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에 해당되는 글 26건

  1. 2022.10.06 038 - 에스페란토 번역 - 김원중의 바위섬
  2. 2017.03.01 Tri kialoj por ekskursi dum la Seula UK
  3. 2015.02.20 한국어 단어 엿을 에스페란토로 어떻게 표현해야 5
  4. 2015.01.28 10a Internacia Esperanto-Renkontiĝo de Meditado
  5. 2014.12.13 한국시: 김소월 - 개여울 - 에스페란토 번역
  6. 2014.05.22 초등 6, 영어 시험이 영어로 영어 문법 설명 2
  7. 2014.03.19 한국시: 한용운 - 복종 - 에스페란토 번역
  8. 2014.03.11 딸아이의 휴대폰 한글 문자쪽지 엉터리 투성 2
  9. 2014.03.07 외국인으로 믿기 어려운 한국어 쓰기 솜씨 4
  10. 2013.10.11 70세 곧 은퇴할 브라질 외교관이 준 강한 인상
  11. 2013.10.04 일흔 넘었지만 한국어는 꼭 배워야겠다 1
  12. 2013.08.08 초등 5학년 딸아이의 즉석 영어 작문 실력은?
  13. 2013.05.13 제일 좋은 학교에 못가더라도 러시아어 선택 3
  14. 2012.06.01 한국어 수강생들의 종강 깜짝 케익 선물 2
  15. 2012.05.30 44시간 한국어를 배운 유럽인 여고생 5
  16. 2011.04.15 한국어에 푹 빠진 빌뉴스 학생들 5
  17. 2010.06.07 56개 언어 가능 기네스 기록자 대망신
  18. 2010.05.27 영국식 외국어로 돌아온 러시아어
  19. 2010.03.05 아기 때부터 영어 TV 틀어놓으면 효과 있을까 12
  20. 2010.01.17 배우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는 외국어 10
  21. 2009.12.19 '새끼'와 '임마'가 '시키마'로 변한 사연 6
  22. 2009.09.28 가장 많이 외국어를 구사하는 유럽 국가는? 1
  23. 2009.09.13 만화책 같은 초등학교 첫 영어책 5
  24. 2009.04.25 5개 언어로 자유롭게 취재하는 기자 1
  25. 2008.11.05 영어 홍수 속에 여전히 살아있는 에스페란토 2
  26. 2008.09.03 다문화가정의 2세 언어교육은 이렇게 17

Koreaj Kantoj en Esperanto | Korea Kantaro en Esperanto | Korea Populara Kanto
한국인들이 애창하는 노래를 틈틈이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번역하고 있다.
그동안 번역한 노래를 수록한 책이 2022년에 발간되기도 했다.

* 사진출처 image source link

 

작사 배창희 | 작곡 배창희 | 노래 김원중 | 번역 최대석

 

바위섬
Rokinsulo

파도가 부서지는 바위섬
인적 없던 이곳에
세상 사람들 하나 둘 
모여들더니
Al insul', kie disrompiĝis ond',
al senhoma ĉi teren'
pli kaj pli da homoj de l' mond'
venis daŭre jen.

어느 밤 폭풍우에 휘말려
모두 사라지고
남은 것은 바위섬과 
흰파도라네
En la nokt' disblovite de fajfun', 
malaperis ĉiuj for;
solaj restis la rokinsul'
kaj la blanka ond'.

바위섬 너는 내가 미워도
나는 너를 너무 사랑해
다시 태어나지 못해도
너를 사랑해
Ho insul', eĉ se vi malamas min,
tamen mi pasie amas vin;
eĉ se mi ne renaskiĝos plu,
mi amegas vin.

이제는 갈매기도 떠나고
아무도 없지만
나는 이곳 바위섬에 
살고 싶어라
Ankaŭ nun mevoj jam forlasas vin, 
restas tute neni',
sed ĉi tie enl la insul'   
vivi volas mi.

바위섬 너는 내가 미워도
나는 너를 너무 사랑해
다시 태어나지 못해도
너를 사랑해
Ho insul', eĉ se vi malamas min,
tamen mi pasie amas vin;
eĉ se mi ne renaskiĝas plu,
mi amegas vin.

이제는 갈매기도 떠나고
아무도 없지만
나는 이곳 바위섬에 
살고 싶어라
나는 이곳 바위섬에 
살고 싶어라
Ankaŭ nun mevoj jam forlasas vin, 
restas tute neni',
sed ĉi tie enl la insul'   
vivi volas mi,
sed ĉi tie sur la insul'   
vivi volas mi.

에스페란토 "바위섬"의 악보와 가사는 아래 첨부물을 내려받으면 됩니다.

038_win10_501_rokinsulo_김원중_바위섬.pdf
0.05MB

Posted by 초유스
에스페란토/UK-20172017. 3. 1. 06:02

Jam aperis la Dua Bulteno por mendi ekskursojn kaj hotelojn. Pluraj amikoj petas min rekomendi, simple pro tio, ke mi estas el Koreio. Mi loĝas jam 25 jarojn en Eŭropo. Tamen mi naskiĝis en Koreio kaj studis en Seulo. Mi do ŝatus helpi vin elekti iujn precipe el la tuttagaj kaj duontagaj ekskursoj. 
Koreio estas lando lingve tute fremda por multaj kongresanoj, trafike tre komplika kaj enurbe dense loĝata. Tial al ili malfacilas turismi sola sen loka akompananto. Mi rekomendas al vi mendi ekskursojn por pli multe ekscii pri la kongresaj lando kaj urbo. Jen mi koncize prezentas tri kialojn por ĉiu ekskurso. 

Tuttagaj ekskursoj
 
E1: KSZ, Imjingak
▶ Mardo kaj merkredo 9h00 – 17h30 Prezo: € 74
1. Viziti la unikan restaĵon de la malvarmmilita erao en la Korea duoninsulo dividita.
2. Vidi la plej grandan naturrezervejon de Azio, kiu estas senhoma dum pli ol 60 jaroj.
3. Kompreni ardan popolan deziron pri la nacia unuiĝo.  

E2: Korea Folklora Vilaĝo, Fortikaĵo Hwaseong 
▶ Merkredo kaj ĵaŭdo 9h00 – 17h30 Prezo: € 49
1. Rigardi korean vivon antaŭ pluraj jarcentoj en la granda vilaĝo abunda je tradiciaj diversaj domoj kaj distraj spektakloj.
2. Rememori la lokon, kie filmitaj estis multaj koreaj historiaj filmoj kaj televidaj dramoj.
3. Vidi la korean unikan defendan sistemon de la 18a jarcento (Uneska heredaĵo).

E3: Vilaĝo Hanok en Jeonju 
▶ Merkredo 8h00 – 18h30 Prezo: € 56
1. Viziti unu el la ĉefaj turismejoj de la sudokcidenta parto de Koreio.
2. Vidi la kvartalon de dense lokitaj koreaj tradiciaj loĝdomoj en la urbocentro.  
3. Gustumi lokajn specialajn manĝaĵojn.

E4: Buyeo, iama ĉefurbo de Baekje
▶ Lundo kaj merkredo 8h00 – 18h00 Prezo: € 48
1. Viziti la lastan ĉefurbon de la antikva dinastio Baekje (18 a.K.–660) (Uneska heredaĵo).
2. Vidi la tumulan reĝtombaron kaj aliajn antikvajn historiaĵojn.
3. Ĝui montpejzaĝon el plezurŝipo.

E5: Templo Jeondeungsa en Ganghwa, Marska sperto 
▶ Merkredo kaj vendredo 9h00 – 18h00 Prezo: € 48
1. Viziti la kvaran plej grandan insulon, enirejon al la rivero Hangang, kiu trakuras Seulon.
2. Vidi la budhanan templon ekkonstruita en la 4a jarcento, kiu konservis La Kronikojn (1413-1865) de la Dinastio Joseon. 
3. Sperti tre raran okazon kapti konkojn, krabojn kaj aliajn vivulojn en mara ŝlimo.  

E6: Templo Silleuksa en Yeoju, Ceramika Muzeo en Icheon 
▶ Merkredo 9h00 – 18h00 Prezo: € 49
1. Viziti la solan budhanan templon de Koreio, kiu estis konstruita ĉe riverbordo.
2. Ĝui pacan pejzaĝon, en kiu harmonias malalta montaro kaj vasta rivero.  
3. Konatiĝi kun la historio kaj tradicio de korea ceramika arto. 

Duontagaj ekskursoj

D1: Palaco Gyeongbokgung, Gwanghwamun, Sarangchae 
▶ Vendredo 8h00 – 12h00 Prezo: € 28 
* La enira pordego Gwanghwamun al Gyeongbokgung (Foto: http://photos.miceseoul.com/)
1. Viziti la reĝan ĉefpalacon de la dinastio Joseon, la simbolon de la nacia suvereneco.
2. Vidi aparte la konstruaĵon, en kiu kreiĝis la korea alfabeto 'hangulo'.
3. Rigardi koreajn tradiciajn metiaĵojn kaj la materialojn rilatajn al la sinsekvaj prezidentoj.   

D2: Palaco Changdeokgung, Stratoj de Insadong
▶ Mardo 8h00 – 12h00 Prezo: € 29
1. Viziti la palacon plej longatempe loĝatan de reĝoj (Uneska heredaĵo) kaj strukturitan konforme al la ĉirkaŭa naturo.
2. Admiri la solan malantaŭĝardenon de koreaj palacoj, kiu reprezentas koreajn tradiciajn ĝardenojn. 
3. Promeni en la tradiciaj stratoj plenaj de antikvaĵejoj, artvendejoj, butikoj, galerioj kaj teejoj.

D3: Dezajna Placo Dongdaemun, Bazaro Gwangjang 
▶ Lundo 8h00 – 12h00 Prezo: € 24
1. Vidi propraokule, kiel la sporta komplekso ŝanĝiĝis al la plej moderna dezajna placo.
2. Viziti la korean modan nabon enhavantan dezajnan muzeon, dezajnan galerion, historian salonon kaj ekspoziciejojn. 
3. Ĝui la unuan korean ĉiutagan bazaron plenan de homoj, varoj kaj manĝaĵoj.

D4: Piediro laŭ la urbomuro Hanyang
▶ Lundo 8h00 – 12h00 Prezo: € 23
1. Jen bonega ŝanco grimpi sur la monton, kiu ĉirkaŭas la Seulan centron.
2. Promeni laŭ la urbomuro konstruita en la 14a jarcento.
3. Renkonti la ekologian medion, historion, kulturon kaj naturon de Seulo - fascina rigardo al la Seula urbocentro, kie harmonias tradicio kaj moderno.

D5: Botanikejo Hongneung 
▶ Ĵaŭdo 8h00 – 12h00 Prezo: € 23
1. Viziti la unuan botanikan arbaron en la estinta tombo de la imperiestrino.
2. Vidi koreajn diversregionajn plantojn.
3. Ĝui promenadon en la arbaro, fuĝante de la somera varmego.   

D6: Seula Turo en Namsan, Itaewon
▶ Merkredo 18h00 – 22h00 Prezo: € 30 
1. Supreniĝi al unu el la plej altaj punktoj de Seulo.
2. Ĝui noktan pejzaĝon de Seulo el ĉiu direkto.
3. Viziti la multkulturan kvartalon de Seulo.

