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얘기2020. 7. 15. 04:08

6월 중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유럽 리투아니아 사람들이 즐겨 먹는 집밥 중 하나가 블루베리와 딸기를 곁들인 팬케이크다. 밭딸기는 보통 6월 중순에서 7월 초순에 수확한다. 대부분 딸기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폴란드에서 수입된다.


유럽 숲 속 야생에서 자라는 블루베리는 정확하게 말하면 빌베리(bilberry) 또는 유럽블루베리(vaccinium myrtillus)다. 보통 7월 초순부터 수확한다. 모처럼 해가 난 날이라 유럽인 아내는 가족산책을 나가고자 한다.
"어디로?"
"숲으로."

아내는 빈 플라스틱통 세 개를 준비한다.
"플라스틱통은 왜?"
"숲에 들어가서 혹시나 빌베리가 열렸으면 따려고."
"요즘 빌베리 1리터당 값은 얼마나?"
"1리터당 5유로(약 6500원 정도)."   
   
이렇게 도심에서 20킬로미터 떨어진 숲에 도착한다. 쭉쭉 뻗어있는 소나무가 리투아니아 숲을 이루는 주된 나무다.


나비가 짝을 이뤄 늦은 오후 햇살을 즐기고 있다.


우와~ 한국의 꽃밭에서 흔히 보던 분홍빛 패랭이꽃!!!
유럽의 화단이 아니라 숲에서 자라고 있다니 놀랍고 반갑다.


풍뎅이 한 마리가 숨을 곳을 찾아서 살금살금 기어가고 있다. 


숲 바닥은 유럽블루베리 즉 빌베리 관목으로 쫙 깔려 있다. 
행여나 열매를 밟을까 염려되어 발을 옮기기가 무척 조심스럽다.     



빌베리와 블루베리의 차이는?
빌베리 원산지는 북유럽이고 블루베리 원산지는 북아메리카다. 빌베리는 야생에서 자라고 블루베리는 온대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상업용으로 재배되는 블루베리는 대부분 교배종이다. 빌베리는 한 가지에 1-2개 열매를 맺지만 블루베리는 포도나무처럼 다량으로 송이송이 열매를 맺는다. 빌베리는 블루베리에 비해 열매 크기가 더 작고 색깔이 더 어둡다. 일반적으로 빌베리가 항산화제인 안토시아닌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출처]. 유럽에서는 옛부터 빌베리를 위장관, 당뇨 등의 치료제와 시력 보조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제철에 나오는 야생 열매를 많이 먹어야 한다면서 아내는 촬영을 그만두고 빌베리 열매따기에 집중하라고 재촉한다. 이날 리투아니아 숲 속에서의 열매따기 모습을 4K 동영상에 담아봤다.

      
우리 가족이 며칠 동안 아침식사로 먹을 수 있을 만큼의 양을 땄다. 빌베리로 파이, 케이크, 잼, 쿠키, 주스, 시럽 등 여러 가지로 해서 먹을 수 있다. 우리 집은 주로 빌베리 열매를 요리하지 않고 생열매를 우유에 넣어서 먹는다. 


"이 빌베리 열매 하나가 비타민제 한 알이야!"라고 아내가 강조한다.
하루도 지나지 않았는데 아내는 벌써 또 빌베리 열매를 따러 가자고 한다.
Posted by 초유스
발트3국 여행2019. 4. 10. 05:55

어릴 때 놀던 우리 동네 뒷산은 거의 민둥산이었다. 이런 봄날 뒷산에 올라 친구들과 이곳저곳을 뛰어 다니면서 진달래꽃을 따서 배를 채우던 시절이 아직도 눈에 생생하다. 반세기가 지난 그 뒷산은 몰라보게 울창한 숲으로 덮혀 있다. 한국은 2015년 기준 국토 전체의 63.2%가 산림 면적이다. 이는 핀란드, 일본, 스웨덴에 이어서 세계 4위이다. 

유럽에서 숲이 많기로는 핀란드(72%)가 으뜸이다. 북유럽 국가에 속하는 스웨덴 (69%), 에스토니아(61%), 라트비아(60%)는 국토의 2/3가 숲이다. 나머지 국가들은 대체로 국토의 30-50%가 숲이다. 아래 지도에서 유럽 국가들의 숲면적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지금 살고 있는 나라 리투아니아는 지속적으로 숲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1948년 19.7%, 1991년 29.8%, 2018년 33.6%이다. 수도 빌뉴스는 공원이나 숲 등 녹지대가 50%이다. 집 근처 공원에는 아래 사진에 보듯이 소나무가 주를 빙기스 공원이 있다. 시민들이 즐겨 찾는 산책지이다. 


