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축제라는 말에도 웃음이 터져 나왔다.
축제는 Čiukčiai(축치인)을 뜻하는 츅체이를 연상시켰기 때문이다. 눈이 좁쌀처럼 생긴 아시아인들을 경멸해서 말하는 말 중 하나가 "츅체이"이다.
사(4)과
사과(과일)
사과(잘못을 사과)도 동일하게 써지만 각기 뜻이 달라서 주목을 끌었다,
행복
한복
항복도
비슷한 발음이라 학생들이 힘들어한다.
물고기
생선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고기 등에서 보듯이 고기는 죽은 것인데 왜 물고기는 산 것을 말하나?!
한국어 문장 중 "간장 공장......"을 알려주었더니 배꼽을 잡고 웃어대었다.
리투아니아어에 이와 유사한 문장은 다음과 같다.
개리 비라이 개로이 기료이 개라 기라 게레: 좋은 남자들이 좋은 숲 속에서 좋은 기라(맥콜)을 마신다
이렇게 한국어를 가르치다보면 뜻하지 않게 수업 시간에 웃는 경우가 더러 생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는"은 보통 topic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합니다. 영어 등의 서구어는 topic을 나타낼 때 문장 제일 앞에 두면 되지만 한국어 같이 주어-topic (주제어)-목적어 등의 순서가 자유로운 언어는 주격조사와 구분하여 topic marker를 따로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topic marker는 앞에 나온 주제를 계속 이야기 할 때, 주제를 한정할 때 등에 쓰입니다. 때로 topic 을 old information이라는 말로도 표현합니다. (정관사의 용법을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습니다.)
1. 개 한 마리가 있습니다. 그 개는 눈을 아주 좋아합니다.
2. 나는 눈을 싫어합니다. 여기는 좀 어둡군요. ("나", "여기"로 주제를 한정합니다)
반면 한국어의 ~이/가는 focus marker라는 말로 자주 분석되곤 합니다. focus marker의 특징은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부정관사의 용법을 연상시킵니다.)
1. 개 한 마리가 있습니다. 여기 개가 있습니다. (모두 개의 존재를 처음 소개하는 경우입니다.)
2. (그가 아니라) 내가 눈을 싫어합니다. (눈을 싫어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이 아니라 나라는 것을 새로운 정보로 제공합니다.)
저는 호주 어른에게 기초 일본어(문법보다는 회화 위주)를 가르치는데 "는" 과 "가"의 차잇점에 관해서 질문을 자주 받아요. 그래서 저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나는 학/교/에/ 갑/니/다.
내/가/ 학교에 갑니다.
(// 된 부문이 강조하는 부분)
라는 문장을 가지고 설명을 해요.
나는 이라는 문장에서는 "는" 뒤에 오는 부분이 강조된다고 내가 라는 문장에서는 "가" 앞에 있는 내가 강조 되는 것이라고. 예를 들면 영어 질문 What are you doing? 이라고 물었을 때 너에게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닌, 네가 하고 있는 행동에 관심이 있으는 것이라면 문장의 주어에 "는"을 붙이고, Who is going to school 이라고 물었을 때는 주어에 "가/이"를 붙인다고 합니다. 강조하는 부분이 앞부분이냐 뒷부분이냐 (왜 냐하면 일본어 문장은 항상 동사로 끝나기 때문에)따라서 "는"과 "가"를 구분해서 쓴다고 합니다.
그러면 대부분 이해를 하더군요.
|
|
|
|
|
|
|
|
|
|
아래 딸아이 노래 동영상을 아이들과 함께 보면서 동시에 음악수업(음악감상)과 사회수업(다른 나라 문화 이해)를 진행했는데 아이들아 잘 따라주었고, 생생한 수업이 되었다고 했다.
|
|
|
|
|
|
|
|
리투아니아는 주 5일 수업이다. 담임선생님은 1학년때와 동일한 선생님이다. 현 담임선생님은 요가일래가 4학년을 마칠 때까지 담임을 계속 맡는다.
요가일래가 받은 일주일 총 수업시간은 24시간이다. 1학년때보다 2시간이 더 많아졌다. 수업은 45분, 휴식은 15분이다. 배우는 과목은 리투아니아어, 수학, 무용, 미술, 음악, 영어, 체육, 기술, 윤리, 세계지식으로 10과목이다. 외국어 교육이 추가되었다. 프랑스어와 영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수업 24시간 중 리투아니아어가 7시간으로 가장 많다. 이어서 수학 5시간, 영어·음악·체육·세계지식이 각각 2시간, 윤리·미술·무용·기술이 각각 1시간이다.
이외에 요가일래는 수요일과 금요일 학교수업을 마치고 곧장 음악학교로 가서 독창, 합창, 솔페지어, 피아노를 배운다. 음악학교에서는 일주일에 4시간 수업을 받는다.
* 관련글: 만화책 같은 초등학교 첫 영어책
점수 없는 초등학교 성적표, 그럼 어떻게?
유럽 초등학교 학급 가족소풍 이모저모
저울이 있는 특이한 책가방 등장
|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외국인들은 문장안에 있는 not 하나에 예스와 노를 결정하지만,
2015.12.21 11:12 [ ADDR : EDIT/ DEL : REPLY ]한국인들은 문장안의 not 에 관계없이, 문장전체의 내용이 긍정인지 부정인지를
따지지요.
그걸 엄청 헷갈려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