 하는 올해 틈틈이 4K 워킹투어 길거리 영상 등을 찍고 있다. 일전에 가족과 함께 리투아니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 클라이페다를 다녀왔다. 수도 빌뉴스에서 서쪽으로 300km 떨어져 있고 왕복 4차선 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여름철 고속도로 제한속도가 시속 130km이므로 3시간 내로 도착할 수 있다.
참고로는 리투아니아는 자가용 승용차는 고속도로 통행료가 따로 없다. 9인승 이상 승합차나 버스 그리고 3.5톤 이상 화물차 등은 도로세[1일 6유로 내지 11유로 - 관련사이트 vignette tariffs]을 내야 한다. 지정된 주유소나 인터넷으로 통행권을 구입할 수 있다.
클라이페다[Klaipėda, Klaipeda]는 발트해에 접해 있는 리투아니아의 유일한 항구도시다. 옛부터 부동항으로 해상 물류와 교통의 요충지다. 인구 15만명인 클라이페다는 리투아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다. 시내 중심가를 흐르는 다네 강을 따라 바다쪽으로 나아가는데 눈에 들어오는 목골 건물들의 모습이 낯설다. 리투아니아가 아니라 독일의 어느 도시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클라이페다는 1252년 독일 기사단이 세웠고 옛 이름은 메멜(Memel)이다. 1919년까지 프로이센에 이어서 독일에 속했다. 1차 대전에 패한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이곳을 연합국에 빼앗겼고 프랑스가 임시로 통치했다.
1923년 리투아니아인 거주자들이 반란에 성공함으로써 리투아니아에 흡수되었다. 1939년에서 1944년까지 다시 독일에 속했고 1945년부터 오늘날까지 리투아니아 땅이다. 전체 클라이페다 인구의 6%가 러시아인들이다.
* 클라이페다 극장광장
이날 우리가 도착한 무렵이 저녁이었다. 우선 야간의 클라이페다 구시가지를 둘러본다. 코로나바이러스 범유행임에도 레스토랑이나 술집 야외 좌석은 사람들로 거의 다 차 있다.
다음날 아침 쌀쌀하고 구름낀 날씨를 아쉬워하면서 클라이페다 구시가지 여기저기를 걸어서 둘러본다.
오후로 접어들자 기온은 여름날이다. 일광욕뿐만 아니라 해수욕까지 기대하면서 클라이페다 맬른라게(Melnrage) 해변으로 향한다. 바닷물 가까이에 가니까 물렁물렁한 해파리가 눈에 들어온다. 자세히 보니 해파리가 그야말로 천지 삐까리다.
해수욕을 할 수 없으니 커피가게가 있는 저 멀리까지 쭉 걸어가본다.
리투아니아 올해 9월은 50년만에 찾아온 따뜻한 날씨다. 여름철에 못한 해변 일광욕을 이날 짧으나마 즐길 수 있는 시간이었다.
|
|
|
|
|
|
|
|
* 관목 가지에 붙어 있는 열매가 월귤 즉 링곤베리(lingonberry)다.
* 바닥 위에 가느다란 줄기로 이어져 있는 열매가 넌출월귤 즉 크랜베리(cranberry)다.
|
|
|
|
|
|
|
|
|
|
댓글을 달아 주세요
글 잘보고 공감 누르고 갑니다.
2022.04.21 09:46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