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페란토2015. 1. 28. 05:17

10a Internacia Esperanto-Renkontiĝo de Meditado

En Nonsan, Koreio okazis la 10a Internacia Esperanto-Renkontiĝo de Meditado (IERM) de la 16a ĝis la 19a de januaro 2015.

Ĝin organizis la Esperantista Asocio de Ŭonbulismo (EAŬ) sub la aŭspicioj de la Internacia Fako de Ŭonbulismo, koredevena religio. Ĉeestis 36 esperantistoj el Ĉinio, Hungario, Japanio, Koreio, Litovio, Pakistano kaj Rusio. Ĉi-jare partoprenis konataj aktivuloj kiel Mikaelo BRONŜTEJN el Rusio, MÁRKUS Gábor el Hungario kaj Saeed AHMAD el Pakistano. Kiel tradicie Oomoto, la japana religio, kiu fervore pledas por Esperanto, sendis sian reprezentanton KIMURA Kacuja, kiu ĉeestis la unuan IERM-on en 2006, kaj ambaŭ religioj tiel daŭrigis interreligian kunlaboron.

Al la evento sian mesaĝon sendis la estrino de la Internacia Fako de Ŭonbulismo kaj gratulis la dekjariĝon de IERM, aparte menciante ke ĉi tiu jaro estas signifoplena kaj por ŭonbulismo kaj por Esperanto, ĉar ĉi-jare ŭonbulismo atingos sian centan datrevenon kaj la Universala Kongreso de Esperanto festos sian centan datrevenon. Ankaŭ José Antonio Vergara, UEA-estrarano pri faka agado, sendis sian mesaĝon kaj aprezis la regulan realigon de IERM, admire konstatante ke EAŬ efike strebas por servi kaj la religion fonditan de Sotesano antaŭ 100 jaroj kaj la Esperanto-komunumon ekestiĝintan nur iom pli frue.

Oni faris ĉiufrumatene fizikan ekzercadon kaj sidmediton kaj ĉiuvespere 108-fojan riverencon kun pento, preĝo, danko kaj bondeziro. Dum la renkontiĝo prelegis SHIN Eun Sook (Esperanto kaj alternativa vivo), MÁRKUS Gábor (Ĉu estos diluvo post ni?), KIMURA Kacuja (Historio de Oomoto), Mikhail AVDEEV (Ŭonbulisma kontrolmetodo de atentaj agoj), Mikaelo BRONŜTEJN (Ikono de la Tiĥvina Dipatrino), JANG Jeong-Ryeol (Turismaj punktoj, linioj kaj dimensioj en Busano), kaj Saeed AHMAD (Graveco de purigado en sufiismo), kiu donis al la ĉeestantoj la raran okazon konatiĝi kun sufiismo. Inter la prelegoj okazis elekteblaj liberaj rondoj, en kiuj malgrandnombraj homoj pli proksime kaj profunde diskutis pri siaj interestemoj.

Al la ĉeestantoj estis disdonita la flugfolio, en kiu estis tiaj punktoj por kontroli sin kiel ‘haltigi la agon por momento’, ‘kunveni kvin minutojn antaŭ la koncerna programero’, ‘laŭdi pli ol unu al aliulo en unu tago’… Tia kontrolo de atento gravas en la ĉiutaga praktikado de ŭonbulismo kaj certagrade helpis al la tagordo de IERM plenumiĝi tre glate kaj harmonie.

Unuafoje en la azia Esperantujo Mikaelo BRONŜTEJN koncertis el siaj propraj kantoj kaj poemoj kaj trovis sian ŝatantaron. La korean tradician maskodancon prezentis JO Moonzoo kaj la ĉeestantoj provis danci laŭ ŝia gvido; ĉe la fino hungaro, ruso, japano kaj pakistanano dancis per sia nacia maniero laŭ la ritmoj de la korea maskodanco kaj tre gaje amuzis la kundancantojn, tial leviĝis la ideo, ke la danco estu enprogramita por la interkona vespero de la eventuala Seula UK en 2017.

Oni ne nur meditis kaj prelegis, sed ankaŭ ekskursis unue al la tereno de la ĉefsidejo de ŭonbulismo, en kiu troviĝas diversaj religiaj historiaj konstruaĵoj. Sub la ĉiĉeronado de CHOE Taesok oni povis pli multe konatiĝi kun ŭonbulismo kaj ĝia historio. Poste oni partoprenis en la glacia festivalo ĉe la najbara montpiedo kaj iuj sledis kaj aliaj rostis kaŝtanojn sur lignofajro. Kvankam mallonge, tio memorigis al ĉiuj sian infanaĝon. Post la ekskurso oni sate gustumis diversajn koreajn manĝaĵojn en la vespera bankedo.

Unu el la gravaj eroj de IERM estas viziti spiritajn gvidantojn de ŭonbulismo. Dum la vizitoj partoprenantoj rakontas siajn impresojn kaj aŭskultas iliajn instruajn vortojn, kompreneble, ankaŭ per tio la organizantoj celas ricevi pli da atento kaj subteno de la eklezio al la Esperanto-movado. La nuna ĉefmajstro (ekleziestro) Gjongsan substrekis, ke oni trovu la paradizon de menso kaj vivu dankan vivon. La emerita ĉefmajstro Ĝŭasan diris, ke personeco estas objekto por prizorgi, kaj ke por nutri la personecon devas en akordo esti parolo kaj ago, malapero kaj apero, interno kaj ekstero. Ambaŭ ĉefmajstroj laŭdis la esperantistan aktivadon por interpopola kompreno kaj monda paco.

* Esperantistoj kun la ĉefmajstro de ŭonbulismo (meze)


La ĉi-jara renkontiĝejo situis en belpejzaĝa montaro izolita de la cetera mondo kaj la ĉeestantoj ĝuis tre amikan kaj spiritan etoson por kvar tagoj. Estas notinde, ke post la renkontiĝo eksterlandaj partoprenintoj travojaĝis Koreion kaj vigligis la lokan Esperanto-movadon per sia prelego aŭ koncerto kaj iliajn agadojn favore raportis lokaj televido kaj gazetoj.

La 11a IERM okazos de la 8a ĝis la 11a de oktobro 2015 en Seulo. Oni povos ĝui kaj buntkoloran aŭtunon kaj esperantistan gastamon de Koreio kaj poste ĉeesti la 47an Korean Kongreson de Esperanto okazontan de la 24a ĝis la 25a de oktobro. Interesiĝantoj turniĝu al LEE Jungkee (esperanto@saluton.net).