D7: Koreaj Manĝaĵoj 
▶ Ĵaŭdo 13h00 – 18h00 Prezo: € 34
1. Viziti la rizkukan muzeon. 
2. Konatiĝi kun korea kuirarto.
3. Vidi ankaŭ multajn koreajn manĝaĵojn uzatajn en tradiciaj ritoj.   

D8: Nacia Muzeo, Hangula Muzeo 
▶ Dimanĉo 13h00 – 17h00 Prezo: € 28
1. Pli multe ekscii pri la korea historio kvinmiljara.
2. Vidi multajn naciajn trezorojn.
3. Konatiĝi kun la ekesto, populariĝo kaj lastatempa disvastiĝo de hangulo.

Mi esperas, ke la supraj kialoj iom helpos vin elekti taŭgajn ekskursojn laŭ viaj preferoj, scivoloj kaj interesoj.
Verkis CHOE Taesok
Posted by 초유스

아래는 한국어 단어 엿을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에 대한 Lingva konsultejo 토론 내용이다. 대부분 이 엿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데 동의한다. 여러 가지 제안이 나왔다. joto, jato, jeoto, joso다. 이 문제를 제기한 초유스는 결국 에스페란토에서 이 단어를 가장 많이 사용할 수 있는 사람들은 한국 에스페란토인이기 때문에 이들 귀에 joto, jato, jeoto보다 joso가 문장 속에서 더 쉽게 원래 한국어 단어를 알아볼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이에 Bertilo, Gamacho, Jorge가 이 댓글에 좋아하기를 누르게 되었다. 혹시 더 좋은 의견이 있으신 분들은 댓글을 달아주세요.    


SJ Yang - originally posted to Flickr as KICX0531


FROM NOTIFICATIONS

Mi nun tradukas libron, en kiu aperas la nomo de la korea dolĉaĵo, kiu aspektas en la fotoj. Ĝi nomiĝas 엿 (yeot) en la korea, unu el la koreaj tradiciaj dolĉaĵoj, farita el vaporkuirita rizo, glueca rizo, sorgo, maizo, batata amelo aŭ alia greno. Oni miksas vaporkuiritan grenon kun malto kaj dekoktas ĝin en kaldrono por longa tempo. Ĉu iuj havas la ideon kiel traduki ĝin en Esperanto? 

http://en.wikipedia.org/wiki/Yeothttp://es.wikipedia.org/wiki/Yeot

* korajn dankon pro viaj valoraj komentoj, kiuj ja kuraĝigas al mi enkonduki novan vorton. Mi cerbumis inter joto, joso (prononce yeot, sed skribe jeos), jeoto. Joto en Esperanto jam havas sian signifon. Nun mi kliniĝas al 'joso'.

Like ·  · 
  • Renato Corsetti Mi dirus ke oni rajtus enkonduki la radikon "jeot-o" por ĝi. La apartajn specojn de jotoj, pri kiuj parolas vikipedio, oni povus redoni per "jeoto" kaj adjektiva priskribo.
  • André Müller Dolĉaj grenbastonetoj, se oni ne bezonas iun precizan nomon por ekzakte tiu afero (tiu vorto povus ja ankaŭ priskribi "cereal bar", germane "Müesliriegel").
    Se oni volas inventi fakvorton, tiam eble "joto" taŭgus. Aŭ eble "joso" laŭ la ortografio de la korea.
  • Istvan Ertl sed kial ne "jato"?
  • André Müller Atentu, ke jeot' kiel radiko havus 2 silabojn, la korea vorto nur unu, la -eo- estas unu vokalo (inter o kaj a). Ne rekreu abomenan mistransskribon kiel por "Seulo".
  • André Müller Jes, jato ankaŭ povus taŭgi.
  • Jorge Camacho Unue oni havu gheneralan, sisteman regularon por esperantiga transskribo de koreaj sonoj. Eble -eu- kaj -eo- tute ne estas monstraj ene de tiu sistemo. Pensu pri "teamo", "soifo" ktp.
  • André Müller Hm, bona argumento, Jorge.
  • Jorge Camacho Kompreneble, sistemo au regularo povas havi esceptojn au neregulitajn partojn: soifo/vualo.
  • Renato Corsetti Pardonu! Mi havas neniun ideon pri la elparolo de la korea. Ĝenerale mi ekirus de la elparolo per la plej proksima Esperanta sono, krom se oni volas diri "grenbastoneto".
  • André Müller Mi kredas, ke la elparolo de la korea vorto estas [jʌt], do, kiel la angla "but", sed kun y-sono je la komenco.
  • Renato Corsetti En tiu okazo, mi dirus "jat-o".
  • Bertilo Wennergren Problemeto pri uzo de "eo" estas, ke "eo" estas uzata en unu sistemo de transskribado de la Koreo, sed ne en ĉiuj. Tiu sistemo nun estas oficiala (en Sud-Koreujo), sed ĝi estas sufiĉe nova (enkondukita en 2000) kaj oni abunde uzas ankaŭ aliajn sistemoj...See More
  • Markos Kramer Pro la komento de Bertilo mi opinias, ke estas pli bone baziĝi sur prononco ol sur la nuntempe oficiala latinliterigo. Ŝajne la prononco estas inter "jat" kaj "jot". Pro la jama okupiteco de la radiko "jot/", mi preferus la formon "jat/o". Mi ne komprenas, kial iuj proponas "jos/o". Ĉu en la korea ankaŭ povas prononciĝi [s] anstataŭ [t] fine de tiu vorto?
  • André Müller Nu, laŭ la skribmaniero estas la litero -s je la fino, sed ĝin oni regule elparolas -t je la silabfino (ne ekzistas silaboj kiuj finiĝas per -s en la korea). Do, laŭ la skribo, joso aŭ jaso ankaŭ eblas, sed estas eble misgvidantaj. Jato eble vere taŭgas.
  • Balázs Wacha Cxu oni uzas, uzos singularon aux - pluralon: Cxu jatp estas peco aux pecaro?
  • Balázs Wacha Mi ja neniam mangxis jaton...
  • Bertilo Wennergren Tiu "엿" estas laŭlitere "jos". Kiel André skribis, kiam tia "s" aperas silabofine ĝi sonas kiel "t", sed tuj se oni aldonas finaĵon vokalan, ĝi fariĝas "s". Ekzemple oni povas aldoni la nominativan finaĵon (aŭ eble postpozicion...) "i": "josi". Tiam ne plu estas "t", sed "s" (kvankam tiu "s" antaŭ "i" tonas kiel "ŝ"...). Kun topika finaĵo/postpozicio "eul" ni tamen ricevas "joseul", kie "s" vere sonas kiel "s". Principe (fonologie) do ja estas "s", kiu pro fonetika kunteksto iam sonas kiel "t".

    Estas interese, ke la vorto "Internet" estas transprenita en la Korean kiel "인터넷", transskribe "Inteones", sed sone "intonet". Kun aldonita finaĵo ni tamen ricevas "inteonesi" aŭ "inteoneseul", kie sonas "ŝ" kaj "s" respektive.

    (Espereble mi ne fuŝis la detalojn. Mi ne vere regas la Korean, sed tamen iom konatiĝis kun ĝiaj bazaj elementoj, kaj siatempe povis iom babili pri ĉiutagaj aferoj).
  • Taesok 대석 Unue mi dankas pro viaj utilaj komentoj.
    Jen pri jos/o:
    André Müller kaj Bertilo Wennergren jam trafe klarigis la korean literon ‘ㅅ’(s).
    La litero ㅅ(s) samkiel ㄷ(d), ㅌ(t), ㅆ(ss), ㅈ(ĝ), ㅊ(ĉ) kaj ㅎ(h) ĉiam sonas ‘t’ silabofine, sed kiam la sekva silabo komenciĝas per vokalo, la litero ㅅ(s) prononciĝas ne kiel t, sed kiel s. 
    Ekzemple 
    엿이 jŏ’s-i (이 estas nominativo) 
    엿을 jŏ’s-ŭl (을 estas akuzativo)
    엿에 jŏ’s-e (에 estas postpozicio)
    Do en frazo, al la oreloj de koreaj esperantistoj, joso povas esti prononce pli facile rekonebla ol jato, joto, jeoto…
Posted by 초유스
에스페란토2015. 1. 28. 05:17

10a Internacia Esperanto-Renkontiĝo de Meditado

En Nonsan, Koreio okazis la 10a Internacia Esperanto-Renkontiĝo de Meditado (IERM) de la 16a ĝis la 19a de januaro 2015.

Ĝin organizis la Esperantista Asocio de Ŭonbulismo (EAŬ) sub la aŭspicioj de la Internacia Fako de Ŭonbulismo, koredevena religio. Ĉeestis 36 esperantistoj el Ĉinio, Hungario, Japanio, Koreio, Litovio, Pakistano kaj Rusio. Ĉi-jare partoprenis konataj aktivuloj kiel Mikaelo BRONŜTEJN el Rusio, MÁRKUS Gábor el Hungario kaj Saeed AHMAD el Pakistano. Kiel tradicie Oomoto, la japana religio, kiu fervore pledas por Esperanto, sendis sian reprezentanton KIMURA Kacuja, kiu ĉeestis la unuan IERM-on en 2006, kaj ambaŭ religioj tiel daŭrigis interreligian kunlaboron.

Al la evento sian mesaĝon sendis la estrino de la Internacia Fako de Ŭonbulismo kaj gratulis la dekjariĝon de IERM, aparte menciante ke ĉi tiu jaro estas signifoplena kaj por ŭonbulismo kaj por Esperanto, ĉar ĉi-jare ŭonbulismo atingos sian centan datrevenon kaj la Universala Kongreso de Esperanto festos sian centan datrevenon. Ankaŭ José Antonio Vergara, UEA-estrarano pri faka agado, sendis sian mesaĝon kaj aprezis la regulan realigon de IERM, admire konstatante ke EAŬ efike strebas por servi kaj la religion fonditan de Sotesano antaŭ 100 jaroj kaj la Esperanto-komunumon ekestiĝintan nur iom pli frue.

Oni faris ĉiufrumatene fizikan ekzercadon kaj sidmediton kaj ĉiuvespere 108-fojan riverencon kun pento, preĝo, danko kaj bondeziro. Dum la renkontiĝo prelegis SHIN Eun Sook (Esperanto kaj alternativa vivo), MÁRKUS Gábor (Ĉu estos diluvo post ni?), KIMURA Kacuja (Historio de Oomoto), Mikhail AVDEEV (Ŭonbulisma kontrolmetodo de atentaj agoj), Mikaelo BRONŜTEJN (Ikono de la Tiĥvina Dipatrino), JANG Jeong-Ryeol (Turismaj punktoj, linioj kaj dimensioj en Busano), kaj Saeed AHMAD (Graveco de purigado en sufiismo), kiu donis al la ĉeestantoj la raran okazon konatiĝi kun sufiismo. Inter la prelegoj okazis elekteblaj liberaj rondoj, en kiuj malgrandnombraj homoj pli proksime kaj profunde diskutis pri siaj interestemoj.

Al la ĉeestantoj estis disdonita la flugfolio, en kiu estis tiaj punktoj por kontroli sin kiel ‘haltigi la agon por momento’, ‘kunveni kvin minutojn antaŭ la koncerna programero’, ‘laŭdi pli ol unu al aliulo en unu tago’… Tia kontrolo de atento gravas en la ĉiutaga praktikado de ŭonbulismo kaj certagrade helpis al la tagordo de IERM plenumiĝi tre glate kaj harmonie.