미세먼지나 대기오염이 이곳에서는 아직 낯설다. 이런 연유로 근래 공기가 맑은 발트 3국으로 점점 관광객들의 발길이 잦아지고 있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5. 10. 2. 07:25

발트 3국 관광안내사 일을 하면서 수 차례 에스토니아 탈린을 방문했다. 여름내내 일정이 맞지 않아 현지 에스토니아인 친구를 만나지 못했다. 그러다가 며칠 전 그를 만났다. 만나자마자 그는 태블릿 컴퓨터를 꺼내 사진들을 보여주면서 이야기에 푹 빠졌다. 최근 그의 가족은 숲 속을 다녀왔다. 바로 버섯채취 계절이기 때문이다.


에스토니아는 45,000평방 킬로미터의 면적을 가지고 있고 그 중의 50%가 숲이다. 숲에는 소나무, 자작나무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버섯채취를 하다가 잠시 쉬고 있는 친구의 모습이다,


숲에는 버섯뿐만 아니라 빌베리(billbery), 크랜베리(cranberry) 등도 많이 자라고 있다.



버섯 중 가장 으뜸으로 꼽히는 그물버섯(boletus)이다.



그의 가족이 주말에 채취한 버섯이다, 



딸이 채취한 버섯을 종류별로 가지런히 정리하고 있다. 그물버섯, 달걀버섯, 살구버섯...



이렇게 정리한 버섯을 보니 식탁 위헤 맛있는 버섯 요리가 떠오른다.  



올해는 바빠서 우리 가족하고 버섯 채취를 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쉽다. 다음 기회에 에스토니아 현지인 친구따라 버섯 채취 나들이를 함께 하고 싶다. [사진제공: Tonu Hirsik]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4. 4. 23. 05:54

유럽 리투아니아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는 소나무, 전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자작나무 등이다. 이 중에서 자작나무는 하얀색 껍질과 위로 시원하게 쭉 뻗은 키가 인상적이라 유럽에서는 숲속의 귀족 내지 여왕으로 묘사된다.


자작나무는 단단하고 결이 고아서 가구로 애용되고 또한 난방용 장작으로도 널리 사용된다. 자작나무 껍질은 불에 잘 붙어서 불쏘시개로 쓰인다. 야영시 모닥불을 피울 때 자작나무 껍질이 아주 유용하다.

또한 자작나무 껍질은 옛날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데도 사용되었다. 어린 시절 자작나무 껍질에 시를 써본 적도 있다. 신라의 천마도도 자작나무 껍질에 그린 것이다.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이른 봄에 자작나무 수액을 받아 마신다. 자작나무 잎과 가지를 말려서 사우나할 때 온몸을 때린다. 자작나무에 자라는 상황버섯은 항암과 신장질환 치료에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지난 주말 장모님이 소유하고 있는 숲에 다녀왔다. 목적은 10년 전인 2004년 호두나무 열매를 폴란드에서 가져와 심어놓았다. 그 동안 텃밭에 성장하고 있었는데 2년 전에 숲에 옮겨심었다. 그래서 여전히 잘 자라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잘 자라고 있었다.


이날 아내와 장모는 자작나무로 가더니 새싹을 따고 있었다.

"왜 따나요?"
"사실 지금은 조금 늦었지만, 막 돋아나는 자작나무 새싹을 깨끗히 씻어 유리병에 넣고 보드카를 부어서 보관했다가 위가 아플 때 한잔 하면 효과가 아주 좋아."라고 장모님이 설명해주셨다.


이날 또 하나의 자작나무 가치를 알게 되었다.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3. 5. 6. 12:59

온순함의 상징이기도 한 사슴은 특히 수컷은 번식기에 서로 뿔을 맞대고 괴성을 지르면서 격렬한 싸움을 벌인다. 이 결투에서 이긴 수컷은 수십 마리의 암컷을 거느린다. 싸움이 싱겁게 끝나기도 하고, 때론 목숨을 앗아가기도 한다. 먼저 수컷들의 결투 장면을 보자. 


 
리투아니아에서도 차를 타고 가다 보면 들판이나 숲 속에서 사슴들을 어렵지 않게 목격할 수 있다. 숲을 가로지르는 도로에는 사슴을 조심하라는 표시판도 눈에 뛴다. 

* 리투아니아 들판에서 먹이를 찾는 야생 사슴들

폴란드의 부쉬차 아우구스토브스카(Puszcza Augustowska) 숲 속에서 찍힌 사슴 결투 동영상이 최근 화제가 되었다. 폴란드 북동 지방, 리투아니아 남동 지방, 벨라루스 남서 지방을 덥고 있는 이 숲은 원시림으로 유명하다.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폴란드 바르샤바로 가는 길 중 하나가 이곳을 통과한다. 아래 영상에서 보듯이 도로 양 옆에는 소나무가 즐비하게 있어 그 풍경이 장관이다. 이 아름다움에 반해 바르샤바에 갈 때는 늘 이 도로를 이용한다.     