Raportas CHOE Taesok
Ĉiuj subaj fotoj faritaj de JEON Dae-bong

▲ Komuna fotiĝo

▲ 108-foja riverenco

▲ Sidmedito

▲ Ekskurso al la ĉefsidejo de ŭonbulismo en Iksan

▲ Vizito al la ĉefmajstro Gjongsan

▲ Vizito al la emerita ĉefmajstro Ĝŭasan

▲ En la glacia festivalo

▲ Rosto de kaŝtanoj

▲ Lerno de la movoj de la korea maskodanco

▲ Prelegantoj

▲ Unu el la kvar liberaj rondoj

▲ Adiaŭo: "per Esperanto por mondpaco kaj amikeco ĝis revido ĝis la revido, ĝis la revido, ĝis la revido


http://www.espero.com.cn/2015-01/28/content_34676255.htm

~~~~~~~~~~~~~~~~~~~~~~~~~~~~~~~~~~~~~~~~~~~

11a Internacia Esperanto-Renkontiĝo de Meditado
~~~~~~~~~~~~~~~~~~~~~~~~~~~~~~~~~~~~~~~~~~~
1. Kiam: 2015 oktobro 8 (ĵaŭdo) – 11 (dimanĉo), 3 noktoj kaj 4 tagoj

2. Kie: la trejnejo Bongdo en Seulo (www.bongdo.co.kr)

3. Enhavo: meditado, meditado-gimnastiko, koreaj kulturo kaj tradicia ludo,
Esperanto-prelegoj, ekskurso, amuzaj ludoj, bankedo kaj tiel plu

4. Kotizo: 50 eŭroj aŭ 70 000 ŭonoj (programo, manĝado, loĝado,
ekskurso, bankedo)

5. Nombro: 20 personoj el ekster Koreio kaj 20 el Koreio

6. Oficiala lingvo: Esperanto

7. Aliĝlimdato: Ĝis la 20-a de septembro 2015

8. Prelegoj: Temoj pri 'Meditado' estas bonvenaj.

9. Kontakto kaj aliĝo: ĉe LEE Jungkee (esperanto@saluton.net leejungkee@esperanto.kr)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4. 10. 24. 10:34

이번 학기에도 빌뉴스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게 되었다. 최근 한국어 수업 시간에 "지다"를 가르쳤다- 좋아지다; 많다 -  많아지다; 싸다 - 싸지다... 

"식구 많아졌어요"라는 문장이 있었다.    

"식구라는 말이 무슨 뜻인가요?"라고 물었다.
그런데 그런데 "식구"라는 단어에 리투아니아 학생들이 모두 키득키득 웃음으로 답했다.

이유가 무엇일까?

한국어 "식구"라는 발음에 해당하는 리투아니아어 단어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리투아니아 단어는 무슨 뜻일까?

식구 šiku라는 뜻은 "똥을 누다"이다.
그러니 학생들이 웃을 수 밖에.

"식구 많아졌어요"라는 한국어 문장이 "똥이 많어졌어요"라는 소리를 들렸기 때문이다,


축제라는 말에도 웃음이 터져 나왔다.

축제는 Čiukčiai(축치인)을 뜻하는 츅체이를 연상시켰기 때문이다. 눈이 좁쌀처럼 생긴 아시아인들을 경멸해서 말하는 말 중 하나가 "츅체이"이다. 



사(4)과

사과(과일)

사과(잘못을 사과)도 동일하게 써지만 각기 뜻이 달라서 주목을 끌었다, 

 


행복

한복

항복도

비슷한 발음이라 학생들이 힘들어한다.



물고기

생선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고기 등에서 보듯이 고기는 죽은 것인데 왜 물고기는 산 것을 말하나?!



한국어 문장 중 "간장 공장......"을 알려주었더니 배꼽을 잡고 웃어대었다.



리투아니아어에 이와 유사한 문장은 다음과 같다.

개리 비라이 개로이 기료이 개라 기라 게레: 좋은 남자들이 좋은 숲 속에서 좋은 기라(맥콜)을 마신다


이렇게 한국어를 가르치다보면 뜻하지 않게 수업 시간에 웃는 경우가 더러 생긴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4. 2. 7. 05:05

리투아니아 빌뉴스 거리를 산책하다 보면 종종 흥미로운 광고를 만날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남대문 열렸네"를 연상시키는 광고이다.  

이 광고 내용은 "여자 사기는 부끄러운 일이다. 일찍이든 늦든 모두가 알 것이다." 아뭏든 동서가 모두 "남대문이 열린 것"은 수치스러운 일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누구나 "남대문이 열렸어"라고 일려주거가나 들은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럴 때 부끄러운 듯 슬그머니 올리면서 "왜 남대문이 열렸지. 동대문이 열려야 하는데..."라고 능청스럽게 답하는 이도 있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 사람들은 이 경우 어떻게 말할까? 
갑자기 궁금증이 일어나서 페이스북 에스페란토 그룹에 아래와 같이 문의했다.

"바지 지퍼가 열렸을 때 한국 사람들은 '남대문이 열렸다'라고 말하는 데 너희 나라에서는 이 경우 어떻게 표현하는가?"

얼마 지나지 않아 세계 각국으로부터 댓글이 속속 올라왔다. 나라마다 그 표현이 참으로 다양하다. 하지만 핵심단어는 문, 새(작은 새), 가게 등으로 비슷하다.  


나라 제공자와 내용 번역
핀란드 Salla Lappalainen: "Ĉevaloj forkuras." 말들이 도망간다.
에스토니아 Tõnu Hirsik: "Via ĉevaleja pordo estas malfermita." 네 마굿간 문이 열렸다.
독일 André Müller: "Viaj ĉevaloj forkuras!" 네 말들이 도망간다!
포르투갈 Rui da Palma: "Ĉu estas pagotago? aŭ "Hodiaŭ ne estas sabato!"  지불일이야? 혹은 오늘 토요일이 아니야!
칠레 Max Elbo: "Vi havas la budon malfermita." 네 오막집이 열렸다.
프랑스 Emmanuel Voyard: "Estas tago de pago, hodiaŭ?" 오늘이 지불일?
프랑스 Kévin Morel-Fourrier: "La birdeto eliros" aŭ "Estas paga tago hodiaŭ." 작은 새가 나올 거야 혹은 오늘이 지불일.
일본 Nitta Takamichi: "Vi malfermas socian fenestron." 사회의 문이 열렸다.
크로아티아 Stanko Rukelj: "La butiko malfermiĝis." 가게가 열렸다.
스페인 Pedro Hernández Úbeda: "Kaĝo malfermita, birdeto mortinta." 새장이 열렸고, 작은 새가 죽었다.
스페인 Juan Ca: "Via birdeto malliberiĝas."
네 작은 새가 갇힌다.
아르헨티나 Maximiliano Catania: "Via apoteko malfermitas." 네 약국이 열렸다.
브라질 Sandro M. Alves: "La birdeto ekflugos." 작은 새가 날아가기 시작할 거야.
스페인 Domingo Cordón: "La birdeto eskapos." 작은 새가 도망갈 거야.
이탈리아 Pedro Tiago: "La vendejo estas malferma." 가게가 열렸다.
이탈리아 Francesco Costanzo Non: "La apoteko estas malfermita. 약국이 열렸다.
이탈리아 Nicola Morandi: "La viandbutiko malfermiĝis." 정육점이 열렸다.
미국 Jennifer Bondelid: "XYZ, PDQ." 
Examine your zipper, pretty darm quick.
지퍼 확인하고 빨랑 닫아.
미국 William Harmon: "La besteja pordo malfermas." 가축우리 문이 열렸다.
미국 Keith Bowes: "La zipo estas malferma." 지퍼가 열렸다.
미국 Mark Riendeau: "Greneja pordo estas malfermita." 곡간 문이 열렸다.
불가리아 Aminda-Ivanka Stoyanova: “O, via vendejo (ankoraŭ), (jam) estas malfermita?   야, 네 가게가 열렸니?
영국 Ed Robertson: "Estas ovaĵo sur via ŝuo". 네 신발에 달걀 있어.
필리핀 Gene Corpus: "La birdo ekforflugas." 새가 도망갈 거야.
리투아니아 Jogaile Cojute: "Vendejo estas malfermita." 가게가 열렸다.