Unuafoje en la azia Esperantujo Mikaelo BRONŜTEJN koncertis el siaj propraj kantoj kaj poemoj kaj trovis sian ŝatantaron. La korean tradician maskodancon prezentis JO Moonzoo kaj la ĉeestantoj provis danci laŭ ŝia gvido; ĉe la fino hungaro, ruso, japano kaj pakistanano dancis per sia nacia maniero laŭ la ritmoj de la korea maskodanco kaj tre gaje amuzis la kundancantojn, tial leviĝis la ideo, ke la danco estu enprogramita por la interkona vespero de la eventuala Seula UK en 2017.

Oni ne nur meditis kaj prelegis, sed ankaŭ ekskursis unue al la tereno de la ĉefsidejo de ŭonbulismo, en kiu troviĝas diversaj religiaj historiaj konstruaĵoj. Sub la ĉiĉeronado de CHOE Taesok oni povis pli multe konatiĝi kun ŭonbulismo kaj ĝia historio. Poste oni partoprenis en la glacia festivalo ĉe la najbara montpiedo kaj iuj sledis kaj aliaj rostis kaŝtanojn sur lignofajro. Kvankam mallonge, tio memorigis al ĉiuj sian infanaĝon. Post la ekskurso oni sate gustumis diversajn koreajn manĝaĵojn en la vespera bankedo.

Unu el la gravaj eroj de IERM estas viziti spiritajn gvidantojn de ŭonbulismo. Dum la vizitoj partoprenantoj rakontas siajn impresojn kaj aŭskultas iliajn instruajn vortojn, kompreneble, ankaŭ per tio la organizantoj celas ricevi pli da atento kaj subteno de la eklezio al la Esperanto-movado. La nuna ĉefmajstro (ekleziestro) Gjongsan substrekis, ke oni trovu la paradizon de menso kaj vivu dankan vivon. La emerita ĉefmajstro Ĝŭasan diris, ke personeco estas objekto por prizorgi, kaj ke por nutri la personecon devas en akordo esti parolo kaj ago, malapero kaj apero, interno kaj ekstero. Ambaŭ ĉefmajstroj laŭdis la esperantistan aktivadon por interpopola kompreno kaj monda paco.

* Esperantistoj kun la ĉefmajstro de ŭonbulismo (meze)


La ĉi-jara renkontiĝejo situis en belpejzaĝa montaro izolita de la cetera mondo kaj la ĉeestantoj ĝuis tre amikan kaj spiritan etoson por kvar tagoj. Estas notinde, ke post la renkontiĝo eksterlandaj partoprenintoj travojaĝis Koreion kaj vigligis la lokan Esperanto-movadon per sia prelego aŭ koncerto kaj iliajn agadojn favore raportis lokaj televido kaj gazetoj.

La 11a IERM okazos de la 8a ĝis la 11a de oktobro 2015 en Seulo. Oni povos ĝui kaj buntkoloran aŭtunon kaj esperantistan gastamon de Koreio kaj poste ĉeesti la 47an Korean Kongreson de Esperanto okazontan de la 24a ĝis la 25a de oktobro. Interesiĝantoj turniĝu al LEE Jungkee (esperanto@saluton.net).

Raportas CHOE Taesok
Ĉiuj subaj fotoj faritaj de JEON Dae-bong

▲ Komuna fotiĝo

▲ 108-foja riverenco

▲ Sidmedito

▲ Ekskurso al la ĉefsidejo de ŭonbulismo en Iksan

▲ Vizito al la ĉefmajstro Gjongsan

▲ Vizito al la emerita ĉefmajstro Ĝŭasan

▲ En la glacia festivalo

▲ Rosto de kaŝtanoj

▲ Lerno de la movoj de la korea maskodanco

▲ Prelegantoj

▲ Unu el la kvar liberaj rondoj

▲ Adiaŭo: "per Esperanto por mondpaco kaj amikeco ĝis revido ĝis la revido, ĝis la revido, ĝis la revido


http://www.espero.com.cn/2015-01/28/content_34676255.htm

~~~~~~~~~~~~~~~~~~~~~~~~~~~~~~~~~~~~~~~~~~~

11a Internacia Esperanto-Renkontiĝo de Meditado
~~~~~~~~~~~~~~~~~~~~~~~~~~~~~~~~~~~~~~~~~~~
1. Kiam: 2015 oktobro 8 (ĵaŭdo) – 11 (dimanĉo), 3 noktoj kaj 4 tagoj

2. Kie: la trejnejo Bongdo en Seulo (www.bongdo.co.kr)

3. Enhavo: meditado, meditado-gimnastiko, koreaj kulturo kaj tradicia ludo,
Esperanto-prelegoj, ekskurso, amuzaj ludoj, bankedo kaj tiel plu

4. Kotizo: 50 eŭroj aŭ 70 000 ŭonoj (programo, manĝado, loĝado,
ekskurso, bankedo)

5. Nombro: 20 personoj el ekster Koreio kaj 20 el Koreio

6. Oficiala lingvo: Esperanto

7. Aliĝlimdato: Ĝis la 20-a de septembro 2015

8. Prelegoj: Temoj pri 'Meditado' estas bonvenaj.

9. Kontakto kaj aliĝo: ĉe LEE Jungkee (esperanto@saluton.net leejungkee@esperanto.kr)

Posted by 초유스

김소월 시 개여울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해보았다. 
이 시는 7.5조로 구성되어 있다. 시의 뜻을 살리면서 에스페란토로도 7.5조를 구현하도록 애를 써보았다.

개여울

김소월

당신은 무슨 일로 
그리 합니까? 
홀로이 개여울에 주저앉아서

파릇한 풀포기가 
돋아나오고 
잔물은 봄바람에 헤적일 때에*

가도 아주 가지는 
않노라시던 
그러한 약속이 있었겠지요 

날마다 개여울에 
나와 앉아서
하염없이 무엇을 생각합니다

가도 아주 가지는 
않노라심은 
굳이 잊지 말라는 부탁인지요

Rojtorento 

Aŭtoro: KIM Sowol 
Traduko: CHOE Taesok 

Vi ja pro kiu afer’ 
estas en tiel’? 
Falsidas vi nur sola ĉe la rojtorent’.  

Jen kiam ekaperis 
verda herbotig’ 
kaj flugis akvinsektoj laŭ printempa briz’* 
(kaj akvo ondadetis laŭ printempa briz’), 

eble estis tia ĵur’: 
“Iras mi do nun, 
sed mi ne foriru por la eterno.”   

Mi venas ĉiutage 
al la rojtorent’ 
kaj sidante mi pensas pri io sen ĉes’.  

Ĵuro pri l’ neforiro 
malgraŭ la iro 
eble estas la peto: “Vi ne forgesu.”


잔물은 봄바람에 헤적일 때를 1) 물결이 바람에 움직일 때, 2) 잔물(물곤충)이 봄바람에 가볍게 날아다닐 때 중 어느 것으로 해석해야 할 지 아직 명확한 답을 얻지 못했다. 혹시 관심있으신 분 댓글 부탁합니다.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14. 5. 22. 09:57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 중 중학교 3한년생이 한 명 있다. 이 학생은 프랑스어가 특화된 학교에 다닌다. 즉 프랑스어를 초등학교 2학년 때부터 제1 외국어로 배우고 있다. 궁금해서 수업 시작하기 전에 물어보았다.

"제1 외국어 프랑스어와 제2 외국어 영어 중 어느 언어를 더 잘하나?"
"물론 영어다."
"왜?"
"영어는 생각하지 않아도 술술 나오는데 프랑스어는 머리 속에서 일단 생각해야 한다."

대체로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유럽에서도 외국어를 잘하는 편이다. 특히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 지방은 리투아니아인, 폴란드인,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등이 다민족이 살고있어 다언어권이다. 길거리 거지도 3-4개 언어를 구사할 수 있다는 곳이다. 

복잡한 리투아니아어에 비해 영어가 훨씬 쉽다고 다들 말한다. 물론 언어가 쉽다고 해서 그 언어를 누구나 다 쉽게 습득할 수는 없다. 언어 교육이나 학습 방법이 중요하다.

딸아이는 한국으로 치면 초등학교 6학년을 이번 5월말에 마친다. 어제 딸아이의 영어 시험이 상당히 충격적이었다. 어떤 내용이기에? 

시험은 이렇다.
1. 학생 두 명이 한 조를 이룬다.
2. 주제를 준다. 준비를 위해 며칠 시간을 준다.
3. 두 명이 협력해서 영어로 내용을 작성한다.
4. 이 내용을 파워포인트로 작성한다.
5. 선생님과 학생들 앞에서 영어로 영어 문법을 설명한다.

딸아이가 받은 주제는 "단순현재와 현재진행 시제"이다. 인터넷 등에서 자료를 찾아서 영어로 문서를 작성했다. 아래는 딸아이와 친구가 협력해서 작성한 문서이다.

0123456789101112

딸아이의 영어 시험 결과가 휴대전화 문자 쪽지로 들어왔다. 10점 만점을 받았다. 아버지로서 관심을 표명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즉각 축하 쪽지를 보냈다.  


아, 문법이나 단어만 달달 외워서 영어 시험 쳤던 어린 시절과 비교하니 그야말로 충격적이었다. 초등학교 6학년생이 영어 문법을 영어로 설명하는 시험이라면 장차 이들의 영어 구사 능력은 상대적으로 뛰어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Posted by 초유스

요즘 시간이 나는 대로 국제어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에게 한국 현대시를 알리기 위해 시를 번역하고 있다. 이번에는 한용운의 시 <복종>이다.

복종

남들이 자유를 사랑한다지마는
나는 복종을 좋아하여요

자유를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당신에게는 복종만 하고 싶어요

복종하고 싶은데 복종하는 것은
아름다운 자유보다도 달콤합니다
그것이 나의 행복입니다

그러나 당신이 나더러
다른 사람을 복종하라면
그것만은 복종을 할 수가 없습니다

다른 사람을 복종하려면
당신에게 복종할 수 없는 까닭입니다.

Obeo
                                                                                                        Aŭtoro: HAN Yong-un 
                                                                                                        Traduko: CHOE Taesok

Aliaj diras, ke liberon ili amas,
sed obeon mi ŝatas.

Mi ja ne senscias la liberon,
sed mi volas al vi nur obeon.

Obeo kun propra intenco
pli dolĉas ol bela libero. 
Tio estas mia feliĉsento.

Tamen, se alian homon
vi al mi obei ordonas,
nur tion obei mi ne povas.

Kialo estas ja tial, ke por obei lin
mi ne povas obei vin. 

HAN Yong-un (1879-1944): 
bonzo, poeto, novelisto, eldonisto, aktivulo por la korea sendependiĝa movado.
* 3,3,4조를 기조로 해서 번역했습니다.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14. 3. 11. 07:14

한국이 아니라 외국에 사는 사람이 한국어를 말한 해도 감지덕지일 수 있겠다. 하지만 더 큰 욕심이 있어 말뿐만 아니라 글까지도 잘 알면 좋겠다. 

딸아이의 한국어 상대자는 아빠가 유일하다. 한때 또래 아이가 둘이 있어 한국어로 재잘거리면서 재미나게 지냈다. 하지만 이들이 떠나자 딸아이의 한국어 사용 빈도는 훨씬 줄어들었다. 

