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갤럭시 노트2를 아내와 딸로부터 최근 선물을 받았다. 안드로이드폰이라 구글 계정 등록을 요구했다. 구글 계정에 이어서 페이북 계정도 등록했다. 그런데 캡쳐화면을 보기 위해 갤러리에 들어가니 수많은 앨범과 사진이 있었다. 너무 많아서 어디에 캡쳐화면이 들어있는지도 찾기가 힘들었다.
왜 이런 사진들이 나도 모르게 생겼을까라는 원초적인 질문을 던졌다. 검색을 통해 알아보니 구글과 페이북 계정을 등록하면서 사진들이 동기화되어서 똑똑전화에 자동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원하지 않는 이 사진을 삭제하려고 해도 갤러리에서는 공유 단추만 있고 삭제할 수가 없었다. 고민이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방법을 찾아보았다.
1. 페이스북 앨범 삭제 방법
환경설정 -> 계정 -> 페이스북에 들어가 자신의 계정을 누른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갤러리 동기화를 해제한다. 이렇게 해놓고 갤러리에 들어가면 페이스북 앨범이 그대로 남아있다. 분명히 해제를 했는데도 결과가 없다.
위의 순서대로 다시 자신의 계정으로 들어가서 하단 오른쪽에 있는 계정 삭제 단추를 누른다. 그리고 다시 계정 추가를 할 때 반드시 갤러리 동기화를 해제한다. 이렇게 하니 갤러리에 더 이상 페이스북 앨범이 뜨지 않았다. 문제는 해결되었다.
2. 피카사 웹 앨범 삭제 방법
이번은 삭제가 복잡했다.
환경설정 -> 계정 -> 구글에 들어가 자신의 계정을 누른다. 피카소 웹 앨범 동기화를 해제한다.
그래도 페이스북 앨범처럼 갤러리에는 여전히 피카사 웹 앨범이 남아있다.
한 사이트의 정보에 따르면
https://picasaweb.google.com/home에 들어가 앨범을 자체를 삭제하라고 한다.
앨범 사진은 모두 2년 전에 올린 것이라 크게 후회하지 않고 지웠다. 휴지통으로 들어간 사진까지 완전히 없앴다. 그런데 "60일 이후에 완전히 삭제됩니다"라는 쪽지가 떴다.
이렇게 앨범 하나하나 피카사 사이트에서 지웠는데도 갤럭시 노트2의 갤러리에는 피카사 앨범이 불사조처럼 살아있었다. 분명히 휴지통에서도 지웠는데 이렇게 나오다니.... "60일 이후에 완전히 삭제됩니다"라는 말이 거짓말이 아니였구나......
그렇다면 앞으로 60일 동안 계속 갤럭시 노트2 갤러리에서 봐야한다니... 이제껏 시간을 투자한 것이 아까워서 도저히 참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장답을 찾기 위해서 계속 인터넷을 뒤졌다. 정답은 "김군의 생각하는 노리터"의 글에 있었다[
관련글 바로바기]. 캡쳐화면이 달라서 좀 더 주의심이 필요했다.
환경설정 -> 저장소 -> 애플리케이션 -> 갤러리 -> 캐시 삭제를 누른다. 그래도 없애지지 않았다. 그래서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 삭제를 해보았다. 다운로드된 사진, 카메라로 찍은 사진, 스크린샷 사진까지 다 삭제가 되지 않을까 우려해서 먼저 이 사진들을 컴퓨터로 복사해놓았다.
그리고 나서 위의 순서대로 데이터 삭제 단추를 눌렀다. 결과는 바로 아래와 같이 말끔하게 피카사 웹 앨범이 흔적없이 사라졌다. "
김군의 생각하는 노리터" 글을 제일 먼저 만났더라면 비록 오래된 사진이지만 피카사 웹 앨범을 굳이 지우지 않앋 되었을 텐데 말입다. 조금 아쉽다.
2-3일 동안 갤럭시 노트2를 만지작거리다보니 가장 크게 느낀 점은 "왜 이렇게 좋은 똑똑전화를 더 일찍 구입하지 않았을까?"이다. 아내와 딸에게도 꼭 이런 똑똑전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집으로 돌아오면 역설해야겠다. 물론 이제 내가 선물할 차례이다.
'혹시 자기들이 갖고 싶어서 나에게 먼저 선물한 것이 아닐까......'
하루 종일 갤럭시 노트2 갤러리에서 페이스북과 피카사 앨범을 삭제하는 방법을 찾고 또 이 글까지 작성하느라 많은 시간을 쏟았다. 똑똑전화만큼은 아니더라도 '똑똑한' 남편이나 아빠가 되려고 하니 요렇게 힘든다. ㅎㅎㅎ. 미리 알아놓아야 나중에 아내와 딸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에 똑똑전화 사용 초보자가 한번 노력해보았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우리나라에 유심이 들어온지 십년이 채 되지 않았고 게다가 유심 개념도 많이 약해서요 ㅠㅠ
2015.03.03 11:08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제대로 된 선불 플랜도 없고 ㅠㅠㅠㅠ 확실히 바뀌어야 할 부분이네요.