왜 토요일과 지불일이 등장할까? 포르투갈 친구가 설명해주었다. 이는 아마 로마시대에서 나온 듯하다. 당시 매주 토요일마다 사람들은 소금이나 다른 지불 물건으로 정산했다. 미국 사람들은 직설적으로 지퍼가 열렸다고 말한다.  한 친구는 "남대문이 열렸다"라는 한국식 표현이 아주 마음에 든다고 평했다. 

이런 표현은 재미삼아 알아두면 좋겠다. 리투아니아 사람들에게 "네 남대문이 열렸다"라고 아무리 말해도 상대방은 황당하고 이해할 수 없다고 반응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가게가 열렸다"라고 알려주면 즉각 감사 인사를 받을 것이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12. 30. 08:40

긴 크리스마스와 주말이 끝나고 다시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되었다. 리투아니아는 국민 대다수(77%)가 로마 가톨릭교를 믿는지라 크리스마스 국경일은 3일이다. 24일, 25일, 26일이 쉬는 날이다.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어떻게 이 3일 휴가를 보냈을까? 따뜻한 남쪽 나라에서 휴가를 보낸 가족도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우리집처럼 보냈을 것이다.

24일은 가족과 음식 만들기 

크리스마스 전야 저녁 식사는 그야말로 만찬이다. 이날은 생선을 제외한 고기를 일절 먹지 않는다. 만찬 식탁에는 12가지 음식[관련글 읽기]이 올라온다. 그렇기 때문에 가정주부 한 명이 일하기에는 힘이 든다. 그래서 온 가족이 함께 도와서 음식을 준비한다. 

온 가족이 식탁에서 기도한 후 미사빵을 나눠먹는다. 이날은 편식하지 않고 12가지 음식을 고르게 먹는다. 식탁에는 혹시 방문할 사람을 위해 빈 의자, 빈 접시와 수저를 마련한다. 식사 후 식탁에 둘러앉아 지난 1년을 회상하면서 이야기를 나누고, 찬송가도 부른다. 이날은 식사 후에도 식탁을 치우지 않고 그대로 두는 집도 있다. 그리고 성당에서 열리는 밤 미사에 참가한다. 

 


25일은 가족과 함께

25일 성당 미사에도 참가한다. 이날은 가급적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이날만큼 우리 가족은 모두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공동 놀이를 하기로 했다. 유럽 지도 놀이와 화투 놀이를 했다. 

저녁 무렵이 되자 함께 했던 부엌이나 거실에서 식구들은 자기 방으로 한명씩 사라졌다. 낮에는 "오늘은 함께 놀아야 돼"라고 책망했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함께 놀기가 이젠 지루해"에 공감도가 높아져 갔다.

 

26일은 친구들과 함께

휴가 3일째는 주로 친구들을 초대하거나 초대에 응해 함께 시간을 보낸다. 평소 가깝게 지내는 친척 부부 한 쌍과 친구 부부 한 쌍, 그리고 이들의 딸과 남자친구를 초대했다. 어른이 모두 8명이었고, 나라는 4개국(한국, 리투아니아, 이집트, 스페인)이었다. 친척의 남편이 이집트 사람이고, 친구 딸의 남자친구가 스페인 사람이다.

먼저 탁구 놀이로 시작했다. 이어 찬 음식을 먹으면서 맥주나 포도주를 마시기 시작했다. 따뜻한 음식으로는 닭볶음탕을 준비했다. 식탁에서 가장 웃음을 선사한 것은 혀 꼬이게 하는 각 나라말의 문장이었다. 

외국에서 흔히 접하는 질문 중 하나이다. 현지인들이 놀이삼아 질문한다. "너, 이 (리투아니아어) 문장을 따라할 수 있어? 한번 해봐! 해봐!"
잘하든 못하든 외국인의 시도에 현지인의 웃음이 터져나온다. 이런 경우에 가장 좋은 대응책은 이것이다. "그럼, 너희들은 내가 말하는 (한국어) 문장을 한번 따라해봐!"

 

혀 꼬이게 하는 문장

이날 모임에 나온 각 나라말 중 혀 꼬이게 하는 문장을 영상에 담아보았다. 순서는 아랍어, 리투아니아어, 스페인어이다. 

 


제일 나중에 한국어 차례였다. 어렸을 때 친구들과 놀았던 문장을 소개했다. 

간장 공장 공장장은 강 공장장이고, 된장 공장 공장장은 공 공장장이다. 


이 문장에 모두가 대장대소했다. 이 한국어 문장이 4개 언어 중 가장 따라하기 어려운 문장으로 낙점되었다. 이런 즐거움과 유쾌함 속에 모처럼 빌뉴스 우리집에서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보낸 크리스마스였다. 그야말로 "즐거운 성탄절"이었다.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3. 12. 20. 06:37

한국어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쉽다고 좋아하면서도 안타까워하는 사항이 하나 있다. 바로 한국어에는 한글로 표현된 영어 단어가 적지 않게 있다는 것이다.

예전에는 성탄절 단어가 많이 사용된 것 같은데 지금은 대개 크리스마스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우리가 크리스마스라고 하면 유럽 사람들도 다 이를 이해할 것 같은 착각마저 든다. 정답은 이 영어 단어를 아는 사람만 알 것이다. 

크리스마스에 해당되는 여러 언어의 단어가 표기된 유럽 지도가 눈길을 끈다. 언어마다 제각각이다. 


영어 단어 크리스마스(Christmas)는 '그리스도의 미사'라는 뜻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리는 행사이다. 크리스마스에 해당되는 리투아니아어 단어는 Kalėdos(칼레도스)이다, 이는 해(태양)가 돌아옴을 기리는 고대 축제에 기원을 두고 있다. 부연 설명하자면 밤이 제일 긴 동지를 지나서 점점 낮이 길어지는 것을 말하고, 이는 양의 기운이 음의 기운을 눌러 이겨서 서서히 소생한다는 의미다.  

폴란드어로는 Boże Narodzenie(보제 나로제니에)이다. 글자 그대로 번역하면 '신의 탄생'이다. 

한편 선물을 가져다주는 산타 할아버지를 유럽 여러 언어는 어떻게 표현할까? 


혹한 할아버지, 혹한 아버지, 노엘 아버지, 노인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 사람, 아기 그리스도, 성인 니콜라이, 율레 염소 등이다. 

크리스마와 산타 할아버지의 유럽 언어 표현을 유심히 살펴보면 우리도 영어의 크리스마스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한국인 정서와 한국어에 더 어울리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9. 25. 05:33

아내가 누리는 즐거움 중 하나는 영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딸 마르티나와 스카이프(skye)로 대화하기이다. 마르티나는 아르바이트 생활하면서 느낀 재미난 언어 사건을 어젯밤 아내에게 했다. 그 덕분에 우리 식구들은 모두 한바탕 크게 웃었다.

일주일에 마르티나는 25시간 아르바이트 생활을 하고 있다. 영국인과 외국인이 함께 일하고 있는 커피숍에서 직원들의 언어 실수로 재미난 일들이 많이 일어난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지라 쉬운 단어도 어떨 때는 입에서 금방 나오지 않는다. 그 대신 엉뚱한 단어가 뜻하지 않게 튀어나온다.


