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모음2018. 10. 16. 06:13

한국 여권으로 무비자나 도착비자로 입국할 수 있는 나라는 총 188개국으로 독일과 프랑스 여권과 같이 세계 3위이다. 1위는 190개국으로 일본 여권, 2위는 189개국으로 싱가포르 여권이다.

차세대 한국 전자여권이 2020년부터 발급될 예정이다. 이 여권 시안의 표지색이 녹색이 아니라 청색이다. 청색을 사용하는 북한 여권과 비슷해 부적절하다라는 의견이 나왔다. 청색 여권(남색 여권)은 북한뿐만 아니라 미국을 비롯해 많은 나라들이 채택하고 있는 여권 표지 색이다. 

* 차세대 전자여권 시안(왼쪽)과 북하 여권


그렇다면 세계 각국은 어떤 여권 표지 색을 채택하고 있을까?
크게 네 가지 색밖에 없다. 적색, 청색, 녹색, 흑색이다. 
[참고 기사: https://vmarkus.lt/megstamiausi/pasaulyje-yra-tik-4-spalvu-pasai/]

1. 적색 계열
가장 많은 여권 표지 색상은 적색이다. 주로 공산체제를 가졌거나 가지고 있는 나라들이 주로 이 색을 채택하고 있다. 슬로베니아, 중국, 세르비아, 러시아, 라트비아, 루마니아, 폴란드, 조지아 등이다. 남색을 채택한 크로아티아를 제외한 유럽연합 회원국들은 체리색이나 적색 여권이다. 유럽연합에 가입하고자 하는 나라들인 터키, 마케도니아, 알바니아는 몇 해 전에 여권 색을 적색으로 바꿨다. 안데스 공동체 4개국인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도 적색 여권이다.


2. 청색 계열
두 번째로 많은 국가가 채택하고 있는 색은 청색(남색)이다. 청색은 "새로운 세계"를 상징한다. 카리브해 연안 15국이 이 색을 사용하고 있다. 남미 경제 공동체 회원국인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여권 표지도 청색이다. 미국은 1976년부터 청색 여권을 발급하고 있다.  



3. 녹색 계열
모로코, 사우디아라비다, 파키스탄 등 주로 이슬람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여권 표지 색은 녹색이다. 자연과 생명을 상징하는 녹색은 무함마드(마호메트)가 가장 좋아하는 색으로 알려져 있다. 니제르, 나이지리아, 세네갈 등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회원국 여권 표지 색도 녹색이다. 



4. 흑색 계열
여권 표지 색으로 흑색은 드물다. 보츠와나, 잠비아, 부룬디, 가봉, 앙골라, 차드, 콩고, 말라위 등 아프리가 국가들이 발급하고 있다. 뉴질랜드를 상징하는 색이 흑색이기 때문에 뉴질랜드는 흑색을 여권 표지 색으로 사용하고 있다.  



아래 지도는 세계 각국의 여권 표지 색을 나타내고 있다. 



위 지도에서 보듯이 단지 청색이 북한 여권 표지 색과 비슷한 것만으로 부적절하다는 의견에는 쉽게 동의하지 못하겠다.
Posted by 초유스
발트3국 여행2018. 4. 30. 17:16

리투아니아 빌뉴스 공항에서 출국해 
에스토니아 탈린 공항에서 입국할 때까지 
해외여행의 필수인 여권을 한 번도 보여주지 않을 수 있다니 놀랍다.
얼마 전 신분증 없이 김포-제주 노선을 이용한 모 정당의 원내대표 일이 떠올랐다.

QR 코드(영어: QR code, Quick Response code)은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이다. 국립국어원에서는 QR 코드를 정보무늬로 다듬었다.


휴대폰 안에 들어있는 정보무늬(QR 코드) 하나만으로 이 모든 과정이 가능했다.
탑승 수속을 집에서 하고 탑승권을 따로 인쇄하지 않고 
정보무늬만 휴대폰에 넣었다.

기내 수하물 검사대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직원이 들어가는 사람들을 확인하고 있었다.
이곳에서 여권을 보여주지 않고 
단말기에 직접 정보무늬만 인식시켰다.

수하물 검사대를 통과할 때 보통 여권과 탑승권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데 
이번에는 이 과정이 없었다. 곧 바로 탑승 대기 장소로 갔다. 

탑승 시간이 되자 정보무늬가 든 휴대폰과 여권을 꺼내려고 했다.
하지만 앞 사람들을 보니 여권 확인을 하지 않았다. 
일일이 여권 속 사진과 실물 사진을 꼼꼼히 확인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냥 탑승권만 확인했다.

정보무늬를 인식기에 직접 넣으니 통과해도 된다는 녹색불이 들어왔다.

이렇게 여권을 한 번도 보여주지 않고 비행기에 탑승했다.


흔한 제트 비행기가 아니라 프로펠러 비행기다.
소음과 진동을 특별히 느낄 수가 없었다. 


하늘에서 내려본 리투아니아 빌뉴스 교외 모습이다. 초원, 숲, 호수, 구불구불한 강...



이 프로펠러 비행기 안에서 

3유로 주고 커피 한 잔을 마시면서

유치환의 "깃발"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해보았다.



600여킬로미터를 50분에 걸려 도착한 탈린 공항이다. 탈린공항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로: 광고 속으로 빨려 들어갈 듯한 탈린 공항 탑승구


휴대폰 안에 든 정보무늬 하나만으로 이렇게 두 나라를 이동했다.
물론 이 두 나라는 국경통과 간소화를 위한 쉥겐조약 가입국이다.

