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영문 이름에 이렇게 누구의 아내라고 설명한 것은 나도 처음 보았다. 한국인에게 물었다.
|
|
글 쓰신 분이 미혼, 혹은 남자분이어서 잘 모르시겠지만...
만약, 아빠없이, 애들과 엄마가 여행을 갈 경우,
애들 엄마, 혹은 같은 가족이란것을 증명할 방법이 없습니다.
저렇게 안나와있는 경우는,
등본 등을 지참하여 가족임을 증명해야하는 경우가 왕왕있죠.
글 쓰신것처럼 써야만, 애들의 엄마라는것을 알수있죠.
여러 댓글처럼, 우리나라는 여자의 성이 안바뀌기 때문에, 저렇게라도 표현하는거죠.
다른 나라에서는, 결혼을 해도 여자의 성이 그대로인, 우리나라의 시스템이 이상하게 보인답니다.
우리나라 여자가 결혼해서 남자 성 안 따라가는 건 여성인권이 높아서도 아니고.
여성을 독립된 존재로 인정해서도 아닌
간단하게 말해서 그냥
'우리 집안에서 여자(아내.며느리 / 피가 안 섞인)는 빠져라'겠지요.
어디 피도 안 섞인 남 주제에 같은 성씨를 쓰냐는 거겠지요.
이런 걸 보면 우리나라가 옛날부터 '혈연관계'를 얼마나 중시했는지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죠.
물론 세상이 변하면서
남편 성 안 따르는 문화가 역설적(!!!)으로 긍정적이게 보이는 시대까지 와버려서
서구권에서도 결혼하면 남편 성 안 따르고 처녀적 성 그대로 쓰는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지만요.
역사적으로 우리나라 만큼 여자들 입김이 쎈 나라가 별로 없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시대 가부장제도의 모습은 임진왜란 이후라고 합니다.
그 전에는 처가 제사도 지내기도 하고, 딸이 유산상속도 받고 동등한 위치에서
단지 관료사회에만 진출하지 못한 차이만 있었습죠...
(허나 집안의 경제권은 소위 마님!들 께서 가졌다고 하더군요 ㅋㅋ)
아마도 그 시기에 전세계에서 우리나라가 가장 평등사회에 가까웠던 나라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니 남자들이 장가를 가서 처가에 있다가 안정적인 가족이 구성이 되면 시집 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유럽에 살고있는 저는 남편 성을 기재해주는것이 재외 국민에게나 해외여행시 훨씬 좋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그나마 한국의 위상이 많이높아져서 다른 후진국들에 비하면 대우가 좋아졌지요.. 제가 사는 이곳에선 후진국에서 온 엄마나 아빠가 혼자서 아이를 데리고 국외로 나갈땐 관청에 미리 배우자의 동의서와 함께 신고를 해야지만 아이와 출국이 가능하지요. 그렇지 않을경우 아이를 유괴나 납치 하는걸로 간주하기도 한답니다. 여권에 남편의 성이 기재되어 있으면 공항에서의 확인 절차가 많이 수월해지리라 생각됩니다. 결혼후에도 결혼전의 성을 그대로 쓴다는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지요. 저의 경우도 제 아이 친구의 부모들이 물어볼때마다 일일이 설명하는게 가끔은 귀찮네요.
제가 아는분의 경우엔 아이 아빠 없이 아이를 데리고 한국으로 가려다가 공항에서 아이의 성과 엄마의 성이 다르다는 이유로 출국을 저지당하고 결국은 증명하는데 시간이 지체되어 비행기를 놓친경우도 있습니다. 그분의 경우엔 남편이 현지인이었지요. 그러니 더 의심을 받았겠지요. 그분은 결혼후에도 본인성을 계속 쓰시더군요.저는 여권에 남편의 성이 기재되어 있어서인지 그런경우를 겪어보진 않았지만 외국에선 우리가 생각하는것보다 훨씬 많은 이변들이 생기고 문화의 차이가크고 이해도도 낮으니 궂이 이것을 깊이 생각하시지 않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앞에 설명처럼 조선시대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극심한 사회혼란에 대한 지배체제의 대응으로 유교적 사회질서가 강화되고 교조적으로 바뀌었죠. 임진왜란(1592)년 직전 생존한 조선중기 사람의 거두 퇴계 이황(李滉, 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0년 음력 12월 8일)은 그야말로 봉건, 유교 교조주의의 화신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이황은 며느리를 재가 시킵니다. 수절이니 열녀문 세우지 않았어요. 적어도 조선 중기까지는 딸에게도 상속권과 제사등에 대한 권리가 있었죠. 그외에 고려, 신라, 고구려등에서는 모계사회의 흔적이 더 강해지고요.