1.
마르티나: "오늘 출근하는 길에 자동차 두 대가 서로 쾅~쾅~하는 것을 봤어요."
사장: "아~ accident?"  
마르티나: "맞아요."

이날 사장은 마르티나를 볼 때마다 "쾅~쾅~"이라고 놀려대었다.

2.
단골 프랑스인 고객: "물 주세요."
이날은 어떤 물을 원하는 지 몰라서 마르티나는 물 두 병을 가져왔다. 그리고 손님에게 설명했다.
"이것은 정상적인 물이고, 이것은 피시시~ 물입니다."
마개를 여는 시늉까지하면서 생생하게 탄산수를 설명하니 주변 사람들이 크게 웃었다.
순간적으로 "water with gas"와 "water without gas"가 떠오르지 않았다.


3. 
마르티나 동료 중 한 사람은 연봉 많은 애플회사 직원으로 일하다가 복잡하게 머리 쓰는 일이 싫어서 그만두고, 카페에서 아르바이트생으로 일하고 있다. 
마르티나가 뒤에서 보니 그가 뭔가 잘 보지 못하는 것 같았다.
마르티나: "Do you have testicles?"
마르티나를 향해 고개를 돌린 동료의 얼굴은 순간 홍당무가 되어 있었다. 
분명 안경이라고 말한 것 같은데 왜 얼굴이 붉여졌을까 의아해하는 순간 마르티나는 엄청난 말실수를 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안경을 뜻하는 "spectacle"이라는 단어 대신 갑자기 의약용어 고환을 뜻하는 "testicle"이 튀어나왔다. 그러니 남자 동료가 부끄러워서 얼굴을 붉힐 수 밖에 없었을 것 같다. 하루 종일 커피숍은 마르티나의 이 황당한 단어 실수로 웃음꽃이 활짝 피었다.


집에 있을 때에는 비교적 말수가 적은 데 낯선 곳에서 동료들에게 웃음을 선사하면서 아르바이트 생활을 재미나게 하고 있는 마르티나에게 박수를 보낸다. 열심히 아르바이트해서 미국에 교환학생으로 갈 준비를 하고 있는 데 잘 이루어지길 바란다.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13. 5. 13. 06:33

딸아이는 곧 초등학교 5학년을 마친다. 9월 1일 시작되는 6학년부터 달라지는 과목이 하나 있다. 제2 외국어이다. 

딸아이가 다니는 학교는 빌뉴스에서 유일하게 프랑스어가 특화된 초등학교이다. 하지만 학부모들의 요구에 따라 프랑스어와 영어 중 하나를 선택해서 2학년 때부터 배운다. 물론 이렇게 선택한 제1 외국어는 졸업할 때까지 배운다. 

6학년부터는 제2 외국어 교육이 시작된다. 선택할 수 있는 언어는 프랑스어, 영어, 러시아어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 가족은 별 다른 고민 없이 러시아어를 선택했다. 그런데 걸림돌이 하나 있다. 리투아니아에서 제일 좋은 고등학교는 제2 외국어로 러시아어가 없다. 프랑스어, 영어와 독일어만 있다.  

"아빠, 담임 선생님이 이렇게 말했어. 제일 좋은 고등학교를 가려는 학생은 러시아어를 선택할 수가 없어."
"왜?"
"그 학교는 러시아어가 없어."
"안 좋다. 원하는 학생들이 있다면 러시아어도 있으면 좋겠는데 말이야."
"그러게."
"너는 그 학교에 가고 싶어?"
"가고 싶지만 어려워."
"그 학교에 안 가도 돼지?"
"그래."
"그럼, 문제는 해결됐어. 러시아어를 선택하자. 어느 슬라브어 하나를 알면 다른 많은 슬라브어를 이해하는 데 많이 도움이 된다."

* 제2 외국어로 러시아어 선택 동의서

소련시대 공용어였던 러시아어는 리투아니아가 1990년 독립을 선언한 후부터 배척되었다. 소련시대 우대를 받았던 러시아어 교사들은 교직을 그만두거나 새로운 과목으로 전환해야 했다. 이때 많은 교사들이 영어나 리투아니아어 교사가 되었다. 학교에서는 러시아어 대신 영어가 자리잡았다. 이 결과로 대부분 20-30세 이하의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러시아어에 대한 지식이 없다.

딸아이가 유치원에 다닐 나이에 우리 부부는 고민했다. 리투아니아어 유치원을 보낼 것인가, 러시아어 유치원을 보낼 것인가. 비록 찬밥 신세에 처해 있지만, 언젠가 다시 러시아어가 각광 받을 날이 올 것이다라는 기대로 러시아어 유치원을 결정했다.

3년을 다니는 동안 딸아이는 러시아어가 아름답다고 하면서 모국어로 생각할 정도였다. 그런데 리투아니아어 초등학교를 다니고 있어 그 동안 러시아어를 많이 잊어버렸다. 하지만 이제 학교에서 제2 외국어로 배운다면 그 옛날 뇌에 자연스럽게 저장된 러시아어가 쉽게 표출될 것이다.


* 유치원 시절 5개 언어로 노래하는 요가일래

러시아어가 없는 최상의 학교에 가지 못하더라도 러시아어를 잘 하면 또 다른 좋은 기회가 올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로는 서쪽으로 러시아어로는 동쪽으로 간다면, 훨씬 더 폭넓은 장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Posted by 초유스

모두들 한 번쯤은 읽어보았을 중 하나가 바로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이다. 1908년 <소년>지에 발표된 시로 한국 문학사에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고전 시간의 정형성에 벗어난 한국 최초의 신체시로 평가 받고 있다. 구시대의 잔재를 부수고 새로운 문물의 시대를 열망하는 작가의 뜻을 담고 있다.

한 마디로 한국어 시 번역은 어렵고 어렵다. <한국 에스페란토 협회 기관지> 관계자의 부탁을 받아서 앞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시들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하는 일을 틈틈이 하게 되었다. 첫 번째 작품이 <해에게서 소년에게>이다.

뜻 전달에도 충실하고, 또한 한국어 원문이 가지고 있는 율격적 구조(3.3.5조의 3음보; 4.3.4.5조의 4음보, 4.3.4.4.3조나 그 변조의 5음보)를 에스페란토 번역문에서도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보았다(혹시 번역에 관심 있는 분을 위해 에스페란토 번역문의 각연마다 율격적 구조를 괄호로 기재해 놓았다). 

해(海)에게서 소년(少年)에게  De maro al knabo
                                                                                                       Aŭtoro: CHOE Namseon 
                                                                                                        Traduko: CHOE Taesok

1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때린다 부순다 무너버린다.
태산(泰山)같은 높은 뫼 집채 같은 바윗돌이나
요것이 무어야, 요게 무어야.
나의 큰 힘 아느냐 모르느냐 호통까지 하면서
때린다 부순다 무너버린다.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Ĉo……lsok ĉo……lsok ĉok ŝŭa……a*.
Mi batas, disrompas kaj fordetruas. (3,3,5)
Alta monto kiel Taj**, roko kiel la tuta domo, (4,3,4,5)
kio do ĉi tio, kio ĉi tio? (3,3,5)
Demandante tondre, ĉu la fortegon mian scias vi aŭ ne, (4,3,4,4,3) 
mi batas, disrompas kaj fordetruas. (3,3,5)
Ĉo….lsok ĉo……lsok ĉok tjurrung kŭak.