정말 번거럽지 않는 수속, 탑승, 입국의 세상을 오늘 아침에 맛보았다.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3. 8. 9. 06:53

일전에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서 생긴 일이다. 리투아니아인 점원이 한국인 손님이 보여준 한국 여권을 보더니 신기한 듯 미소를 지었다. 다가가서 물어보았다. 

"왜 그래요?" 
"여기 봐요! 이런 여권도 있어요."

점원이 손가락으로 가르킨 부분이 바로 영문으로 표기된 성이다.

LEE (wife of SHIN)

얼핏보면 Lee의 뜻(설명)이 신(Shin)의 아내로 여겨진다.
보통 설명을 할 때 괄호 부호를 달기 때문이다.

영문 이름에 이렇게 누구의 아내라고 설명한 것은 나도 처음 보았다. 한국인에게 물었다.


"여권 발행을 신청할 때 이렇게 누구의 아내라고 해달라고 부탁했나요?"
"아니요. 전혀 부탁하지 않았어요. 가서 받아보니 이렇게 되어 있었어요."

국민 개개인의 여권인데 이렇게 꼭 누구의 아내라고 토을 달아야 했을까...... 이 여권을 심사하는 각 나라의 출입국 직원들은 모두 신기해 할 듯하다.

한편 리투아니아 여성은 결혼하면 대개 남편의 성을 따른다. 성에 접미사 ienė가 붙고, 이는 아내라는 뜻이다. 즉 남편 성이 Čojus면, 아내는 Čojienė이다. 즉 Čojus의 아내라는 뜻이다. 여성의 성 자체에 이미 결혼 유무가 나타나기 때문에 굳이 위에 있는 한국 여권처럼 누구의 아내라고 설명할 필요가 없다. 물론 이는 리투아니아 내에서만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여권에 이렇게 wife of shin이라고 한 것은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부부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결혼증명서나 결혼증을 보여주거나 소지하면 된다. 외국에 나가서는 가장 중요한 개인 서류인 여권에 누구의 아내라고 밝히는 것이 과연 합당한 일일까......

이 분의 남편 여권에는 husband of LEE라고 표기되어 있을까......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1. 8. 07:33

나라마다 여권도 다르고 그 안에 그려진 문양도 다르다. 먼저 한국 여권의 속지를 보자. 짝수 쪽 하단에는 남대문, 홀수 쪽 하단에는 다보탑이 있다. 가운데에는 각각 다섯 개의 원형으로 된 문양이 있다. 


그렇다면 리투아니아 여권의 속지는 어떤 모습일까? 각각의 쪽마다 배경이 다르다. 리투아니아 각지의 명소를 찍은 사진이 배경으로 들어가 있다.


최근 폴란드 누리꾼들 사이에 화제가 된 우크라이나 여권 속지의 문양이 신기하다. 바로 문양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사탄을 닮았기 때문이다. [사진출처 image source link]


 참으로 대단한 호기심의 발로이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2. 3. 16. 07:38

요즘 반가운 소식이 하나 있다. 2월말부터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빌뉴스대학교에서 한국어 초급을 가르치고 있다. 동양학센터가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희망자를 받아서 유료로 개최하는 강좌이다. 11명이 신청했으나 현재 7명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직원 채용을 위한 서류를 제출하고, 서명할 때 받은 질문이다.

"이름이 두 개인가요? 첫 이름과 중간 이름?"
"아니요. 이름은 하나인데 여권상 표기법으로 인해 두 개로 나눠져 있어요."

여권상 표기된 이름이 DAE SUK CHOI이다.
유럽인들이 보기에 이 이름은 영락없이 두 개의 이름, 즉 'Dae'와 'Suk'이다. 

얼마 전 일로 알게 된 리투아니아 사람은 자꾸 나를 '다에(Dae)'로 부른다. 이름이 "대석"인데, 여권상 라틴철자 표기로 인해 'Dae'를 첫 번째 이름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중에 표기법으로 인해 그렇게 사용하고 있음을 알려주자 그는 "미안합니다. 앞으로 Daesuk이라 부르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이름이 두 자로 구성되어 있지만 라틴글자 표기를 할 때 이 두 자를 붙여서 쓰는 것이 좋겠다. 우리에게는 Dae Suk과 Daesuk이 같은 사람이지만, 유럽인들에게는 표기상 전혀 다른 사람이 될 수 있다.

각설하고 오늘은 한글 이름을 만들어 애용하는 유럽인 한류팬들을 소개한다. 리투아니아 한류팬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페이스북 "Hallyu klubas"에서 어렵지 않게 한글 이름을 볼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이 회원이 한국인인지 리투아니아인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  한복입고 외국 TV에서 노래 경연하는 어린이 응원 투표하기 

 [사진: 페이스북 "Hallyu klubas" 캡쳐]
 
외국에 사는 한국인이 비한국인이 쉽게 부를 수 있도록 현지어 이름을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반대로 리투아니아 한류팬들처럼 한국을 좋아하는 외국인이 한국어 이름을 만들어 즐겨 사용하기도 한다. 대체로 주위 현지인들은 좋은 뜻이 내포되어 있는 한국인의 이름에 강한 인상을 받는다.  
Posted by 초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