흥부전과 신데랄라 동화책을 읽고 쓰기를 하도록 했다. 오랜 시간이 걸려서 완성했다. 그런데 학년이 올라갈수록 시간적 여유로움이 없다. 한국어 쓰기가 당장 학교나 생활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그래도 태어나서 12살인 지금까지도 아빠와는 무조건 한국어로 대화한다. 그러다보니 휴대폰으로 문자쪽지를 보낼 때도 한글이나 한국어 로마자 표기를 사용한다.

문자쪽지엔 문법이나 철자가 완전히 엉터리 투성이다.  
삼십분 - 삼씹뽄
할게요 - 핼캐요
자세요 - 자새요
집에 - 지배
친구랑 -찐고랑 


이렇게 딸아이로부터 쪽지가 오면 그 쪽지를 철자와 문법에 맞게 고쳐서 자주 보내준다. 

"딸아, 친구를 어떻게 찐고라고 쓰니? 그래도 기본은 알아야지. 참 너무했다."
"괜찮아. 아빠가 이해할 수 있으니 다행이지."
"좀 노력해자!"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4. 3. 7. 06:38

일전에 여권상 생일[관련글 보기]을 맞아 사람들로부터 축하를 받은 이야기를 전했다. 빌뉴스대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로부터 풍선에 그려진 케익도 받았다. 그때 여러 선물에 취해 축하엽서를 열어보는 것을 깜박 잊어버렸다.


교과서 속에 끼어져 있던 엽서를 어제서야 열어보았다. 한마디로 깜짝 놀랐다. 
만년필로 반듯하게 써진 한국어 문장이 어디 하나 흠잡을 데가 없었다.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외국인으로 믿기가 어려울 정도로 예쁘게 잘 썼다. 


컴퓨터 글쓰기에 익숙해진 지 오래라 이렇게 직접 손으로 쓴 글을 보면 더욱 정감이 간다. 열심히(?) 가르쳐주신 선생님에게 드리는 축하엽서라 틀리지 않으려고 얼마나 노력했을까......

이들 학생들은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빌뉴스대학교에서 지금까지 약 50시간 정도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배우기 어려운 언어 중 하나로 꼽히는 한국어를 열심히 해서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란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10. 11. 05:46

최근 YTN TV 뉴스를 통해 알게 된 내용이다: 
한국은 오는 2026년에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전체의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여기에다 저출산 문제까지 겹쳐 앞으로 급속한 노동력 감소가 우려된다. 그래서 '이제는 70세까지 일하는 사회를 만들자'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 소식을 접하면서 얼마 전에 만난 브라질 외교관이 떠올랐다. 자신을 슬로바키아에서 근무하고 있는 브라질 외교관이라는 소개와 함께 빌뉴스를 방문하는 동안 에스페란토인을 만나고 싶다고 했다. 이름을 보니 2008년 아내가 브라질 비자를 받을 때 도움을 준 바로 그 사람이었다[관련글: 브라질 비자 받기와 에스페란토].

그때를 생각하면서 공항으로 마중가겠다고 하니 극구 사양을 했다. 공항에 내려 택시나 버스로 미리 잡아놓은 호텔까지 혼자 충분히 갈 수 있다고 했다. 아내와 상의했다.

"외국에 갈 때 우리가 극구 반대하더라도 현지인이 나와서 우리를 환영한다면 좋지 않을까?"
"당연하지."
"그렇다면 우리가 차로 공항으로 환영하러 나가자. 외국인이 가장 궁금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현지인들은 어떻게 살까이다. 현지인 친구 집이 관광지 트라카이 근처에 있으니까 가는 길에 들러서 차를 마시면서 담소도 나누자."

이렇게 아내와 의기투합해서 공항으로 갔다. 반갑게 브라질 외교관을 만난 우리는 구상한 일정에 동의를 얻어서 친구 집으로 향했다. 가는 동안 차 안에서 우리는 많은 대화를 나눴다. 

그는 브라질 상파울로에서 포르투갈어와 영어 교사로 25년간 일을 한 후, 법원에서 3년을 더 일하고 은퇴했다. 은퇴 후 연방정부 외교부의 행정직 채용 광고를 접했다. 자녀들도 다 장성했고, 연금도 나와 생활에는 지장이 없었다. 색다른 분야에서 경험하는 것도 인생에 가치가 있을 것 같아 응시했다. 합격되었다. 행정직의 최고 자리는 부영사이다. 

3년을 브라질리아(브라질 수도)에 있는 외교부에서 수습 일을 마치고 외국 근무로 하게 되었다. 한번 외국으로 발령되면 근무기간 10년을 다 채워야 브라질 외교부로 돌아올 수 있다. 그는 콜롬비아, 일본, 독일, 슬로바키아 브라질 영사관에서 이어서 근무했다. 

2년 전에 이미 10년 기간을 채워 브라질로 돌아가 은퇴를 맞을 수 있었다. 문제는 정년 70세까지 2년이나 남았다. 돌아가면 브라질리아에서 근무하게 되는 데 주거지를 구하는 일 등이 복잡해서 외국에서 정년까지 근무하다가 퇴직하기로 결정했다.

12년 동안 홀로 외국 생활하는 데 가족이 그립지 않나?
- 그립다. 하지만 1남 3녀 자녀들이 다 자라서 각자의 삶을 살고 있다.

아내는 종종 찾아오나?
- 가까운 라틴 아메리카에 근무할 때는 아내가 1년에 여러 달을 함께 지내곤 했다. 그런데 4계절이 두렷한 나라에 근무할 때 특히 가을만 되도 추워서 브라질이 좋다고 떠났다.

혼자 살면 식사 해결이 제일 어렵지 않나?
- 아니다. 요리하기를 좋아한다. 1개월치를 미리 요리해서 냉동실에 넣어놓는다. 

뭐, 1개월치를 요리한다고? 고기 요리를? 
- 난 채식주의자다. 부모와 같이 살 때는 어쩔 수 없이 육식도 했다. 하지만 내가 내 가정을 가지고부터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꿈꾸었던 채식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지금까지 채식만 한다. 아침을 든든히 먹는다. 주로 과일과 내가 직접 구은 빵과자로 식사한다. 점심은 생선, 쌀밥, 콩 그리고 과일로 한다. 저녁은 먹지 않는다. 

빨래나 집안 청소는 파출부가 하나?
-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남에게 시키지 않으려고 한다. 주말에 이런 일을 하는 것이 아주 즐겁다.

진짜 나이를 알고 깜짝 놀랐다. 지금까지 나와 비슷한 연령으로 알고 있었는데 내년 1월에 70세 정년을 맞는다고 하니 참으로 믿기지가 않는다. 특별한 건강관리가 있나?
- 없다. 하지만 아침에 일어나 15분간 체조하고 샤워를 평생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이면 자녀들은 어느 쪽에 가깝나?  
- 외할머니는 원주민과 흑인 사이에 태어나고, 외할아버지는 흑인이었다. 아버지는 백인이다. 내 아내는 이탈리아인이고, 같이 1남 3녀를 두고 있다. 딸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탈리아인의 모습을 띠고 있다.아내가 첫아이를 놓고나서 엉덩이를 보더니 엉엉 울었다.

왜 울었나?
- 갓 태어난 딸아이의 엉덩이에 푸른 반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아내는 이것이 피부병 증세로 알았기 때문이다. 이에 내 어머니가 '당신 남편이 인디언 피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긴 몽고 반점'이라고 말했다. 그때서야 아내가 안심했다.

외교관 생활에 국제어 에스페란토가 도움 되나?
-  참으로 많이 도움이 된다. 현지인들과 교류하는 데 영어보다 에스페란토가 훨씬 더 편하다는 것을 느낀다. 영어는 의사소통의 도구이지만, 에스페란토는 여기에 하나가 더 첨가된다. 바로 만나기 전에도 서로가 친구였다라는 감정을 들게 한다. 특히 일본에서 근무할 때 일본인들과 교류하는 데 에스페란토가 아주 유용했다.

어떻게 에스페란토를 배웠나?   
- 대학생일 때 교수가 에스페란토인이라서 배웠다. 그런데 졸업하고 가정을 꾸리고 직장에 다니느라 한 동안 잊고 살았다.

어떤 계기가 되어 다시 시작했나?
- 38살에 크게 교통사고를 당했다. 오토바이를 타고 가는데 차가 와서 들이받았다. 나는 공중으로 붕 떴고 전방 15미터로 날아가 떨어졌다. 그런데 기적이 일어났다. 나를 들이받은 차 운전수가 급브레이크를 잡지 못하고 앞으로 더 나아갔다. 이것이 나를 살렸다. 내가 도로에 떨어지지 않고 그 차 지붕에 떨어졌기 때문이다. 자동차 지붕이 완충역할을 하면서 내 생명을 구했다. 몇 해 후 똑 같은 자리에서 나와 똑 같은 사고를 당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도로에 떨어져서 즉사했다.
재활하는 동안 서재에 에스페란토 교과서가 눈에 확 띄었다. 다시 살게 된 것에 감사하면서 이 책으로 다시 공부했고, 에스페란토 운동에도 참가하고, 지금까지 활용하고 있다. 

* 오후 한 나절이었지만, 브라질 외교관과의 에스페란토로 통한 만남은 우리 부부에게 아름다웠다.

이런 저런 대화를 나누면서 우리는 오후 내내 함께 했다. 국제어 에스페란토를 통해 새로운 사람을 좀 더 알게 되는 재미가 참 솔찬했다. 

이날 만남을 통해 가장 강한 인상은 어느 조직보다도 더 폐쇄적일 것은 외교부에 은퇴한 사람이 다시 들어가서 70세까지 일하다 퇴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는 사회든 재취업 기회를 나이제한을 통해 원천적으로 막지 않았으면 좋겠다. 한편 속으로 나도 저 나이에 저렇게 건강하면서 일을 할 수 있을까라고 생각해보았다. 늦었지만 매일 15분 체조라도 해야되지 않을까......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10. 4. 06:42

지난 달 우리 집에 손님이 방문했다. 한 분은 폴란드 바르샤바에, 다른 분은 러시아 모스크바에 살고 있다. 둘이 자매로 70대 중반이다. 할아버지 때부터 연해주에 살다가 중앙 아시아로 강제이주 당했다. 언니는 폴란드로 유학온 후 남게 되었고, 동생은 카자흐스탄에서 의사로 일하다가 정년퇴임해 자녀가 살고 있는 모스크바로 이주했다. 

어린 시절 어머니가 살아계셨을 때 집에서는 한국어로 했지만, 학교 생활 등으로 모국어는 한국어가 아니라 러시아어가 되었다. 우리 집에 올 때마다 이 분들은 딸아이 요가일래를 칭찬하고, 아주 부러워하고 한편 후회스러워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요가일래가 아직 어리지만, 아빠와는 늘 한국어로 말하기 때문이다.

이 두 자매는 각기 자녀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지 않은 것이 후회스럽다고 말했다. 당시는 러시아어가 최고였으므로 소련에서 살려면 자녀가 러시아어를 잘해야 된다는 생각뿐이었다. 또 다른 이유는 자녀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을 정도로 한국어를 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떻게 딸에게 한국어를 가르쳤나?"
"아, 가르치지 않고 그냥 모태에서부터 지금까지 오로지 한국말만 하고 있어요."
"쓰기도 하고 읽기도 하나?"
"말하기만 하고, 쓰기와 읽기는 완전 초보 단계입니다."
"혹시 책은 없나?"
"딸아이 책장에서 한번 찾아볼게요."