2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내게는 아무것 두려움 없어
육상(陸上)에서 아무런 힘과 권(權)을 부리던 자(者)라도
내 앞에 와서는 꼼짝 못하고
아무리 큰, 물건도 내게는 행세하지 못하네.
내게는 내게는 나의 앞에는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Ĉo……lsok ĉo……lsok ĉok ŝŭa……a.
Mi tute ne havas timon pri ajno. (3,3,5)
Kiu havas plej grandajn forton kaj regpotencon sur tero, (4,3,4,5)
ne povas moviĝi eĉ li antaŭ mi. (3,3,5)
Sian forton ne povas al mi uzi eĉ la aĵo plej granda. (4,3,4,4,3)
Ja al mi, ja al mi, ĝuste antaŭ mi. (3,3,5)
Ĉo….lsok ĉo……lsok ĉok tjurrung kŭak.

3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나에게 절하지 아니한 자(者)가
지금(只今)까지 있거든 통지하고 나서 보아라.
진시황(秦始皇) 나팔륜 너희들이냐.
누구 누구 누구냐, 너희 역시(亦是) 내게는 굽히도다.
나하고 겨룰 이 있건 오너라.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Ĉo……lsok ĉo……lsok ĉok ŝŭa……a.
Se ulo neriverencinta al mi (3,3,5)
ĝis nun estas ankoraŭ, anonciĝu kaj alrigardu. (4,3,4,5)
Qin Shi Huang***, Napaljun****, ĉu li estas vi? (3,3,5)
Kiu, kiu, kiu do? Submetiĝos certe ankaŭ vi al mi. (4,3,4,4,3)
Se estas konkurul’ kun mi, tuj venu. (3,3,5)
Ĉo….lsok ĉo……lsok ĉok tjurrung kŭak.

4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조고만 산(山)모를 의지(依支)하거나
좁쌀같은 작은 섬 손뼉만한 땅을 가지고
고 속에 있어서 영악한 체를
부르면서 나혼자 거룩하다 하는 자(者),
이리 좀 오나라, 나를 보아라.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Ĉo……lsok ĉo……lsok ĉok ŝŭa……a.
Kiu kun apogo sur montangulet’, (3,3,5)
aŭ kun milegrajno da insulo kaj manplato da ter’ (4,3,4,5)
ene de l’ loko sin ŝajnigas grava (3,3,5)
kaj fiere sin sola konsideras tre sankta, (4,3,4,4,3)
venu li ĉi tien kaj min rigardu. (3,3,5)
Ĉo….lsok ĉo……lsok ĉok tjurrung kŭak.

5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나의 짝 될 이는 하나 있도다.
크고 길고 너르게 뒤덮은 바 저 푸른 하늘. 
저것은 우리와 틀림이 없어 
작은 시비(是非), 작은 쌈, 온갖 모든 더러운 것 없도다.
저따위 세상(世上)에 저 사람처럼,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Ĉo……lsok ĉo……lsok ĉok ŝŭa……a.
Jen estas unu por mia parulo — (3,3,5)
tiu blua ĉiel’ pro granda, longa kaj vasta kovro. (4,3,4,5)
Ĝi estas sendube sama kiel ni. (3,3,5)
Disputeto, batalo, ĉiuspeca malpuraĵo ne estas (4,3,4,4,3 변조의 5음보)
samkiel tiu hom’ en tiu mondo.(3,3,5) 
Ĉo….lsok ĉo……lsok ĉok tjurrung kŭak.

6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저 세상(世上) 저 사람 모두 미우나
그 중(中)에서 똑 하나 사랑하는 일이 있으니
담(膽) 크고 순진한 소년배(少年輩)들이
재롱(才弄)처럼 귀(貴)엽게 나의 품에 와서 안김이로다.
오너라 소년배(少年輩) 입맞춰 주마.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소년, 1908. 11>

Ĉo……lsok ĉo……lsok ĉok ŝŭa……a.
Malamas mi tiujn mondon kaj homon, (3,3,5)
tamen estas el ili sola aĵo aminda por mi: (4,3,4,5)
kuraĝa kaj pura knabaro juna (3,3,5)
belkondute tre ĉarme venas kaj sin premas sur mian sinon. (4,3,4,4,3)
Tuj venu, kaj kisos mi vin, knabaron. (3,3,5)
Ĉo….lsok ĉo……lsok ĉok tjurrung kŭak.
<Knabo, 1908.11>

* Korea onomatopeo, imitanta plaŭdon.
** Monto troviĝanta en la ĉina provinco Shandong.
*** Fondinto de la ĉina dinastio Qin. 
**** Napoleono.

인공어로 알려진 에스페란토가 과연 문학어로서 제대로 그 기능을 할 수 있을까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을 종종 만난다. 원문의 뜻도 그대로 살리고, 율격적 구조까지도 나타낼 수 있다고 한다면 에스페란토는 문학어로서도 그 빛을 발하고 있음을 확신하게 된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2. 2. 6. 15:27

어제 일요일 낮온도가 영하 20도임에도 관광지를 다녀왔다. 목적지는 빌뉴스에서 서쪽으로 약 28km 떨어진 트라카이 성이다. 여러 차례 이 성(城)에 대해 글을 썼기에 낯설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호수 안에 자리잡은 보기 드문 성이다. 얼음이 두겝게 얼었지만 혹시나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간다면 예기치 않은 일이 일어날 수가 있겠다. 섬을 연결한 다리를 통해 성 안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다리 위에 쌓인 눈을 밟으면서 지나갈 때 나는 소리가 아주 크게 들렸다. 언젠가 이 눈 밟는 소리를 영상을 담는 데 실패한 적이 있었다. 도심의 한적한 거리에서 아내가 눈 위를 걸을 때 나는 소리를 담고자 했다. 이유는 똑 같은 소리이지만 한국 사람인 내가 듣는 소리와 리투아니아 사람인 아내가 듣는 소리가 다르다는 것에 대해 글을 쓰기 위해서였다. 

바로 어제 확실한 소리가 귀에 들렸다. 그래서 (장갑 낀 손이지만 굳어서) 힘들게 카메라를 주머니에서 꺼내 눈 밟는 소리를 영상에 담았다. 


 
눈 밟는 소리를 한국 사람들은 분명히 "뽀드득 뽀드득" 훅은 "뿌드득 뿌드득"으로 듣는다. 하지만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구륵쉬트 구륵쉬트"(gurkšt gurkšt)로 듣는다. 

이에 대해 글을 올리고자 할 때 한 생각이 떠올랐다. 한국 사람과 리투아니아 사람이 다르게 듣는 것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다른 유럽 사람들은 어떻게 이 소리를 표현할까 궁금했다. 페이스북 에스페란토 동아리에 즉각 질문을 올렸다. 여러 사람들이 응답해주었다.

