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평시조의 대표작 중 하나인 황진이기가 지은 <청산리 벽계수야>를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한번 번역해봤다.
靑山裏 碧溪水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一到滄海하면 돌아오기 어려오니
明月이 滿空山하니 쉬어 간들 어떠리.
|
|
|
|
한국 평시조의 대표작 중 하나인 황진이기가 지은 <청산리 벽계수야>를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한번 번역해봤다.
靑山裏 碧溪水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一到滄海하면 돌아오기 어려오니
明月이 滿空山하니 쉬어 간들 어떠리.
|
|
|
|
|
|
|
|
|
|
|
|
|
|
|
|
J에게 이세건 작사/작곡 이선희 노래 J 스치는 바람에 J 그대 모습 보이면 난 오늘도 조용히 그댈 그리워하네 J 지난밤 꿈 속에 J 만났던 모습은 내 가슴 속 깊이 여울져 남아있네 J 아름다운 여름날이 멀리 사라졌다 해도 J 나의 사랑은 아직도 변함없는데 J 난 너를 못 잊어 J 난 너를 사랑해 J 우리가 걸었던 J 추억의 그 길을 난 이 밤도 쓸쓸히 쓸쓸히 걷고 있네 J 아름다운 여름날이 멀리 사라졌다 해도 J 나의 사랑은 아직도 변함없는데 J 난 너를 못 잊어 J 난 너를 사랑해 J 우리가 걸었던 J 추억의 그 길을 난 이 밤도 쓸쓸히 쓸쓸히 걷고 있네 쓸쓸히 걷고 있네 |
Al Ĝ* Verkis kaj komponis LEE Segeon Tradukis CHOE Taesok Ĝ, se en tuŝanta vent', Ĝ, montriĝas via form’, vin ĉi-tage en silent' ree volas mia kor’. Ĝ, en nokta ĉi mallum’, Ĝ, mi sonĝe vidis vin; vi torente restas nun en la fund' de mia sin'. Ĝ, beltagoj de l' somer', ho ve! jam malaperis for, Ĝ, tamen mia am' nune ja estas en fervor'. Ĝ, mi ne forgesas vin, Ĝ, mi ĉiam amas vin. Ĝ, la vojon de memor', Ĝ, iritan de ni du jen ĉi-nokte sola mi, sola mi laŭiras plu. Ĝ, beltagoj de l' somer', ho ve! jam malaperis for, Ĝ, tamen mia am' nune ja estas en fervor'. Ĝ, mi ne forgesas vin, Ĝ, mi ĉiam amas vin. Ĝ, la vojon de memor', Ĝ, iritan de ni du jen ĉi-nokte sola mi, sola mi laŭiras plu, sola mi laŭiras plu. |
|
|
|
|
|
|
|
|
가을 여행가방 이남행 날씨가 차가와지고 있어요. 벌써 눈 소식이 들려요. 가을은 이제 떠날 준비를 합니다. 거리의 청소부는 가을이 벗어놓은 노랗고 빨간 잎들을 여행가방에 차곡차곡 넣어 떠날 준비를 돕고 있어요. 하지만 가방엔 아직 빈 공간이 많아요. 아마도 그 공간엔 가을이 나에게 준 외로움과 쓸쓸함을 모두 담아가지고 가겠죠 |
La kofro aŭtuna Tradukis Chojus Vetero fariĝas pli frida. Aŭdiĝas pri ĵusa neĝfalo. Aŭtuno pretiĝas forlasi. La stratpurigisto en kofro ekstaplas jen flavajn, jen ruĝajn foliojn plukitajn nun de la aŭtuno por helpi jam ĝian pretiĝon. Sed tamen la kofro ankoraŭ tre multe malplenas. Do eble l’ aŭtuno jen tute enmetos, forportos solecon kaj triston donitajn ja al mi. |
끝으로 이용의 <잊혀진 계절> 노래에 한국어와 에스페란토 가사 자막을 넣어보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틈틈히 한국시를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번역하고 있다.
최근 주요한의 빗소리를 번역해봤다.
약 100년의 시임인데도 어떻게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를 구사할 수 있는 지에 그저 감탄할 따름이다.
