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3백만명이 사는 리투아니아에 한국 교민은 10여명이다. 그런데 교민수보다 한국에서 오는 교환학생수가 이제는 더 많다. 학기마다 약간 차이는 있지만 빌뉴스에 30-50여명의 교환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다.
종종 명절에 교민들과 교환학생들이 한인회 초청으로 만난다. 일전에 몇몇 교환학생들과 시내 한 식당에서 저녁식사를 했다. 리투아니아에 온 지 한 달이 지났는데 아직 김치를 먹어보지 못했다는 학생이 있었다. 그래서 지난주 금요일 이들을 집으로 초대했다.
* 우리 집을 방문한 경희대학교 교환학생들 (좌로부터 지연, 보라, 혜빈 지원 학생)
사실 집으로 한국 손님을 초대하는 일은 좀 민감하다. 나와 딸은 대환영이지만, 리투아니아인 아내가 부담스러워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미각이 뛰어난 한국 사람들에게 자신있게 음식을 해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명분의 꾀를 내야 했다. 우리 집엔 한국에서 보내준 잡채용 당면이 있다. 잡채는 딸아이가 무척 좋아한다. 아내는 한 두 번 시도해보았지만 호응을 얻지 못하자 더 이상 잡채 요리를 하지 않고 있다.
"우리 집에 와서 잡채를 맛있게 해주면 좋겠다."라고 학생들에게 제안했다.
"우와~, 정말요? 당연히 가야죠."라고 하면서 이들은 덥석 받아들였다.
이날 집으로 돌아와 "한국 교환학생들이 와서 딸아이가 좋아하는 잡채를 해줄 거야. 괜찮지?"라고 아내에게 말하자 "나도 좀 배울 수 있는 기회이니 좋아."라고 답했다.
잡채요리에 필요한 버섯, 피망, 시금치 등 재료를 아내와 함께 구입해놓고 교환학생들을 기다렸다. 미국에서 교환학생 생활을 하고 있는 큰딸과 비슷한 나이를 가진 학생들이라 아내도 기쁘게 이들을 맞이했다.
우리 집 부엌은 일시에 교환학생 4명에다가 아내 그리고 딸아이 요가일래까지 합쳐 6명의 요리인들로 북쩍거렸다. 그런데 이들 곁에는 스마트폰이 있었다. 바로 인터넷으로 검색한 잡채요리법 때문이었다. 능숙한 가정주부처럼 만드는 잡채요리를 옆에서 지켜보면서 한 수 배워보겠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었던 아내는 약간의 실망스러운 표정을 지었다.
* 금요일 저녁식사를 준비한 6명의 요리인
"요즘 요리법 일일히 익힐 필요 없어. 인터넷 검색하면 쫙 나와. 한국 학생들 집에서 직접 요리해볼 기회가 많지 않아. 사실 우리 큰딸도 몇 가지를 제외하면 요리하지 못하잖아."
"하기야 그래."
"다 같이 음식을 만드는 과정이 재미있잖아. 어느 한 사람이 고생해서 바치는 맛있는 음식보다 다 같이 어울러서 만든 덜 맛있는 음식이 난 더 좋아."
이렇게 한 시간 반을 거쳐 잡채, 된장국, 호박전 등이 완성되었다. 한인회 회장(김유명)도 초대했다. 잡채를 먹어본 딸아이의 맛평가가 이날 교환학생 초대가 의미있었음을 단적으로 표현한다.
"아빠, 내가 이제까지 먹어본 잡채 중 제일 맛있어."
"그래? 아빠가 언니들 정말 잘 초대했지?"
"맞아. 언니들이 또 우리 집에 왔으면 좋겠다."
정말이지 딸아이는 평소보다 훨씬 많은 양의 잡채를 먹었다.
한 학기 동안 머무는 교환학생수가 교민수를 훌쩍 넘어섰다. 이제는 교민들보다 교환학생들이 주변 리투아니아인들에게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인상을 심는 데에 더 큰 영향력을 끼친다. 있는 동안 공부도 하면서 리투아니아 현지를 이해하고, 한국을 알리는 데 힘닿는 대로 기여해주길 바란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안녕하세요...저는 8/16일 부터 9/1일까지....리가 공항으로 들어와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여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선생님에 블로그를 접하고 ...여행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70후반에 부모님과..함께 할 이번 렌트카 여행에서 많은 추억을 접해보려 합니다...만나서 방갑습니다...
2016.08.07 21:15 [ ADDR : EDIT/ DEL : REPLY ]최근 북미여행을 다녀왔는데...현금으로 계산할 때 예를 들어 24불인데 30불을 주면 나머지를 그대로 팁으로 챙기더군요. 남은 돈을 잔돈으로 바꿔달라고 하든지 팁을 2불 주겠다고 명확하게 의사표현을 해야겠더군요. 카드로 계산할 때는 단말기에 팁을 줄건지 말건지 준다면 몇프로를 줄건지 선택하게 되어 있더군요. 세금과 팁. 메뉴판만 보고 주문하면 안되겠더군요. 팁문화 없애기 운동이라도 생겨야할 듯. 예전에 서빙하는 사람들이 팁만으로 생활할 때는 반드시 줘야했지만 지금은 월급도 받는데.
2016.08.09 12:05 [ ADDR : EDIT/ DEL : REPLY ]비밀댓글입니다
2016.08.25 16:12 [ ADDR : EDIT/ DEL : REPLY ]초대하니 이미 존재하는 이메일이라고 합니다.
2016.08.28 02:25 신고 [ ADDR : EDIT/ D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