이렇게 한국어 초급 쓰기와 읽기 책을 보여주었다. 이 책을 보자 두 자매는 아이처럼 아주 기뻐했다. 그리고 복사를 부탁했다. 집에 가서 자기들도 꼭 공부하고, 아들과 딸은 늦었지만 손자들에게 꼭 공부시키도록 하겠다고 했다.


배움의 의욕에 가득 찬 이들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한국인은 역시 한국어를 할 줄 알아야 하는구나."라고 느꼈다. 그리고 딸에게 말했다.

"봐, 할머니는 이제라고 열심히 한국어를 공부하겠다고 하는데 너는 쉽게 알았잖아. 아빠에게 감사함을 느끼고 이제부터라도 한국어 읽기와 쓰기에도 좀 공부하는 것이 좋겠다."
"노력할게."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13. 8. 8. 07:04

딸아이 요가일래의 근황을 자주 알려달라는 <초유스의 동유럽> 블로그 독자들이 있다. 여름철에는 발트 3국 관광안내사로 일하느라 가족과 함게 시간을 보내는 날이 많지 않다. 지금도 가족과 함께 떨어져 있다. 우리 가족은 나를 제외하고 지금 리투아니아 발트해 해변 도시인 니다(Nida)에서 여름을 즐기고 있다. 어제 늦은 밤에 딸아이에게 전화했다.

"지금 뭐하니?"
"이제 자려고 해."
"아빠는 뭐해?"
"일하지."
"무슨 일?"
"블로그에 글을 쓰려고 해. 얼마 전에 네가 영어로 쓴 글을 아빠 블로그에 올려도 돼?"
"돼. 올려도 돼."
"좀 틀린 데도 있지만, 그래도 너 소식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으니 올리자."
"그래. 그럼, 잘 자!"

이렇게 딸아이의 허락을 받았다. 얼마 전 리투아니아 북동지방 도시 우테나(Utena)에서 국제 에스페란토 행사가 열렸다. 마침 아내와 함께 원불교 성가를 러시아어로 번역하는 러시아인 친구도 참석하게 되었다. 우리 셋이는 행사 기간 중에 따로 시간을 내어서 함께 번역을 다듬었다. 


이때 딸아이는 혼자 시간을 보내야 했다. 요가일래는 삼성 아티브(ATIV) 노트북으로 열심히 무엇인가를 하고 있었다. 컴퓨터 게임을 하겠지라고 생각했다. 서너 시간이 훌쩍 지나갔다. 

"아빠, 내가 혼자 뭐했는지 궁금하지?"
"물론이지. 뭐했어? 게임했지?"
"여기 봐!"

우선 아티브의 S노트이다. 지금까지 나는 한 번도 이것을 몰라서 안 사용했다. 하지만 초등학교 5학년생 딸아이는 이를 능숙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것에 놀랐다. 두 번째는 영어 작문이다. 사전도 없이 딸아이는 모국어가 아닌 영어로 척척 자신의 생각을 사진까지 넣어가면서 기술한 것에 놀랐다. S 노트의 이미지 보내기 기능으로 딸아이의 영어 작문을 소개한다. 


비록 문법적으로는 완벽하지 않지만, 딸아이의 이런 영어 창작 욕구가 반짝 충동에 그치지 않고 오래 지속되길 바란다. 참고로 아래는 딸아이가 6살 때 직접 영어로 생각해낸 오리 이야기이다.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13. 5. 13. 06:33

딸아이는 곧 초등학교 5학년을 마친다. 9월 1일 시작되는 6학년부터 달라지는 과목이 하나 있다. 제2 외국어이다. 

딸아이가 다니는 학교는 빌뉴스에서 유일하게 프랑스어가 특화된 초등학교이다. 하지만 학부모들의 요구에 따라 프랑스어와 영어 중 하나를 선택해서 2학년 때부터 배운다. 물론 이렇게 선택한 제1 외국어는 졸업할 때까지 배운다. 

6학년부터는 제2 외국어 교육이 시작된다. 선택할 수 있는 언어는 프랑스어, 영어, 러시아어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 가족은 별 다른 고민 없이 러시아어를 선택했다. 그런데 걸림돌이 하나 있다. 리투아니아에서 제일 좋은 고등학교는 제2 외국어로 러시아어가 없다. 프랑스어, 영어와 독일어만 있다.  

"아빠, 담임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어. 제일 좋은 고등학교를 가려는 학생은 러시아어를 선택할 수가 없어."
"왜?"
"그 학교는 러시아어가 없어."
"안 좋다. 원하는 학생들이 있다면 러시아어도 있으면 좋겠는데 말이야."
"그러게."
"너는 그 학교에 가고 싶어?"
"가고 싶지만 어려워."
"그 학교에 안 가도 돼지?"
"그래."
"그럼, 문제는 해결됐어. 러시아어를 선택하자. 어느 슬라브어 하나를 알면 다른 많은 슬라브어를 이해하는 데 많이 도움이 된다."

* 제2 외국어로 러시아어 선택 동의서

소련시대 공용어였던 러시아어는 리투아니아가 1990년 독립을 선언한 후부터 배척되었다. 소련시대 우대를 받았던 러시아어 교사들은 교직을 그만두거나 새로운 과목으로 전환해야 했다. 이때 많은 교사들이 영어나 리투아니아어 교사가 되었다. 학교에서는 러시아어 대신 영어가 자리잡았다. 이 결과로 대부분 20-30세 이하의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러시아어에 대한 지식이 없다.

딸아이가 유치원에 다닐 나이에 우리 부부는 고민했다. 리투아니아어 유치원을 보낼 것인가, 러시아어 유치원을 보낼 것인가. 비록 찬밥 신세에 처해 있지만, 언젠가 다시 러시아어가 각광 받을 날이 올 것이다라는 기대로 러시아어 유치원을 결정했다.

3년을 다니는 동안 딸아이는 러시아어가 아름답다고 하면서 모국어로 생각할 정도였다. 그런데 리투아니아어 초등학교를 다니고 있어 그 동안 러시아어를 많이 잊어버렸다. 하지만 이제 학교에서 제2 외국어로 배운다면 그 옛날 뇌에 자연스럽게 저장된 러시아어가 쉽게 표출될 것이다.


* 유치원 시절 5개 언어로 노래하는 요가일래

러시아어가 없는 최상의 학교에 가지 못하더라도 러시아어를 잘 하면 또 다른 좋은 기회가 올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로는 서쪽으로 러시아어로는 동쪽으로 간다면, 훨씬 더 폭넓은 장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2. 6. 1. 06:20

드디어 어제 빌뉴스대학교 동양학 센타가 개최한 48시간 한국어 초급 강좌가 종강을 맞았다. 수업이 오후 다섯 시에 열렸다. 지금까지 한번도 내가 제일 먼저 강의실에 도착한 적이 없었다. 학과실에 가서 열쇠를 가지고 오면 수업 시간 5-10분 전이다. 

그런데 어제는 강의실 앞에 기다리는 학생이 없었다. 무슨 일일까? 혹시 내가 요일이나 시간을 잘못 알고 온 것이 아닐까라는 의구심이 들 정도였다. 지금까지 열심히 나오다가 종강 시간에 의기투합에서 땡땡이 치는 것은 아닐까...... 짧은 순간이었지만, 혼란스러웠다.


기우였다. 세 명의 여학생들이 조금 후에 들어왔다. 그런데 손에 케익을 들고 있었다. 책거리를 위해 준비하느라 조금 늦어진 것이었다. 일반 학교 수업을 마치고 이들 세 명이 모여 직접 케익을 만들었다고 한다. 케익 위에는 "감사합니다"라는 글자까지 넣었다. 마음 속에는 잔잔한 감동이 일었다.


나도 작은 선물을 준비해갔다. 한국에서 사온 냉장고 자석 장식품과 한국어와 리투아니아어로 된 서적이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뽑을 최우수 학생에게 줄 한국 제품 송염 치약이었다. 케익의 정성에 견줄 바는 아니지만, 뭔가 기념 답례를 하고 싶었다.

모두 오는 9월에 강좌가 이어진다면 또 참가하겠다고 말했다. 


"리투아니아어보다 한국어가 더 쉬우니 방학 때 1주에 1과씩 다시 복습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그동안 수고 많았습니다."라고 강의를 끝맺었다.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2. 5. 30. 07:30

2월 29일 첫 수업으로 시작한 리투아니아 빌뉴스대학교 한국어 강좌가 내일 마지막 수업을 앞두고 있다. 이는 빌뉴스대학교 동양학 센터가 대학생과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저녁에 마련한 유료 초급 강좌이다.

강좌 참가 희망 신청자는 총 11명이었다. 하지만 요일과 시간을 결정하자 이에 참가할 수 없는 사람들이 생겼다. 그래서 첫 강좌는 7명으로 시작했다. 두 명이 한국으로 곧 떠나게 되어 중도 하차했다. 끝까지 꾸준히 수업에 참가한 사람은 4명이었다. 

중국어학과에 다니는 여대생 한 명, 다른  세 명은 각각 15세, 17세, 18세 여학생이다. 이들이 한국어를 배우게 된 동기는 한국 드라마와 K-pop이다. 이를 통해 접한 한국을 더 많이 알기 위해 직접 언어로를 배우고자 결심했다. 특히 중고등 여학생들이 30여만원의 수업료를 내고 한국어를 보기로 한 결심이 참으로 대견스러웠다. 

책은 카우나스와 빌뉴스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서진석님의 도움으로 "easy Korean for foreigners"(한글파크 출판)을 교재로 활용했다. 강좌는 45분 수업으로 총 48시간이다. 화요일과 목요일 오후 5시부터 6시30분까지 이루어진다. 

초반에 읽기가 상대적으로 약한 학생이 후반에 제일 잘 읽어서 흐뭇했다. 학생들은 학교 생활하면서 다시 빌뉴스대학교에 와서 한국어 수업을 듣느라 힘들었을 것이다. 지금껏 에스페란토는 수차례 한국과 외국에서 가르쳤지만, 한국어는 이번이 처음이었다. 열심히 하려고 했지만, 부족함을 스스로 느꼈다. 시간 부족과 건강 문제로 고전을 하기도 했다. 

* 수업생이 자신의 하루 일과(상)과 자신의 가족(하)에 대한 작문
 
외국어는 배우면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야 효과가 높다. 이들에게 이런 기회를 마련하지 못해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지만 48시간 수업을 통해 한국어를 어느 정도 읽고 쓰는 능력과 문법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전해준 데에는 만족한다. 이번 강좌는 한국어가 정말 어렵다는 것을 다시 한번 절감케 했지만 소중한 경험이었다.