내국인을 위한 유심도 쉽게 구매하면 좋을 텐데 말이죠.
외국인 거주자 대상으로 파는 유심들도 약정 2년 짜리도 많고 그러더라고요. 주위에 유학생 친구들 조금 있는데 선불심 사서 쓰는 걸로 만족하는 경우도 많고요
그러게요. 아쉬웠습니다.
2015.03.04 00:54 신고 [ ADDR : EDIT/ DEL ]님깨서 잘 못 아시는 것이 있는데요. 한국에도 선불요금제 유심 있습니다. 잘 알아 보시지도 않고...
2015.03.04 00:22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미국 free pay 요금제처럼 충전된 요금에따라 유효기간이 다르며, 장기 고객용이 아닌 요금제이다 보니 초당 통화료가 비쌀뿐 단기 여행자에게는 딱 입니다.
한국에 선불유심카드가 있는 줄 잘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다룬 유심카드는 공항 매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유심카드를 말합니다. 결국 이 선불유심카드를 구입하기 위해서 광화문에 있는 이동통신사 본사까지 가야했습니다.
2015.03.04 00:53 신고 [ ADDR : EDIT/ DEL ]구지 본사까지 갈 이유가 없습니다. 공항에 있는 매점에서 그 유심을 안팔뿐입니다. 땅덩이 크기에 비해 통신사 대리점이 많은 곳이 대한민국 입니다. 코앞에 대리점이 있는데 얼마 못가 또 있을 정도로 가까운곳에서 찾을려면 금방 찾습니다. ^^
2015.03.04 01:16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먼저 관심 가져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지난해 서울에 있는 대리점 여러 곳을 찾아다니면서 유심카드를 문의했지만, 전부 본사에 가서 할 수 있다는 답을 들은 경험이 있습니다. 요즘은 대리점에서도 선불 유심카드를 쉽게 살 수 있다면 편하고 좋은 일입니다.
2015.03.04 05:56 신고 [ ADDR : EDIT/ DEL ]비밀댓글입니다
2015.03.04 06:14 [ ADDR : EDIT/ DEL : REPLY ]오지랖 좋으신분들 참 많네요.
2015.03.14 01:32 [ ADDR : EDIT/ DEL : REPLY ]대한민국 유심은... 대체 뭐가 그리 복잡한지 모르겠더군요.
태국만해도 내 폰이 내가 사려는 통신사의 주파수가 지원되는지만 확인하면 그냥 되던데... ㅡㅡ;
폰 특성때문에 인증이 안되니 편의점 알바가 자기폰(투심폰)으로 뚝닥뚝닥 인증 해서 주던데 말입니다.
우리 나라는 뭔 폰도 본인인증 해야 하고 복잡득시글해서리~
아참 전 그냥 한국 살고요... 심지어 2g폰 써요~ ^^;
http://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adamwoohaha 명동에 위치한 외국인 선불유심 전문점 입니다^^
2015.03.17 16:56 [ ADDR : EDIT/ DEL : REPLY ]내국인 외국인 영주권자 전부 구입가능 합니다^^
2015.03.17 16:58 [ ADDR : EDIT/ DEL : REPLY ]요즘은 알뜰폰 선불유심이 대중화되는 추세입니다. 내국인 외국인 모두 이용가능해요.^^ 카톡 mobile102 친추하시고, 다음 입국전에 문의한번주세요.^^
2015.03.25 01:52 [ ADDR : EDIT/ DEL : REPLY ]매번 한국에 갈때마다 님과 같은 경험을 해서 아예 국내에서 폰쓰기 포기했었는데,본사가서 쓰게 할 수 있다니 ...
2015.05.07 12:32 [ ADDR : EDIT/ DEL : REPLY ]수속이 불편하기는 하나 방도가 완전히 없는걸 아니다라는 얘기엔 좀 안심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글로벌하지못한.불반도.
2015.11.05 12:27 [ ADDR : EDIT/ DEL : REPLY ]미국 호주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많은 나라에서 일주일에 만원에서 3만원 정도 가격이면 곧 바로 개통되는데 한국은 아주 불편
2016.04.14 01:24 [ ADDR : EDIT/ DEL : REPLY ]저도 몇달전부터 해외 장기체류중인데..한국에 몇일 들어가면서 선불유심 사려고 했는데..실페.
2016.06.20 16:29 [ ADDR : EDIT/ DEL : REPLY ]후불도 아니고 선불인데 뭐가 그리 까다로운지...(사실 구하질 못해서 복잡한지도 모르겠음)
댓글로 정보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이번에 들어가면 다시 시도해 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