빗소리
비가 옵니다.
밤은 고요히 깃을 벌리고
비는 뜰 위에 속삭입니다.
몰래 지껄이는 병아리같이.
이즈러진 달이 실낱 같고
별에서도 봄이 흐를 듯이
따뜻한 바람이 불더니,
오늘은 이 어둔 밤을 비가 옵니다.
비가 옵니다.
다정한 손님같이 비가 옵니다.
창을 열고 맞으려 하여도
보이지 않게 속삭이며 비가 옵니다.
비가 옵니다.
뜰 위에, 창 밖에, 지붕에,
남 모를 기쁜 소식을
나의 가슴에 전하는 비가 옵니다.
Pluvsono
Verkis JU Yohan
Tradukis CHOE Taesok
Pluvo venas jen.
Plumon sternas jam nokto en kviet’;
pluvo flustras do en la domĝarden’,
kiel kokideto pepas en sekret’.
Lun’ malkreska estis kiel faden’;
kvazaŭ eĉ en stelo fluus printemp’,
blovis ĵus kun mildo varma vent’,
sed en ĉi obskura nokto pluvo venas jen.
Pluvo venas jen.
Kiel gast’ de koro pluvo venas jen.
Mi akceptas kun fenestra malferm’,
tamen sen aper’ alflustrante pluvo venas jen.
Pluvo venas jen.
En ĝarden’, ĉe fenestr’, sur tegment’
novon kun la ĝoj’ en sekret’
ja al mia kor’ vi portas - pluvo venas jen.
|
|
|
|
OBELAITE! Ak, vargšele obelaite, Negailestinga ta žiema, Buvo išdygę - mieli ragiukai Ir maži maži pumpuriukai. O ji vis metė savo sniegą, Tad nušalai, mieloji. Šią vasarą nepamaitinsi, Saldžiarūgščiais obuoliais. Tai žaismas žmonių jausmais. Tas sniegas buvo kaip druska Berta ant mano kruvinos žaizdos. | 사과나무 아, 불쌍한 사과나무, 우리 뜰의 여왕이여. 무자비한 겨울이 너를 절제 없이 손상시켰네. 귀여운 뿔들과 작고 작은 새싹들이 돋아났는데 겨울이 그만 눈을 던졌고 귀염이 네가 얼어버렸네. 이번 여름 달고 신 사과를 먹일 수가 없게 되었네. 이는 사람의 느낌과 장난질. 눈은 내 피나는 상처에 뿌려진 소금과 같았구나. |
|
|
|
|
잔물은 봄바람에 헤적일 때를 1) 물결이 바람에 움직일 때, 2) 잔물(물곤충)이 봄바람에 가볍게 날아다닐 때 중 어느 것으로 해석해야 할 지 아직 명확한 답을 얻지 못했다. 혹시 관심있으신 분 댓글 부탁합니다.
|
|
|
|
초혼 작자 김소월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 중(虛空中)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主人)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심중(心中)에 남아 있는 말 한 마디는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붉은 해는 서산(西山)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山)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 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
Vokado de l' anim' Aŭtoro: KIM Sowol Traduko: CHOE Taesok (Ĉojus) Ho, nomo rompita diseren! Ho, nomo ĵetita aeren! Ho, nomo senmastra ĉe voko! Ho, nomo vokata ĝis morto! La vorton restantan en sino ne povis mi diri ĝis fino. Amita, ho, tiu persono! Amita, ho, tiu persono! Sun’ ruĝa jam pendas sur Okcident-pinto. Eĉ grego da cervoj plorkrias de tristo. Sur supro de monto sidanta aparte mi vokas la nomon de vi nun plenarde. Mi vokas kaj vokas ĝis lament’. Mi vokas kaj vokas ĝis lament’. Voksono jen iras en preter’; tro vastas de l’ ĉiel’ al la ter’. Se stare mi iĝos eĉ ŝtono, ho, nomo vokata ĝis morto! Amita, ho, tiu persono! Amita, ho, tiu persono! |
|
|
|
|
|
|
|
|
|
|
|
|
|
|
|
|
|
|
|
|
|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