위 영상은 짤막하지만 한국어로 칼리닌그라드 여행기를 직접 쓰고 읽고 있는 여고생 라우라의 모습이다. 한국에 유학을 가고 싶다고 하는 그의 희망이 꼭 이루어지길 바란다.
Posted by 초유스
영상모음2011. 4. 15. 06:03

현재 리투아니아에서는 두 대학교가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먼저 시작한 대학교는 리투아니아 제2의 도시인 카우나스에 소재한 비타우타스대학교이다. 이곳에는 2008년 9월부터 한국어와 한국문화사 강좌가 열리고 있다. 또 다른 하나는 빌뉴스대학교이다. 이 대학교는 2010년 9월부터 주말학교 프로그램으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이 어학 프로그램은 빌뉴스대학교 동양학센터가 정식으로 개설한 강좌이다. 현재 고등학생부터 일반인까지 10여명이 유료로 수강하고 있다. 두 대학교 모두 서진석 교수가 강의를 맡고 있다. 빌뉴스대학교는 1579년 세워져 동유럽에서도 역사가 깊은 대학교 중 하나이다.

15년 전 빌뉴스대학교는 여러 해 동안 한국어를 가르쳐왔다. 당시 강성은 선교사가 강의를 맡았다. 하지만 리투아니아의 전반적인  대학교육 재정 사정으로 유료로 전환함으로써 수강생 부족으로 맥이 끊어졌다. 근래 세계적인 한류 현상과 관계자들의 노력으로 지난해부터 한국어 강좌가 부활되었다. 

일전에 한류 클럽 '한-빌뉴스' 결성식에 참가차 이 동양학센터를 방문했다. 발다스 부소장은 "앞으로 한국학이 빌뉴스대학교에서 선택과목이 아니라 학사과정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을 것을 기대한다. 향후 2-3년 안에 이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날 한국어 수업 광경도 지켜보았다. 수강생 중 대학생인 카멜레는 "빅뱅 때문에 한국어로를 배우게 되었다."고 말했다. 고등학생인 산드라는 "한국어와 한국문화가 좋아서 한국어를 공부한다."고 말했다. 외교관인 잉가는 "한국 드라마를 자막없이 보기 위해 한국어를 배운다."고 말했다. 한국어를 배우는 동기는 각각이이지만, 배우는 열의만큼은 모두 한결 같았다. 

이날 수업 광경을 동영상에 담아보았다. 이제 한국어를 배운 지 6개월인 이들의 한국어 일기 실력이 어떤지 한번 귀담아 들어보시길 바란다.  


인구 3백만명의 작은 나라 리투아니아에 이렇게 한국을 좋아하고 한국어를 열공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감동으로 다가온다.   

* 관련글: 한국인임을 부끄럽게 만든 빌뉴스 한류 학생들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0. 6. 7. 06:00

모국어 외에 다른 외국어 하나만 잘 해도 주위의 부러움을 받기도 한다. 여러 나라 말을 많이 알수록 더 좋다는 것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다. 종종 관광객이 많이 드나드는 빌뉴스 구시가지를 걷다보면 걸거리 걸인이 다가와 묻는다.

"Can you speak English?" (영어: 영어할 줄 아세요?)
"Можете ли вы говорить на русском? (러시아어: 러시아어할 줄 아세요?'

물론 전자는 알지만, 후자는 모른다. 그래도 대부분 묵묵부답으로 가는 길을 간다. 1990년대 초반 폴란드에서 불가리아까지 기차여행을 했을 때 조금 익힌 해당 나라 언어로 여권심사하는 현지경찰과 약간의 대화를 하다보면 우호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다. 이처럼 상대방의 언어로 대화하면 상대방이 더 편안할 것이다. 하지만 능력이 부족하여 그 많은 언어들을 다 할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굴까? 과연 몇 개 국어를 말할 수 있을까? 1993년 기네스기록협회는 지아드 파자(Ziad Fazah)가 56개 국어를 말할 수 있다고 인증했다. 그후 그는 58개 언어를 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아드 파자는 브라질에 살고 있는 레바논 사람이다. 아랍어 계통의 언어와 포르투갈어 계통의 언어를 잘 알고 있음을 짐작한다고 해도 58개 국어는 대단한 숫자임에 틀림없다.

그의 주장을 입장하기 위해 한 스페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방송에 초대했다. 수 많은 언어를 알고 있다고 하는 그의 주장을 무색하게 할 정도로 그는 방송 중 쩔쩔매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압권은 러시아어로 "오늘이 무슨 요일인가?"라는 물음에 아예 답을 하지 못했다. 그는 5-7개 언어만 유창하게 말하고, 나머지는 몇 구절 정도만 말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기네스 기록 보유 수개 국어 가능자가 러시아어 "오늘은 무슨 요일인가요?"에 답을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리투아니아에서 가장 많은 국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몇 개 국어를 말할까? 게디미나스 데게시스(29세)로 현재 20개 국어를 말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10개 국어는 완벽하게 말하고, 나머지 10개는 어느 정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수준이다. 데게시스는 러시아어, 독일어, 에스페란토, 영어, 불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라트비아어, 스왈리어, 리투아니아어를 자유롭게 구사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리투아니아에서 가장 많은 국어를 구사하는 데게시스가 국제어 에스페란토를 가르치고 있는 모습

그렇다면 8살 딸아이 요가일래를 기준으로 우리집은 어떨까?
아빠: 한국어 > 에스페란토 > 영어 > 리투아니아어 > 폴란드어
엄마: 리투아니아어 > 에스페란토 > 러시아어 > 영어
언니: 리투아니아어 > 에스페란토 > 영어 >
나:    리투아니아어 > 한국어 > 영어> 러시아어 > 에스페란토

이렇게 서로 다른 민족이 섞어서 살다보니 자연스럽게 여러 언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많은 것이 주된 이유이다. 한국이 진작부터 남북이 갈라지지 않고 하나였다면 북쪽으로의 인적 교류가 증대되었고, 중국어와 러시아어 등을 자유스럽게 말할 수 있는 사람, 즉 수개국어 구사자가 더 많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아쉽다.

* 최근글: 빗물로 호수된 친구집 뜰에 나타난 청둥오리
* 관련글:
다문화 가정의 2세 언어교육은 이렇게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 손가락 추천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클릭하시면 ->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0. 5. 27. 08:05

며칠 전 아파트 우편함에 흑백색 광고지가 하나 들어있었다. 화려한 색깔의 광고지가 남무하는 요즈음 흑백색광고지가 돋보였다.

살펴보니 외국어 학원이 보낸 광고지였다. 영국 옥스퍼드에 본부를 둔 어학원이 리투아니아 빌뉴스에 어학원을 개설했다는 소식과 9월 4일부터 개강을 한다는 내용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어학원이 가르치는 언어가 더욱 시선을 끌었다. 바로 영국 Edexcel 프로그램에 따라 외국어로서 러시아어를 가르친다는 것이었다. 6-18세 학생들에게 매주 토요일 2시간 반 가르치고, 학원비는 한달 68리타스(약 3만4천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련시대 공용어였던 러시아어는 리투아니아가 1990년 독립을 선언한 후부터 배척되었다. 소련시대 우대를 받았던 러시아어 교사들은 교직을 그만두거나 새로운 과목으로 전환해야 했다. 이때 많은 교사들이 영어나 리투아니아어 교사가 되었다. 학교에서는 러시아어 대신 영어가 자리잡았다. 이 결과로 대부분 20-30세 이하의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러시아어에 대한 지식이 없다.

이 광고지를 접하고 보니 20년 세월이 지난 후 사람들이 조금씩 러시아어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보니 딸아이 요가일래(8살)을 3년 동안 러시아어 유치원을 다니게 한 것이 좋은 결정이었다고 재확신했다. 리투아니아어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어 러시아어를 점점 잊어버리고 있는 요가일래에게 이 어학원을 권하자고 아내와 상의했다.

▲ 2007년 10월 26일 요가일래가 러시아어 유치원 발표회 참가한 모습

* 최근글: 눈길 사로잡는 여대생의 자작나무 껍질 패션

  폴란드 여대생의 유창한 한국어
  한국에 푹 빠진 리투아니아 여대생
  세계 男心 잡은 리투아니아 슈퍼모델들
  한국은 위대한 나라 - 리투아니아 유명가수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 손가락 추천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클릭하시면 ->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10. 3. 5. 07:09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너, 학교에서 배우는 영어가 쉬워?"

"너무 쉬워."
"그럼, 너가 제일 잘 하니?"
"다른 친구 한 명도 잘 해. 선생님이 자꾸 그 친구를 시켜."라고 요가일래는 질투하듯 입을 삐죽거렸다.
"선생님이 너가 영어를 잘 하는 지를 알아?"
"모를 수도 있어. 난 영어로 길게 말할 수도 있는데. 선생님에게 잘 한다고 말하고 싶지 않아."
"기회되면 한번 말해봐."


딸아이 요가일래는 초등학교 2학년생이다. 리투아니아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때부터 영어를 배운다. 지난 해 9월부터 영어를 배우고 있다. 일주일에 두 시간 배운다. 종종 외국어 능력에 대한 대화가 나올 때 요가일래가 큰 소리치는 말이 하나 있다. (▲ 오른쪽 사진: 2006년 5월 19일)
"나 언니보다 영어를 더 잘 해! 알아?"

언니는 고등학교 2학년인데 사실 언니보다 영어를 더 잘 한다는 것은 허풍이다. 그래도 이 허풍이 요가일래에게 자신감을 느끼게 하는 것 같아서 이 말을 들을 때 아주 귀여움을 느낀다. 요가일래는 영어를 리투아니아어, 한국어 다음으로 잘 하는 언어로 꼽고 있다.

아무도 영어를 가르쳐주지 않았는데 요가일래는 어떻게 이런 허풍을 가지게 되었을까? 특별한 비결은 없다. 요가일래가 태어날 때부터 어떻게 하더라도 부국어인 한국어를 모국어처럼 말할 수 있도록 해주고 싶었다. 그래서 당시 한국에 갈 때마다 어린이용 비디오 테잎을 많이 사가지고 왔다. 놀고 있는 시간에는 늘 이 한국어 비디오 테잎을 털어주었다. 이때부터 TV시청을 즐겨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2004년 2월 23일

만 2살 이후에는 한국어 비디오 테잎과 TV 영어 만화 채널을 원하는 대로 마음껏 틀어주었다. 집중해서 보기도 하고 놀면서 그냥 귀로 흘러듣기도 했다. 얼마 후 한국어 비디오 테잎은 나이에 다소 적합하지 않았고, 영어 채널만 자연스럽게 보게 되었다. 이런 방식이 아이의 언어 학습에 과연 효과가 있을까?

요가일래가 영어 문장을 처음 구사한 날을 잊지 않고 있다. 2005년 여름 한국을 방문했다. 어느 날 밤 자려고 하는데 갑자기 요가일래(당시 만 3세 7개월)가 이렇게 말했다.
"Daddy, i wanna sleep. But i can't sleep. It's very hot!!!"        
우리 부부는 깜짝 놀랐다.

"너 어디에서 배웠니?"
"텔레비전 만화에서"

그 동안 모르는 언어지만 재미난 만화들을 보라고 틀어놓은 것이 이런 결과를 가져다주었다. 지금까지 요가일래는 지속적으로 영어 만화 채널을 보고 있다. 최근 요가일래는 2006년  2월 자신이 횡설수설 영어로 이야기하는 영상을 보고 아주 재미있어 했다.  