- Alex: 스페인어로는 모르겠다. 아마 그런 표현은 없는 것 같다.
- Julien: 프랑스어로도 그 의성어가 없다고 생각한다. 혹시 "proutch proutch" (프루츠 프루츠)...
- Leland: 여친이 영어로 "crrrrritch crrrritch!"(크르르르리츠  크르르르리츠!)를 제안했다.
- Birgitta: 스웨덴어로 "knarra" (크나라; 첫 번째 모음 '아'는 아주 짧게 발음한다).
- Marcos: 브라질은 눈이 없다.
- László
: 헝가리어로 "csikorog"(치코륵).
- Ewa: 폴란드어로 "skrzp skrzp"(스크쉽 스크쉽)
- Jens: 덴마크어 "knirk, knirk"(크니릌 크니릌) .


이렇게 보니 같은 유럽 내에서도 모국어에 따라 눈 밟는 소리는 천차만별로 들린다. 어리석은 질문이지만 어느 나라 언어의 의성어가 눈 밟는 진짜 소리에 제일 가까울까? [글 읽으신 분 중 다른 언어로 이 의성어를 알고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시면 좋겠습니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2. 1. 18. 07:42

며칠 전 저녁에 혼자 TV를 시청하고 있던 초등학생 4학년생 딸아이가 엄마와 아빠를 급하게 불렀다. 

"엄마, 아빠, 빨리 와! TV에 에스페란토!!!"

부모의 공용어가 에스페란토이므로 딸아이가 TV에서 이 단어를 듣자 이를 큰 소식으로 여기고 부모를 불렀다. 딸아이가 보고 있던 프로그램은 "지식 퀴즈 10만 유로"였다. 모든 문제의 정답을 알아맞히면 10만 유로(1억 5천만원) 상금을 받는다. 


문제:
"지폐에 EURO 단어는 2언어로 표기되어 있다. 하나는 라틴어이고, 다른 언어는 무엇일까?"
선택: 러시아어, 우드무르트어, 그리스어, 에스페란토

유로에 대해 잠깐 설명하고자 한다. 유로(통화 기호: )는 유럽연합의 공식 통화로 현재 유럽연합 17개 회원국과 유럽연합에 가입하지 않은 9국에서 통용되고 있다. 2002년부터 정식으로 동전과 지폐가 발행되기 시작했다. 리투아니아는 유럽연합 회원국이지만 아직 유로를 도입하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유로를 여러 번 사용한 적이 있었지만 유로 단어가 두 개의 언어로 표기되어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한번도 관심을 가져보지 않았다. 그래서 즉각적으로 정답을 말할 수가 없었다. 

그렇다면 위 네 개 언어 중 어느 것이 정답일까? 

학창시절 객관식 4지 선다형에 익숙한 솜씨로 머리를 굴러보았다. 유럽연합 통화이니 러시아어, 우드무르트어는 절대로 아닐 것이다. 남은 것은 그리스어와 에스페란토이다. 심정적으로 에스페란토였으면 좋겠다고 했다. 하지만 그리스가 유럽연합의 초기 회원국이자 유로존 회원국이다. 더욱이 유로의 에스페란토 표기는 EŬRO이다. U 자에 꺼꾸로 된 삿갓이 첨가되어 있다. 

그러므로 선택한 정답은 그리스어이다. 과연 그럴까? 아내와 딸아이는 집안에 모아놓은 유로 지폐를 가져와서 확인했다.
 

숫자 뒤에 표기된 EURO와 ΕΥΡΩ는 각각 라틴어와 그리스어이다. TV 퀴즈 프로그램을 지켜보던 딸아이가 불러주지 않았으면 여전히 이 두 언어의 존재에 대해 몰랐을 것이다. 에스페란토 덕분에 유로 지폐에 있는 두 언어를 알게 되었다.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2. 1. 13. 06:01

유럽인들 사이에 살다보면 흔히 접하는 질문사항 중 하나가 언어이다.
"한국어는 중국어나 일본어와 어떻게 다른가?"
"폴란드어 사용자가 러시아어를 어느 정도 이해하듯이 배우지 않아도 일본어를 이해할 수 있나?"
"한국어는 표음문자냐, 아니면 표의문자냐?"
"한국어는 어떻게 생겼나? 내 이름을 써줄 수 있나?"

아시아 사람들은 문자를 보면 어느 것이 한국어이고, 어느 것이 일본어이고, 어느 것이 중국어인 지를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 더 많이 알 것이다. 이 세 나라 언어에 대해 전혀 지식이 없는 사람들은 구별을 하지 못할 것이다. 그래도 궁금해 한번 알아보고자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인터넷에 널리 펴져 있는 "아시아 언어 구별을 위한 빠른 지침"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사진출처 image source link]  


한국어는 
 - 원이나 타원이 많다. 
 - 직선이 많다.
 - 마치 기호가 얼굴 표정을 짓는 것처럼 보인다.

일본어
 - 기호가 곡선이고 귀엽다.
 - 기호가 아주 단순하다.
 - 중국어가 많이 차용되어 있다. 

중국어
 - 문자가 모두 크고 무섭다(복잡하다).

초성 중성 종성이 한 데 묶여 있는 한국어 글자가 얼굴 표정을 짓는다는 설명이 돋보인다.
  


Posted by 초유스
영상모음2011. 1. 2. 19:03

이제 새해를 맞이한 지 이틀이다. 우리 집 식구들에게 가급적 정초에 짜증내지 말고, 화내지 말고, 서로 말을 잘 듣고, 웃자라고 제안했다.

"아빠, 왜 그렇게 해야 하는데?"라고 아홉살 딸아이가 물었다.
"정초의 행동이 일년 내내 행동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지."라고 답했다.

어제 밤 잠들기 전에 딸아이게 물었다.

"오늘 몇 번 화냈니?"
"한 번만. 그렇지만 아주 조금 화냈어."

얼마나 오랫동안 내 제안이 지켜질 지는 모르겠지만, 우리 가족이 새로운 마음과 자세로 한 해를 맞이하는 뜻을 공유하면 좋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리오데자네이로 불꽃 새해맞이

아래는 세계 각국 사람들이 43개국 언어로 새해인사를 하는 동영상이다. 새해에 모든 이들에게 행복과 건강과 소원성취를 기원한다.


이 동영상에서 한국어 인삿말은 이 동영상 2분 56초경에 나온다.

* 최근글: 몰래카메라를 가지고 노는 북극곰들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 손가락 추천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클릭하시면 ->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0. 6. 7. 06:00

모국어 외에 다른 외국어 하나만 잘 해도 주위의 부러움을 받기도 한다. 여러 나라 말을 많이 알수록 더 좋다는 것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다. 종종 관광객이 많이 드나드는 빌뉴스 구시가지를 걷다보면 걸거리 걸인이 다가와 묻는다.

"Can you speak English?" (영어: 영어할 줄 아세요?)
"Можете ли вы говорить на русском? (러시아어: 러시아어할 줄 아세요?'

물론 전자는 알지만, 후자는 모른다. 그래도 대부분 묵묵부답으로 가는 길을 간다. 1990년대 초반 폴란드에서 불가리아까지 기차여행을 했을 때 조금 익힌 해당 나라 언어로 여권심사하는 현지경찰과 약간의 대화를 하다보면 우호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다. 이처럼 상대방의 언어로 대화하면 상대방이 더 편안할 것이다. 하지만 능력이 부족하여 그 많은 언어들을 다 할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굴까? 과연 몇 개 국어를 말할 수 있을까? 1993년 기네스기록협회는 지아드 파자(Ziad Fazah)가 56개 국어를 말할 수 있다고 인증했다. 그후 그는 58개 언어를 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아드 파자는 브라질에 살고 있는 레바논 사람이다. 아랍어 계통의 언어와 포르투갈어 계통의 언어를 잘 알고 있음을 짐작한다고 해도 58개 국어는 대단한 숫자임에 틀림없다.