그리고 현재 미국에서도 극도로 페미니즘이 강한 여성들이나 독립적인 여성들은 결혼후에도 자신의 선택에 의해 성을 지킬수 있지요. 그러나 완고한 남부에서 특히 심하고 보수 교회 기독교, 지역 커뮤니티에서 아주 싫어합니다. 힐러리 클린턴만해도 결혼후에 남편의 성을 따르지 않자 친정 어머니가 충격을 받고 눈물로 호소한 일도 있고 시어머니와 관계도 악화된데다 지역사회에서 엄청난 논란거리가 됩니다. 결국 똑똑하고 독립적이던 힐러리도 남편의 주지사 선거를 위해서 결혼 7년만에 남편성을 따라서 힐러리 클린턴이 되죠. 즉 현대 미국 사회에서 법적으로 남편성을 따르지 않을 권리가 있지만 관습적으로 혹은 주류에 편입되려면 힐러리같은 초엘리트 여성조차 남편성을 따라야 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
|
|
|
|
|
|
|
|
|
|
|
|
|
각기 1명인 성이 278개, 2명인 성이 92개, 3명인 성이 38개, 4명인 성이 23개, 5명인 성이 7개, 6명인 성이 4개, 7명인 성이 1개, 8명인 성이 3개, 10명인 성이 1개(Grzegorczyk), 23명인 성이 1개(Nowak), 29명인 성이 1개(Czepiec)이었다.
폴란드의 결혼식에선 신부는 어느 성을 택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1. 친아버지의 성
2. 신랑의 성
3. 친아버지의 성과 신랑의 성
이때 신혼부부는 장차 태어날 아기의 성도 결정해야 한다.
1. 아버지의 성
2. 어머니의 성
3. 아버지의 성과 어머니의 성
신랑의 성이 만약 뜻이 이상하거나, 발음이 이상하거나 발음하기가 어려우면 이때 신부의 성을 선택할 수도 있다. 대부분 여성들은 신랑의 성을 따르고 때어날 아이도 신랑의 성을 따른다. 하지만 적지 않은 여성이 친아버지의 성과 신랑의 성을 함께 사용한다.
예를 들면 아버지의 성이 Wolska, 신랑의 성이 Nowak이면 Wolska-Nowak로 표기한다. 이곳 사람들은(헝가리는 예외) 이름을 먼저 쓰고, 성을 나중에 쓴다. 하지만 공문서에는 성을 먼저 쓰기도 한다. 우리들이 자기의 이름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예를 들면 최대석을 Choe Tae Sok로 표기하면 이곳 사람들은 제 이름이 Choe이고, 중간 이름이 Tae이고, 성이 Sok로 이해할 수 있다. 만약 Choe Tae-Sok으로 표기하면, 이름이 Choe이고, 친아버지 이름이 Tae이고, 남편의 이름이 Sok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나는 에스페란토 필명으로 성을 모두 대문자로 표기하고 이름을 한 단어로 표기한다: CHOE Taesok.
이곳 사람들은 성은 대부분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이상하고 정말 부르기 민망한 성도 있다. 부분적으로는 우크라이나(어미 -szyn, Macyszyn), 러시아(어미 -ow, Bykow)에서 온 성도 있다. 귀족풍의 성은 어미가 -ski(남자) -ska(여자)이다. 예를 들면 Makowski, Janowski, Wolski, Polanski, Malawski, Jagielonski. 자기가 태어난 고장의 이름을 딴 성도 있다. 예를 들면 Krakowsksa(크라쿠브).
위의 451개 성 중 의미가 있는 특이한 성을 여기에 적어 본다:
Brzuchacz 똥배가 나온 Burek 개 이름
Chrabąszcz 개똥벌레 Chwastek 작은 잡초
Gołąb 비둘기 Grzyb 버섯
Gwozqdzik 못 Jajko 달걀
Kalisz 도시이름 Kopaczka 괭이
Kowal 대장장이 Kwaśniak 쓴(맛)
Łakomy 걸씬스러운 Mleczko 우유
Pająk 거미 Pirożek 만두
Pudełko 작은 상자 Wiatrak 부채
Chlebek 작은 빵 Kleszcz 벌레이름
Zając 산토끼 Buła 큰 빵
Motyl 나비 Górka 작은 산
Wąsik 콧수염 Koza 염소
Guzik 단추 Słaby 약한, 쇠약한
Dziura 구멍
|
|
|
|
|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음...선택의 자유가 있네요 ^^%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2020.06.15 08:18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맞습니다. 부모가 상호동의해서 자녀의 성씨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2020.06.15 17:46 신고 [ ADDR : EDIT/ DEL ]유럽에 관한 정보가 가득하네요, 저도 잠시나마 동유럽에 머문적이 있어서.
2020.06.27 19:39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잘 읽고 구독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2020.06.27 23:17 신고 [ ADDR : EDIT/ D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