▲ 촬영: 2006년 2월 / 만 4살 3개월

▲ 촬영: 2007년 12월 / 만 6세 1개월

위 두 영상을 보면 아직 어휘도 부족한테 언니보다 영어를 더 할 수 있다고 요가일래가 자신있게 허풍을 뜨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어린 자녀에게 쉽게 외국어 하나를 가르쳐주고자 하는 부모가 있다면 우리 부부가 선택한 방법을 권하고 싶다. 1) 만 2-3세 이른 나이에 시작한다; 2) 한 언어 채널만 틀어준다; 3) 지속적으로 틀어준다. 4) 텔레비전 전기료는 과외비라 생각하면 된다.
Posted by 초유스
에스페란토2010. 1. 17. 09:55

배우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는 외국어가 있다면 얼마나 편리할까? 외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의 소원일 것이다. 아무리 배워도 힘든 것이 외국어이다. 지금 살고 있는 나라의 언어 리투아니아어는 초유스에겐 정말 어렵다. 단어도 쉽게 외워지지도 않고, 정확한 발음도 뒤돌아서면 잊어버린다.

이럴 때 아내의 잔소리는 높아진다. 다행히 옆에 있는 요가일래는 "그래도 아빠는 한국말과 에스페란토를 잘 하잖아!"라고 원군이 되어준다. 90년대초 폴란드어를 좀 배워서 말했다. 슬라브어에 속하는 폴란드어 지식 덕분에 체코, 슬로바키아, 세르비아 등지를 여행할 때 초보수준이지만 그런대로 재미있게 현지인들과 어울렸던 적이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매년 여름 에스페란토 사용자 수천명이 모여서 세계대회를 개최한다.

언젠가 잠시 한국에 갔을 때 지인의 친구 A의 친구 B가 우크라이나에서 왔다. 지인의 친구 A는 러시아인이고 이들은 에스페란토로 잘 통했다. 그 친구 A의 친구 B가 한국에 가자 A는 자신의 한국인 친구인 초유스의 지인을 소개했다. 그런데 B는 에스페란토도, 영어도 할 수가 없었다. 지인과 B는 전혀 의사소통을 할 수가 없었다. 이때 구원투수는 초유스의 폴란드어였다. 이렇게 배우지 않아도 조금은 이해할 수 있는 외국어라면 손짓 발짓을 보태서 어느 정도 의사소통을 이를 수 있다. 

지난 1월 11일 영국 BBC 1 TV의 "The One Show" 프로그램이 국제어 에스페란토를 소개했다. 이 리포트에서 에스페란토에 전혀 지식이 없는 대학생들에게 에스페란토 문장을 말해주었더니 이들이 쉽게 이해를 했다. 이들은 영어뿐만 아니라 다른 외국어의 지식으로 쉽게 에스페란토를 이해했던 것이다.  



이때 이해력을 실험한 에스페란토 문장은 다음과 같다.
              Mia filo havas hamstron.
              La hamstro nomiĝas Fred.

              Mia patro havas hundon.
              La hundo nomiĝas Roxy.


지금 글을 읽는 사람 중에 유럽언어에 익숙하다면 이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배우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는 언어가 있다면 이 세상 사람들간 의사소통은 참 쉬울 것이다.

에스페란토 창안자 자멘호프(1859-1917)는 오랜 기간 동안 리투아니아 대공국 땅이었고 지금은 폴란드 땅에 있는 비알리스토크에서 태어났다. 당시 비알리스토크는 여러 민족이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의사소통이 어려워 민족간 불화와 갈등이 빈번했다. 이에 자멘호프는 모든 사람이 쉽게 배울 수 있는 중립적인 공통어를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했다. 그는 유럽 언어의 공통점과 장점을 활용해 규칙적인 문법과 쉬운 어휘를 기초로 에스페란토를 창안해 1887년 바르샤바에서 발표했다.

에스페란토는 변음과 묵음 등이 없어 적힌 대로 소리가 나고, 품사어미와 강조음 등이 규칙적이어서 배우기가 쉽다.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은 "1민족 2언어 주의"에 입각해 언어가 같은 민족끼리는 모국어를, 다른 민족과는 에스페란토를 사용하는 것을 지향한다. 쉽게 외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분들에게 에스페란토를 권하고 싶다.

* 최근글: 딸아이의 첫 눈썹 메이크업에 웃음 절로
* 관련글:
영어 홍수 속에 여전히 살아있는 에스페란토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09. 12. 19. 09:39

세상에는 우리 집 식구 네 사람만이 알고 있는 단어가 하나 있다. 무엇일까? 이는 리투아니어도, 한국어도, 에스페란토도, 영어도 아니다. 기존에 없던 새로운 단어이다.

외국어를 배울 때 가장 빨리 배우고, 가장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단어가 욕이라고 흔히들 말한다. 이 단어는 욕에서 비롯된 무국적 단어이다.

지금으로부터 8년 전인 2001년 큰 딸 마르티나가 한국에 갔다. 당시 아홉살이었다. 또래의 한국인 사촌들과 아파트 놀이터에 여러 차례 놀려갔다. 어느 날 마르티나가 신경질을 부리면서 내던진 말이 바로 이 단어였다. 그런데 아무도 이 단어를 이해하지 못했다.

무슨 말이냐고 마르티나에게 물으니 놀이터에서 한국 아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인데 왜 이 단어를 모르냐고 되물었다.

마르티나가 말한 단어는 바로 '시키마'였다. '시키마'가 대체 무슨 말일까?

5세부터 음악학교에 다닌 마르티나는 또래 아이들보다 음을 정확하게 듣는다. 외국어 단어라도 뜻은 모르지만 정확하게 듣고 따라서 말을 할 수가 있다. 그런 마르티나가 한 '시키마'는 정말 무슨 말인지 몰랐다.

한 동안 '시키마'는 화두로 남았다.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가 무엇일까를 곰곰히 추론해보았다. 시옷으로 시작하는 단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욕은 쉽게 배운다고 한다. 그렇다면 아이들이 상대방을 경멸해서 부를 때 흔히 사용하는 "이 새끼야!"의 '새끼'라는 단어가 아닐까?

'새끼'와 '시키마'는 완전히 닮지 않은 것 같다. 그럼, '시키마'의 마는 어디서 나왔을까? 혹시 '임마'의 '마'가 아닐까? 그럴 수도 있을 것 같다.

새끼 + 임마 = 시키마 ?

결론적으로 '시키마'는 마르티나가 당시 놀이터의 한국 아이들이 자주 말한 "(이) 새끼야!", "(야) 임마!"를 옆에서 많인 들운 후 순간적으로 입에서 튀어나온 단어로 여겨진다.

하지만 마르티나는 이 '시키마'를 상대방을 부를 때 사용하지 않는다. 주로 마르티나가 부탁을 해서 남이 빨리 안들어 주었을 때나 신경질이 나서 소리를 지를 때 사용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마르티나와 요가일래는 종종 '시키마' 단어를 사용하면서 자신의 불만을 표출한다.

이 '시키마' 단어는 이제 작은 딸 요가일래에게도 전수되었다. 가끔 아내도 사용한다. 이젠 리투아니아 사람인 처남들까지도 사용한다.

이렇게 한국 단어의 "새끼"와 "임마"가 마르티나에 의해 "시키마"로 변했다. 마르티나의 리투아니아 친구들도 이 단어를 자연스럽게 배워 사용한다고 한다. 그들은 이 단어가 한국어 단어라고 믿고 있다. ㅎㅎㅎ

* 최근글: 한국 잡채가 정말 맛있어요

<아래에 손가락을 누르면 이 글에 대한 추천이 되고,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글을 읽을 수 있게 됩니다.>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09. 9. 28. 06:52

지난 9월 26일은 '유럽 언어일'이다. 유럽 평의회(-評議會, Council of Europe)는 언어의 다양성이 문화간 이해를 높이고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호하는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회원국가의 국민들이 더 많은 언어를 배우는 것을 장려하기 위해 "유럽 언어일"을 2001년 제정했다.  

현재 유럽 평의회 회원국가는 모두 47개국이고 언어다원주의를 지향하고 있다. 유럽 통계청은 '유럽 언어일"을 맞아 유럽 성인들의 외국어 능력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발표에 따르면 유럽 성인(25세-64세) 중 가장 많은 국민들이 전혀 외국어를 하지 못하는 나라는 헝가리로 나타났다. 헝가리 성인의 75%가 전혀 외국어를 하지 못하고 있다. 영국 65%, 포르투갈 51%, 스페인 47%, 불가리아 44%, 그리스 43%, 프랑스 41%로 이어졌다.  

유럽연합 27개국에서 평균 36%가 모국어를 제외한 어떤 언어도 말할 수 없다. 36%는 하나의 외국어를 말할 수 있고, 28%는 2개 이상의 외국어를 말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그래픽 출처: http://www.novinite.com/view_news.php?id=108141

성인 중 두 개 이상 외국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이 가장 많이 사는 나라는 노르웨이이다. 노르웨이 성인의 75%는 두 개 이상의 외국어를 말할 수 있다. 이어서 슬로베니아 72%, 리투아니아 66%, 벨기에 51.5% 순이다.

외국어 교육이 가장 낮게 이루어지는 나라는 영국이다. 영국의 고등학생들 중 51.5%가 어떠한 외국어 수업도 받지 않고 있다. 42.5%는 외국어 하나만을 배우고 있고, 이는 대부분 프랑스어이다. 6.1%만이 두 개의 외국어를 배우고 있다.

영국과는 대조적으로 체코, 에스토니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핀란드 고등학생들은 거의 100%가 2개 이상의 외국어를 배우고 있다.

* 관련글: 통역 없는 세상 꿈 이루는 에스페란토
               서로 말이 다른 8명이 무슨 말로 대화할까
               다문화가정의 2세 언어교육은 이렇게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09. 9. 13. 06:58

지난 9월 1일 초등학교 2학년이 된 딸아이 요가일래는 지난 주부터 제1 외국어를 배우기 시작했다. 리투아니아는 초등학교 2학년 때부터 제1 외국어를 배운다. 대부분의학생들은 제1 외국어로 영어를 선택한다.

요가일래의 초등학교는 프랑스어가 특화된 학교이지만 학생들이 영어와 프랑스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지난 4월 "7살 딸이 영어 아닌 불어를 선택한 이유" 글에서 요가일래가 프랑스어를 선택했음을 알렸다.

하지만 최종 결정에서 프랑스어가 아니고 영어를 선택했다. 요가일래의 처음 뜻을 존중하는 것도 좋지만 깊이 있는 댓글을 다신 분들과 주변 사람들의 조언에 경청했고, 가족회의를 거쳐 요가일래의 동의를 얻어 영어로 결정했다.

요가일래가 일상에서 접하고 있는 언어는 한국어, 리투아니아어, 에스페란토, 영어, 러시아어 모두 다섯 개이다. 이외에 가끔 아빠로부터 천자문도 배운다. 프랑스어를 하나 더 배우게 하는 것보다 영어를 확실하게 배우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고 결론지었다.