그의 주장을 입장하기 위해 한 스페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방송에 초대했다. 수 많은 언어를 알고 있다고 하는 그의 주장을 무색하게 할 정도로 그는 방송 중 쩔쩔매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압권은 러시아어로 "오늘이 무슨 요일인가?"라는 물음에 아예 답을 하지 못했다. 그는 5-7개 언어만 유창하게 말하고, 나머지는 몇 구절 정도만 말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기네스 기록 보유 수개 국어 가능자가 러시아어 "오늘은 무슨 요일인가요?"에 답을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리투아니아에서 가장 많은 국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몇 개 국어를 말할까? 게디미나스 데게시스(29세)로 현재 20개 국어를 말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10개 국어는 완벽하게 말하고, 나머지 10개는 어느 정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수준이다. 데게시스는 러시아어, 독일어, 에스페란토, 영어, 불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라트비아어, 스왈리어, 리투아니아어를 자유롭게 구사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리투아니아에서 가장 많은 국어를 구사하는 데게시스가 국제어 에스페란토를 가르치고 있는 모습

그렇다면 8살 딸아이 요가일래를 기준으로 우리집은 어떨까?
아빠: 한국어 > 에스페란토 > 영어 > 리투아니아어 > 폴란드어
엄마: 리투아니아어 > 에스페란토 > 러시아어 > 영어
언니: 리투아니아어 > 에스페란토 > 영어 >
나:    리투아니아어 > 한국어 > 영어> 러시아어 > 에스페란토

이렇게 서로 다른 민족이 섞어서 살다보니 자연스럽게 여러 언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많은 것이 주된 이유이다. 한국이 진작부터 남북이 갈라지지 않고 하나였다면 북쪽으로의 인적 교류가 증대되었고, 중국어와 러시아어 등을 자유스럽게 말할 수 있는 사람, 즉 수개국어 구사자가 더 많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아쉽다.

* 최근글: 빗물로 호수된 친구집 뜰에 나타난 청둥오리
* 관련글:
다문화 가정의 2세 언어교육은 이렇게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 손가락 추천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클릭하시면 ->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10. 5. 11. 14:52

초등학교 2학년 딸아이 요가일래는 주로 부엌에 있는 식탁에서 노트북으로 인터넷을 한다. 어제 스카이프로 학교 반친구와 대화를 하다가 아빠가 달려왔다.

"아빠, 친구가 한국어를 가르쳐달라고 해."
"아, 그래? 가르쳐줘."
"그런데 내가 단어 20개를 가르쳐주면 친구 엄마가 선물을 준다고 해."
"무슨 선물?"
"몰라."
"궁금하겠네. 한번 가르쳐줘."
"알았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엌으로 돌아가더니 열심히 스카이프로 한국으로 가르치고 있었다. 하지만 문제는 한글을 100% 정확하게 리투아니아어 철자로 옮겨쓸 수가 없다는 것이다. 친구의 컴퓨터에는 한글이 네모나게 보여졌다.

"아빠, '으'를 어떻게 쓰지?"
"아빠, '어'를 어떻게 쓰지?"
......

이렇게 딸아이가 단어를 가르치는 동안 옆에 있어야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언니를 onni라고 쓰는 데 '온니'가 아니고 '언니'라고 말해. 따라해봐," "gojang-i는 '고야기'가 아니고 '고양이'야. g는 거의 소리가 들리지 않아."라고 요가일래는 열심히 설명하면서 가르쳤다.

"맞아. 아주 정확해!"라고 친구를 격려하기도 했다.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도 가르쳐줄게."

옆에서 지켜보니 요가일래는 몹시 흥이나 있었다. 무엇보다도 새로운 언어에 대한 친구 엄마의 관심이 돋보인다. 단지 다문화 아이라는 점 때문에 학교에서 따돌림을 받을 수도 있을 텐데 친구나 친구 부모들의 이런 관심이 다문화 아이의 심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생각한다.

현지 친구들도 이렇게 접한 한국어에 비록 순간적인 관심일지라도 장차 자라나서 더 큰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만약 한국 학교 어느 교실에서 부모 중 한 사람이 베트남 사람인 아이가 있다고 하자. 이때 자기 자녀에게 베트남어를 가르쳐주는 아이에게 선물을 주겠다고 하는 한국인 부모가 얼마나 될까?

"너, 학교에서 아빠가 리투아니아 사람이 아니라서 놀림 같은 것을 받니?"
"그런 것 전혀 없어. 내가 여러 나라 말을 할 수 있다고 친구들이 아주 부러워해."

* 최근글: 노란 민들레꽃으로 화관 만들어보기

닌텐도를 놀면서 구걸 행각을 벌인 딸아이
아기 때부터 영어 TV 틀어놓으면 효과 있을까
한글 없는 휴대폰에 8살 딸의 한국말 문자쪽지
딸에게 한국노래를 부탁한 선생님
세계 男心 잡은 리투아니아 슈퍼모델들
한국은 위대한 나라 - 리투아니아 유명가수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 손가락 추천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클릭하시면 ->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10. 4. 22. 20:25

스캔들로 수개월 동안 잠수했던 타이거 우즈가 최근 골프대회에 출전했다. 4월 9일 미국 프로골프(PGA) 투어 마스터스 골프대회에서 한국의 최경주 선수와 동반 플레이를 했다. 이날 경기를  마친 최경주 선수는 "우즈가 감사합니다와 같은 간단한 한국어 인사말은 물론 한국식 욕도 아는데 그 버릇을 안 고쳤더라."라고 말해 우즈가 골프를 치는 동안 한국어 욕설을 했음을 암시했다.

만약 했다면 우즈가 과연 어떤 한국어 욕설을 했는 지 궁금하다......
2008년 국감장에서 유인촌 문화부 장관이 취재진을 향해 퍼붓은 욕설 수준일까......

이 우즈의 한국어 욕설 소식을 접하면서 얼마 전 초등학교 2학년생인 딸아이와 관련된 일이 떠올랐다.

어느 날 딸아이를 등교시키는 길에 딸아이가 졸라대었다.

"아빠, 한국말에는 바보라는 말 말고 다른 욕이 없어?"
"있지."
"그럼, 제발 한국말 욕을 좀 가르쳐줘."
"뭐 하려고?"
"나에게 나쁜 일을 하는 친구에게 한국말로 욕하고 싶어. 그들이 모르니까 참 재미있을 거야."
"네가 욕하면 네 입이 더러워지잖아."
"알았어. 됐어." (딸아이는 훈계를 더 이상 듣기 싫은 지 졸라대는 것을 멈췄다.)

하지만 딸아이의 궁금증은 학교에서 돌아온 후에도 계속되었다.

"아빠, 남자 고추는 진짜 한국말로 뭐야? 그리고 여자 조개는 진짜 한국말로 뭐야?"