바로 이 숲 속에서 사슴 수컷 두 마리가 결투를 벌이다가 둘 다 죽을 뻔한 일이 일어났다. 두 마리의 뿔이 서로 엉켰기 때문이다. 한 마리는 이미 숨을 거두었고, 다른 한 마리는 뿔을 빼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젠 결투가 아니라 그야말로 자신과의 사투이다. 이겨서 수십 마리의 암컷을 거느릴 영화도 못 누려보고 죽은 수컷 뿔에 엉켜 그냥 죽게 생겼다. 


하지만 다행히 관할 영림소 직원들이 이를 목격하고 구조에 나섰다. 마취주사를 놓고 남자 세 명이 힘을 합쳐 엉킨 뿔을 풀었다. 마취에서 깨어난 수컷은 무리를 찾아 소나무 사이로 사라졌다. 


결투에서 진 사슴도 살았다면 더 좋았을 것인데 참 아쉽다. 사람의 따뜻한 구원의 손길로 수컷이 살아남았고, 이로써 숲에는 또 다른 새끼 사슴들이 뛰어놀 수 있게 되었다.

Posted by 초유스
사진모음2012. 6. 18. 14:31

숲 속에서 곰을 만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이솝 우화처럼 나무에 올라가서 곰이 가기를 기다리거나 땅바닥에 누워서 죽은 척을 한다. 사실 이 두 방법이 효과적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 호기심 많은 곰이나 배고픈 곰은 죽은 척하고 있는 사람을 이리저리 건드려볼 것은 뻔한 일이다. 그렇다면 나무 위로 피신한 사람은 안전할까?

아래 사진이 그 답을 잘 말해 준다. 도대채 곰이 어디에 있는 것일까? [사진출처 image source link]


곰이 나무를 잘 탄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이렇게까지 높은 전봇대에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은 참 의외이다. 곰이 전기공으로 잠시 둔갑한 것일까...... 별난 재미를 부린 곰돌이 정말 귀엽다. 하지만 숲 속에서는 만나고 싶지 않다. 다행히 리투아니아 숲에는 야생곰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osted by 초유스
사진모음2010. 10. 4. 11:37

일전에 숲 속에서 버섯을 채취하다가 참으로 안타까운 장면을 보게 되었다. 바로 누군가가 예리한 칼이나 도끼로 전나무 밑부분의 껍질을 좌우 앞뒤로 모두 벗겨버렸다. 껍질이 없으면 나무가 말라서 죽는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안타까운 마음으로 나무 꼭대기로 쳐다보았다. 아직은 나뭇가지가 푸른 색을 띄고 있었다.

나무의 껍질은 사람의 옷과 같다. 우겨진 숲 속이라 쨍쨍한 햇빛으로 인한 고통은 없겠지만 곧 춥고 눈이 오는 겨울철이 다가온다. 방수 기능을 하는 껍질이 없으니 필요 이상의 수분으로 인해 나무 속이 썩을 수도 있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전나무 밑부분의 껍질이 완전히 벗겨져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안타까움에 나무 위를 쳐다보니 다행히 나뭇가지에는 아직까지 싱싱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전나무 앞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전나무 뒷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전나무 우측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전나무 좌측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진액이 흘러내려 밑껍질과 윗껍질을 연결하고 있다. 마치 나무가 진액으로 울분을 토하는 듯하다.

누가 무슨 이유로 이렇게 곧바르게 잘자라고 있는 전나무에 엽기적인 해꼬지를 했을까?
Posted by 초유스
사진모음2010. 3. 2. 07:06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집에서 1km도 못 미치는 거리에 소나무 등으로 울창한 공원이 하나 있다. 모처럼 이 공원으로 가족 산책을 다녀왔다. 여전히 숲은 눈으로 덮여 있지만, 계절변화에는 어쩔 수 없는지 눈은 점점 녹고 있었다.

산책을 하면서 둘러본 숲 속에는 새 먹이통들이 여기 저기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다. 물통, 음료수병, 우유팩 등으로 만들어진 먹이통이다. 이렇게 새 먹이통을 볼 때마다 먹이를 채워 넣는 사람들의 따뜻한 마음이 전해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눈길를 끄는 것은 돼지비계였다. 다 뜯어먹은 돼지비계는 껍질만 남아서 마치 수건이 나뭇가지에 걸려있는 듯했다. 박새 등 새들은 겨울 추위를 이기기 위해 몸에 지방분이 필요한데 바로 이 돼지비계가 지방덩어리라서 사람들이 걸어놓는다.

