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럽의 오래된 도시를 여행하다보면 건물에 써진 혹은 새겨진 로마 숫자를 흔히 만난다. 대체로 이는 건물이 완공된 혹은 개축된 연도를 나타낸다. 로마 숫자를 읽을 수 있다면 '아 저 건물이 언제 지어졌구나!'를 스스로 쉽게 알 수 있다.
종종 아래 건물에서 보듯이 아라비아 숫자로 되어 있는 건물도 있다. 보자마자 완공이나 개축 연도를 알 수 있다.
I |
V |
X |
L |
C |
D |
M |
1 |
5 |
10 |
50 |
100 |
500 |
1000 |
1. 같은 숫자는 더해 준다
II = 1+1 = 2; XX = 10+10 = 20; MM = 1000+1000 = 2000
2. 큰 숫자 다음에 작은 숫자가 있으면 더해 준다
VI = 5+1 = 6; XXI = 10+10+1 = 21; LXVII = 50+10+7 = 67
3. 큰 숫자 앞에 작은 숫자가 있으면 빼준다
IV = 5-1 =4; IX = 10-1 = 9; XL = 50-10 = 40; XC = 100-10 = 90; CD = 500-100 = 400; CM = 1000-100 = 900
4. V, L, D는 중복으로 쓸 수 업지만 X, C, M는 중복으로 쓸 수 있다
VV가 아니라 X이고, LL가 아니고 C이고, DD가 아니고 M이다.
5. 같은 숫자를 네 번 이상 쓸 수 없다
IIII로 쓰지 않고 IV로 쓰고, XXXX로 쓰지 않고 XL로 쓴다.
이제 아래 건물의 완공 연도를 알아보자
MDCCCXLIV = 1000+500+100+100+100+40(50-10)+4(5-1) = 1844년 완공
MCMXXIV = 1000+900(1000-100)+10+10+4(5-1) = 1924년 개축
아래 건물의 완공 연도는 좀 더 쉽게 알 수 있겠다.
MDCCLX = 1000+500+100+100+50+10 = 1760년 완공
만약 유럽의 중세 도시를 여행하고자 한다면 미리 로마 숫자를 익혀 가는 것도 좋겠다. 구시가지의 건물에 새겨진 로마 숫자를 해독해 보는 재미도 느껴볼 수 있기 때문이다.
|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안녕하세요, 종종 와서 보고 갔는데 이번에는 글 남깁니다. 로마 숫자는 늘 헷갈렸는데요, 덕분에 이제는 좀 알겠어요.^^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강희진 드림
2020.02.24 20:53 [ ADDR : EDIT/ DEL : REPLY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2020.02.24 21:32 신고 [ ADDR : EDIT/ DEL ]아주 오랫만에 들어와 글을 읽었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10까지는 알았지만 그 이후 숫자는 몰랐거든요.
2020.03.03 21:36 [ ADDR : EDIT/ DEL : REPLY ]그런데 지금도 자주 사용되는지 궁금해요.
지금은 1에서 10까지 말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하지만 유럽의 오랜된 도시에는 1천단위까지 숫자가 새겨진 건물들이 많이 있어요.
2020.03.04 05:42 신고 [ ADDR : EDIT/ DEL ]고맙습니다.
2020.03.04 14:02 [ ADDR : EDIT/ DEL : REP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