딸아이가 어렸을 때 남녀 생식기를 고추와 조개로 알려주었다. 그런데 이제 이 생식기의 진짜 이름을 알고싶어하는 나이에 이르렀다. 딸아이가 이렇게 알려고 하는 이유가 있다. 리투아니아 사람들이 사용하는 적지 않은 욕이 바로 남녀 생식기 이름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한국말 어휘력을 높이고자 욕을 가르쳐달라는 딸아이의 속셈은 이것을 친구들에게 써먹기 위해서다.

한국말 중 "바보야!"와 "똥이야!"가 욕의 전부라고 알고 있는 딸아이(만 8세)가 이제 점점 욕설 어휘력을 더 키우고 싶어한다. 딸아이는 집에서 늘 아빠하고만 그리고 가끔 한국 교민 친구들을 만날 때 한국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살고 있는 또래아이들과는 달리 다양한 욕설을 접하지 않고 있다.

흔히들 욕설은 가장 쉽게 배운다고 한다. 그러니 딸아이가 재촉하더라도 가르쳐주고 싶지는 않다. 자라서 그 환경 속에 살다보면 자연스럽게 알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관련글: 우리집의 국적불명 욕 '시키마'의 유래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09. 10. 3. 06:07

곧 만 8살이 되는 딸아이 요가일래는 아빠가 한국인이고, 엄마가 리투아니아인인 다문화 가정에 살고 있다. 어느 날 발토니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데 요가일래는 옆에 쌓인 한국 잡지를 뒤적거리면서 한 여자를 가르키면서 말을 걸었다.

"아빠, 이 사람 정말 예쁘다. 맞지?"
"그래, 아빠가 보기에도 정말 예쁘다."
"그런데, 아빠는 왜 예쁜 한국 여자하고 결혼하지 않았어?"
"엄마가 더 예쁘니까 결혼했지...... ㅎㅎㅎ"
"아빠가 한국 여자하고 결혼했으면, 내가 아빠 딸이 되었을까?"
"되었으면 좋겠니?"
"나 몰라."

어느 날 엄마에게 요가일래는 말했다.

"아빠가 리투아니아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왜?"
"아빠가 모든 일을 해결할 수 있어 엄마가 편할 수 있으니까......"
"그건 맞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제는 모처럼 요가일래가 아빠 옆에서 컴퓨터를 오랫 동안 하고 있었다.

"아빠가 한국 사람이라서 좋아?"
"좋아."
"왜?"
"그냥."
"그런데 안 좋은 것이 하나 있다."
"뭔데?"
"다른 아이들이 공부를 더 잘 해."
"그 대신 너는 여러 나라말을 할 수 있잖아."
"맞아."

아빠가 한국 사람이라서 안 좋은 이유가 바로 다른 아이들이 공부를 더 잘 한다는 것이다. 이 말은 아빠가 리투아니아 사람이었으면 집에서 온 식구가 리투아니아어를 했을 테니까 다른 아이들처럼 리투아니아어를 잘 할 것이라고 요가일래가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레고로 카메라를 만들어 아빠를 찍고 있는 요가일래

며칠 전 엄마가 리투아니아어 교재를 가르쳤다. 그때 요가일래가 잘 모르자 좀 언성을 높였다. 이때 요가일래는 당돌하게 말했다.

"엄마, 알아? 난 다섯 개 언어를 말할 수 있어!"
(이 말은 다섯 개 언어를 말할 수 있으니까 그것 하나 좀 모른다고 해서 너무 야단치지 마라라는 뜻이다.)

맞는 말이다. 요가일래는 아빠가 한국인이라서 리투아니아어를 다른 아이들보다 좀 못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지만, 여러 말을 할 수 있다는 자부심 또한 강하다.

* 관련글: 아빠와 딸 사이 비밀어 된 한국어
               만화책 같은 초등학교 첫 영어책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09. 5. 16. 14:48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제 금요일 엄마는 일찍 음악학교로 갔다. 바로 음악학교가 개교 40주년을 맞는 기념일이다. 부탁을 받고 기념공연 행사를 촬영하러 가게 되었다. 7살 딸아이를 혼자 집에 둘 수가 없어서 함께 가기로 했다.

집에 같이 살면서도 딸아이와 대화할 시간은 엄마와 언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세 모녀가 있는 날이면 아빠는 일한다는 핑계도 있지만 소외감을 느낄 때도 자주 있다. 더군다나 딸아이와 아빠는 늘 한국말로 한다.

딸아이와 단 둘이 집에 있어도 대화하는 시간은 사실 그렇게 많지가 않다. 딸아이는 TV 보기, 인터넷, 그림 그리기 등 여러 놀이를 혼자서 하고, 아빠는 늘상 컴퓨터 앞에 앉아 있다.

하지만 이렇게 밖에서 단 둘이서 걸을 때는 무척 많은 말을 하게 된다. 어제도 걸어가면서 딸아이는 온갖 일을 다 말했다. 그 중에서 재미있는 말을 적어보면 이렇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 학교에서 친구와 둘이서 말을 했는데
지나가는 큰 학생(고학년생)들이 우리 말을 엿들었다.
그리고 하는 말이 어떻게 꼬마들이 어른처럼 말을 할 수가 있냐라고 말했다."

"하늘에 왜 비가 오는 지 알아? 바로 구름이 울기 때문이야."

"아빠, 우리가 이렇게 한국말을 하고 가면 지나가는 사람들이 깜짝 놀랄 것이야.
웬지 알아? 어떻게 우리가 다른 나라말을 잘 할 수 있지라고 아주 궁금해할 거야.
아빠, 내가 아빠하고 산책을 좋아하는 이유는
우리가 이렇게 한국말을 하고 가면 사람들이 재미있어 하니까."

* 관련글: 다문화가정의 2세 언어교육은 이렇게

Posted by 초유스
사진모음2009. 2. 6. 08:05

지난 1월 3주간 처음으로 남미 브라질을 방문했다. 브라질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일하게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나라이다. 여행을 떠나기 전 간단한 회회라도 몇 마디 배우고자 했으나 게으름 탓으로 하지 못했다.

전혀 배운 바가 없었지만, 현지인들이 포트투갈어로 말하는 것을 옆에서 들으니 이해할 수 있는 단어들이 의외로 많음에 놀랐다. 포르투갈어 학자이자 에스페란토 학자인 브라질 친구로부터 나중에 들은 말에 따르면 포르투갈어와 에스페란토의 어근은 약 60-70%가 유사하다. 그 덕분에 에스페란토 현지인 친구의 동행이 없었을 때 가끔 에스페란토로 약간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다.

말이 통하지 않는 다른 나라에 가면 현지 언어에 대한 무지로 재미난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쿠리티바 도심에 잠시 혼자 거닐게 되었다. 마침 배가 고픈터라, 거리 간이매점의 글씨가 눈에 확 들어왔다.

SUNDAE

쿠리티바에도 한국인들이 살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혹시 한국의 순대가 여기서도 팔리고 있지 않을까"라는 약간의 황당한 생각을 해봤다. "SUNDAE" 글자를 향해 매점으로 점점 다가가니 글자 밑에 아이스크림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빗나간 추측에 실망과 웃음이 나왔다. 포르투갈어 sundae는 잊을 수가 없으리라.
 
또 하나는 CORREIO이다. 처음에 이 단어를 보자 꼭 에스페란토에서 한국을 표현하는 단어인 KOREIO와 너무 닮았다. 포르투갈어에는 철자 K가 없고, C가 K 발음난다. CORREIO는 우체국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초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