* 관련글: 리투아니아의 특이한 새집들
* 최근글: 한국 스티커 때문에 폭로협박에 눈물 흘리는 딸아이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아래 손가락 추천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클릭하시면 ->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Posted by 초유스
사진모음2009. 8. 27. 13:30

일전에 북동유럽 리투아니아의 숲에 가서 참나무, 전나무, 소나무 등을 심었다. 식목의 계절은 아니지만 시골을 방문한 때 지난 번 심은 나무의 성장도 살필 겸해서 심게 되었다.

이날 숲에서 만난 야생화를 찍어보았다. 한국의 숲에서도 볼 수 있는 꽃들이라 더욱 정감이 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참나무를 심고 있는 초유스 (가운데)

* 관련글: 반은 꽃화분, 반은 쓰레기통
               유럽 유채밭 속 군계일학 양귀비꽃

Posted by 초유스
영상모음2009. 5. 7. 13:20

최근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서 약 20킬로미터 떨어진 골프장에 다녀왔다. 이 골프장은 유럽 대륙의 지리적 중앙 지점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이 골프장 연못가에도 통채로 사라진 나무 그루터기를 볼 수 있었다. 이처럼 리투아니아 호수 주변이나 숲 속 강 주변을 거닐다보면 쉽게 만날 수 풍경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무들이 마치 누군가 예리한 도끼로 찍어서 넘어뜨려져 있는 것 같다. 이는 비버가 한 것이다. 비버는 자신의 잇발로 나무를 깎아 이를 쌓아 강물을 막는다. 그리고 그 안에서 생활한다. 리투아니아 일부 지역에선 이렇게 비버의 피해가 극심해 개체수를 줄이는 데 힘쓰고 있다. 덩치 큰 나무도 속수무책으로 비버의 공격으로 시름을 앓고 있다.

비버와 수달은 비슷하지만 다르다. 비버는 다람쥐, 햄스터 등 설치류에 속하는 동물로 쥐 종류이다. 비버는 나무껍질이나 나무뿌리, 식물 플랑크톤 같은 것을 먹고 산다. 하지만 수달은 물고기나 조개 등을 먹고 산다. 이렇게 리투아니아에선 비버의 삶의 현장, 이는 곧 나무들의 피해 현장을 직접 목격할 수 있는 기회가 흔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관련글:
- 누가 이렇게 나무를 넘어뜨렸나? (사진)
               - 죽은 고목이라 우습게 보지 마라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08. 10. 21. 06:02

리투아니아 국토면적은 65,200평방킬로미터로 발트 3국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지만, 한반도의 1/3에 조금 못 미친다. 대부분 평원을 이루고, 동부 지방엔 구릉지가 많다. 가장 높은 산이 해발 293미터이다. 면적이 0.5헥타르가 넘는 호수가 약 3000여개에 이른다. 숲의 면적은 전국토의 31%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가을날 많은 사람들은 숲 속으로 가서 겨울내내 먹을 양식 중 하나인 야생 버섯 채취를 즐겨한다. 숲 속에서 버섯을 찾아다니다가 횡재를 얻는 수가 있다. 리투아니아에는 한국과 달리 산삼이 자라지 않는다. 리투아니아인들이 숲 속에 얻는 횡재 중 하나는 바로 큰사슴이나 사슴 뿔이다. 이렇게 횡재한 뿔은 깨끗하게 씻어서 집안의 장식물로 사용한다. 대부분 옷걸이로 사용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최근글: 박칼린 계기로 알아본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Posted by 초유스
사진모음2008. 6. 28. 12:2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리투아니아 발트해와 큐르슈만 사이에 길쭉한 곶으로 형성된 네링가 국립공원이 있다. 지난 해 산불로 인해 적지 않은 숲 면적이 사라졌다. 보기 흉칙할 것 같은 타다 남은 나무들을 베어내지 않고 그냥 그대로 놓아두면서 이색적인 자연 전시장을 조성했다.

멀리서 바라보니 나뭇잎이 하나도 없어 마치 여름 속 겨울을 보는 것 같다. 가까이 가보면 검게 불탄 채 죽어버린 나무들이 빽빽히 서있어 안타까움을 절로 자아낸다. 더우기 이곳은 사토라 나무가 자라기엔 아주 척박한 땅이다.

백마디 불조심보다 이 한 편의 풍경이 훨씬 효과적일 것이다. 기발한 발상에 찬사를 보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불로 적지 않은 숲 면적이 사라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여름 속 겨울을 연상시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타다 남은 나무들이 즐비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아름다움과 안타까움을 동시에 자아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아름다움과 안타까움을 동시에 자아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아름다움과 안타까움을 동시에 자아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죽은 숲이 아니라 다시 살아있는 숲이 되어 뭇 생명들이 공존하기를 바란다.
Posted by 초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