일주일에 영어를 몇 시간 배우는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담임 선생님이 자신이 짠 수업시간표를 두 서너 주 동안 적용해보고 결정지을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리투아니아 초등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 (왼쪽 주교재, 오른쪽 연습교재)

영어 교과서는 두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교재와 연습교재이다. 주교재는 모두 16과로 65쪽, 소사전 6쪽, 그리고 동물, 과일, 물건 그림이 16쪽으로 되어 있다. 사전에 실린 영어 단어수를 세어보니 약 300개가 된다. 주교재는 다 배우면 도서관에 돌려주어야 한다. 연습교재는 67쪽으로 학생들이 주로 직접 글자와 답을 쓰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주교재는 마치 만화책으로 공부하는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연습교재 제1과 내용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영어 단어, 발음 그리고 리투아니아어 뜻을 쓰고 있는 요가일래

초등학교 저학년이 처음으로 배우는 영어 교과서라서 그런지 거의 모든 쪽에 다양한 동물들이 그려져 있다. 마치 만화책을 가지고 영어를 배우는 것 같다. 군데군데 또래 아이들의 사진을 넣어서 현장감과 친근감을 높이고 있다. 요가일래가 이 학교 교육만으로도 영어를 잘 할 수 있기를 바란다.

* 관련글: 7살 딸이 영어 아닌 불어를 선택한 이유
               점수 없는 초등학교 성적표, 그럼 어떻게?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09. 4. 25. 16:20

일전에 올린 "7살 딸이 영어 아닌 불어를 선택한 이유" 글에 많은 사람들이 댓글을 통해 여러 조언들을 해주었다. 어떤 분은 올린 글 내용보다 더 많은 댓글을 통해 의견을 피력해주었다.  

-
아이가 원하고 있고, 프랑스어를 배우기 좋은 환경이라니 참 다행입니다^^
혹여 공부에 필요하다면 그 때 또 영어를 배우면 되겠지요.
-
그런데 어려서 영어학교에 다닌 아이들은 나중에 불어를 익히히가 어려운데 불어학교에 다닌 아이들은 영어를 쉽게 배웁니다. 불어가 훨씬 배우기 어려운 언어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영어는 나중에라도 접할 기회가 많기 때문이죠.
-
더 나이가 들면서 4개 국어를 모두 하기는 힘들지 않을까요? 이쁘고 똘똘한 따님... 영어를 더 많이 가르쳐서 더 많은 기회를 주셨으면 합니다..
-
세계학술논문의 90%는 영어로 작성된다고 합니다
괜히 3~4개국어 하는것 보다 현지인수준의 영어 한 가지가 훨씬 좋습니다.
-
우리나라에는 영어를 하는 사람은 많은데, 제대로 상류층 고급언어를 사용하면서 정치적 경제적 토론까지 할 수 있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풍요속의 빈곤이죠.
-
대충 단순한 회화수준의 영어와 불어 정도를 할 줄안다고 해서는 경쟁력이 별로 없습니다. 어느 한 개라도 정말 제대로 해야 하겠죠.
-
유럽 사람들 치고 자신 있게 여러 나라말 한다고는 하지만 자세히 들어보면 "지껄이는 수준" 밖에 되질 않습니다...... 어느 나라말을 유창하게 구사한다고 했을 때 신문기사정도는 쓸 줄 하는 것이 정말 유창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대부분의 사람들은 영어를 권했다. 그리고 여러 말을 하는 유럽 사람들은 "지껄이는 수준"이라며 하나만이라도 확실히 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주위에 "지껄이는 수준"이 아니라 여러 나라말로 신문기사를 쓰는 사람들이 적지 않게 있다. 바로 어제 만난 친구도 그 중 하나이다. 스웨덴에서 일간지 신문기자로 일하고 있는 칼레 크니빌라이다.  

러시아에 속하는 칼리닌그라드에서 "학교 교육"과 "국경 이동 실상" 취재를 마치고 스웨덴으로 돌아가는 길에 잠시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를 방문했다. 1박하면서 짧은 시간에 만나서 점심식사를 같이 했다.

여러 이야기 중 일전에 올린 글에 대해 이야기 했다. 그래서 그에게 "과연 여러 말로 신문기사를 쓸 정도로 유창하게 쓰는 사람들이 많나?"라고 물었을 때 그의 대답은 "그렇다"이다. 그는 핀란드어, 스웨덴어, 러시아어, 영어, 에스페란토 모두 5개 언어로 자유롭게 취재하고 신문기사를 쓰고 있다.

이런 주위의 환경을 보니 딸아이가 불어를 선택한다고 해서 굳이 영어가 대세라는 명분으로 이를 반대하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는다. 

* 관련글:
               - 서로 말이 다른 8명이 무슨 말로 대화할까 

Posted by 초유스
에스페란토2008. 11. 5. 06:19

최근 시골 고향에서 고기계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는 리투아니아 퇴임 기계학 교수를 취재하려 다녀왔다. 만남 인사를 마친 후 그의 첫 물음은 리투아니아인 아내와 집에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가 무엇인가였다. 모국어가 서로 다른 부부에게 제일 궁금한 중 하나가 "저들은 부부 사이, 자녀와 부모 사이 도대체 무슨 언어로 의사소통할까?"이다.  

의사소통 언어가 “에스페란토”라 답하니 "아직도 에스페란토가 살아있냐?"며 놀라워했다. 에스페란토를 모르는 사람들도 많지만, 오래 전 에스페란토를 알던 사람들 중에도 에스페란토가 벌써 죽은 언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에스페란토는 우리 집 공용어로 매일 살아 숨 쉬고 있다. 우리와 같은 에스페란토 맺어진 다문화가정이 세계 도처에 있다.

집에 돌아와서 편지를 확인하니 반가운 소식이 하나 있었다. 바로 한국의 젊은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이 누리망에 퍼져 있는 에스페란토 안내 동영상에 한국어 자막처리를 완성했다는 것이다. 정부가 선봉에 서서 한국어보다 영어를 강화시키고, 부모들이 영어 발음을 위해 자녀에게 혀 수술까지 시키는 사회에 살아가는 젊은이들이 에스페란토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는 데에 아낌없는 찬사를 보낸다.    

에스페란토는 자멘호프(1859-1917)가 1887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발표한 세계 공통어를 지향하는 언어이다. 변음과 묵음 등이 없어 적힌 대로 소리 내고, 품사어미와 강조음 등이 규칙적이어서 익히기 쉽다.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은 "1민족 2언어 주의"에 입각해 언어 같은 민족끼리는 모국어를, 다른 민족과는 에스페란토를 사용하는 것을 지향한다.

자멘호프가 태어난 옛 리투아니아 대공국령인 지금의 폴란드 비얄리스토크는 당시 여러 민족들이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의사소통이 쉽지 않았고, 민족간 불화와 갈등이 빈번했다. 자멘호프가 모든 사람이 쉽게 배울 수 있는 중립적인 공통어를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하고, 유럽 여러 언어들의 공통점과 장점을 활용해 규칙적인 문법과 쉬운 어휘를 기초로 에스페란토를 창안한 이유다.

"지금 처음으로 수천 년의 꿈이 실현되기 시작했다. 여기 프랑스의 작은 해변도시에 수많은 나라에서 온 사람들이 모였다. 서로 다른 민족인 우리는 낯선 사람으로 만난 것이 아니라, 서로에게 자기 언어를 강요하지 않고 서로를 이해하는 형제로 모였다. 오늘 영국인과 프랑스인, 폴란드인과 러시아인이 만난 것이 아니라, 바로 사람과 사람이 만났다."
1905년 제1차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행한 자멘호프의 연설은 한 세기가 흐른 지금에도 여전히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어몰입교육이 판치는 한국 상황에서는 힘들겠지만, 한번 에스페란토를 배워보고자 하는 사람은 한국에스페란토협회(02-717-6974)나 에스페란토문화원(02-777-5881; 010-3340-5936)에 문의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다. 한편 http://lernu.net/에서 직접 배울 수도 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 단국대, 원광대 등에 에스페란토 강좌가 정식으로 개설돼 있다. 한국어 자막이 되어 있는 아래 에스페란토 안내 동영상(E@I www.ikso.net 제작)을 통해 더욱 생생하게 에스페란토를 알아볼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어느 날 우리 집 탁자에 체코, 스위스, 스웨덴, 폴란드, 불가리아, 헝가리, 리투아니아,
          한국에서 온 8명 친구들이 의사소통 장애 없이 에스페란토로 즐겁게 대화를 나누고 있다.

1편: 에스페란토는 모든 것에 적합한 언어이다

2편: 에스페란토는 많은 특색을 가진 언어이다

3편: 에스페란토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언어이다

4편: 에스페란토는 배울 수 있고, 배울만한 언어이다

5편: 에스페란토는 다양한 운동을 지닌 언어이다

6편: 에스페란토는 미래의 언어이다


* 관련글: 통역 없는 세상 꿈 이루는 에스페란토
               서로 말이 다른 8명이 무슨 말로 대화할까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08. 9. 3. 16:54

* 관련글: 다문화 가정 자녀의 5개 언어 구사 비결

한국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결혼한 부부 10쌍 가운데 1쌍이 외국인과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한국에서도 다문화가정이 이젠 낯설지가 않다. 다문화가정이 안고 있는 어려움 중 하나가 바로 외국인 배우자와 2세들의 언어문제일 것이다.

지난 여름 곧 일곱 살이 될 딸 요가일래와 함께 한국을 다녀왔다. 한국에서 만난 사람들은 딸아이가 어떻게 어느 나라 말을 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제일 궁금해 했다. 그래서 다시 한 번 글을 정리해서 올린다.

요가일래 엄마는 리투아니아인이고, 아빠는 한국인이다. 요가일래가 구사할 수 있는 언어는 한국어, 리투아니아어, 러시아어, 영어, 에스페란토이다. 아래 영상에서는 요가일래가 5개 국어로 노래를 하고 있다.


우리 부부는 리투아니아어도, 한국어도, 영어도 아닌 에스페란토로 만났다. 리투아니아에 살고 있지만, 지금도 우리 부부의 일상 언어는 에스페란토이다. 이런 언어환경에서 요가일래가 다섯 개 언어를 말할 수 있게 된 것은 아래와 같은 원칙 때문이다. 


1. 모태부터 지금까지 아빠는 무조건 한국어로만 말한다. 만 1세경부터  한국어 비디오테잎을 그냥 틀어놓았다. 자연스럽게 보도록 하기 위해서다. 만 3세경부터 한국어 인터넷 학습 사이트를 활용하고 있다.

2. 엄마는 무조건 리투아니아로만 말한다 (원칙: 어느 한 쪽이 두 말을 절대로 섞지 말 것. 적어도 만 3살이 되도록까지).

3. 소련으로부터 독립 후 리투아니아엔 영어가 현재 러시아어를 밀어내고 있다. 하지만 가까운 장래에 러시아어가 다시 중요한 언어로 부각될 것이라 생각해 러시아어 어린이집에 다니도록 했다.

4. 영어 만화채널를 아주 어렸을 때부터 자유롭게 보도록 했다. 어린이집에 갔다오면 잘 때까지 거의 영어채널을 틀어놓는다. 영어가 자연스럽게 노출되면서 아이가 스스로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했다. 

5. 부모는 늘상 에스페란토를 사용한다. 아이는 부모 대화를 들으면서 자연스럽게 이 언어를 습득한다.

한국 다문화가정의 언어교육의 실상이 어떠한 지는 잘 알 수가 없다. 예를 들면 엄마가 베트남인이면, 늘 아이에게 베트남어로 말함으로써 자신의 모국어를 잊어버리지 않고, 또한 아이가 커서 엄마의 친척들과 대화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아빠도 조금씩 베트남어를 배워갈 수 있다. 한국에 산다고 한국어만 강요하지 말고, 배우자의 언어도 존중하는 것이 좋겠다. 우리 가정의 예가 다문화가정을 이루고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Posted by 초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