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얘기2013. 5. 9. 06:33

유럽인 아내와의 생활에 어떤 어려운 점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종종 받는다. 대답의 첫 마디는 "살다보면 유럽인 아내, 동양인 남편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그냥 사람인 아내와 사람인 남편이 살아간다."이다. 

* 아내와 함께 찍은 그림자 사진

굳이 예를 들어 어려운 점을 구체적으로 말하라고 우긴다면 대답은 이렇다. 두리뭉실하고 '좋은 게 좋다'와 '그냥 그렇게 해' 방식에 익숙한 남편에게 유럽인 아내의 따지고 분석적인 성격이 종종 마음에 들지 않을 때가 있다. 

"왜 짜증내?"
"ㄱㄴㄷㄹㅁㅂ......"
"그건 이유라고 할 수 없지. 진짜 이유를 말해 봐. "
"ㅂㅁㄹㄷㄴㄱ......"
"그것도 이유가 안 되는데. 뭐 표면적인 이유는 그렇다 치고 그 뒤에 숨은 진짜 이유는 뭐야?"

이렇게 이어지는 따지기에 짜증 수준이 화 수준으로 급등하게 된다.

아내의 이런 따지고 분석하려는 성격 탓으로 최근 덕을 본 일이 있어 소개한다. 리투아니아는 매년 4월 30일까지 지난 해 발생한 종합 소득을 신고해야 한다. 이를 근거로 주민소득세와 사회보장세를 낸다. 

지난 해 소득 활동은 좀 복잡했다. 우선 고정 소득은 빌뉴스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친 댓가로 받은 강사료이다. 다음은 여름철 관광 안내사로 받은 소득이다. 이것이 까다롭다. 처음엔 영업허가(verslo liudijimas) 제도로 활동했고, 중간에 이것이 없어지면서 개인활동(individuali veikla, 오른쪽 사진) 제도로 했다.

어떻게 종합 소득을 신고해야 할 지 정확한 정보가 없어 차일피일 미루다가다 4월말에야 리투아니아인 아내가 인터넷으로 하게 되었다.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이겠지만 세금 관련 일은 해결하기가 그렇게 쉽지 않다. 아내는 여기저기에서 유익한 정보를 얻었고, 의문 되는 것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지식을 습득했다. 어느 정도 준비가 된 후에 인터넷 온라인을 통해 내 종합 소득을 신고하는 데 성공했다.

종합 소득을 신고한 지 불과 3일만에 국립 사회보장기금 기구(소드라: SODRA, 연금 등을 관리하는 정부 기구)에서 전화가 왔다. 요지는 사회보장세를 납부하라는 것이었다. 국세청에 신고한 정보가 그렇게 빨리 소드라로 넘어가다니...... 리투아니아 공무원들의 업무 처리 속도에 새삼 놀랐다.

"원래 세금 거두는 사람은 빠르잖아."라고 아내가 응답했다.  

"소득 신고액 기준으로 000를 납부해야 한다."라고 소드라 직원은 구체적인 납부 금액을 알려주었다.
"어딘가에서 30%를 제외한 금액에서 계산해야 한다고 읽었는데 아는 바가 없나?"라고 아내가 물었다.
"이것은 우리 측 사안이 아니므로 국세청에 문의해야 한다."라고 좀 차갑게 직원은 반응했다. 

아내는 호흡을 가다듬은 후 인터넷에서 얻은 정보를 어느 정도 숙지한 후 국세청에 문의했다. 국세청 직원은 생각보다 훨씬 호의적으로 관련 사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었다.

내용인즉 개인활동으로 얻은 소득액의 30%는 지출 영수증 없이도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지출 영수증이 있다면 30%이상도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특별히 이를 위해 영수증도 챙기지 않았고, 또한 100%에서 세금을 계산할 생각이었다. 그런데 30%를 제하는 것이 정답이니 여기에 만족했다. 아내는 마치 공짜 돈을 얻은 듯이 기뻐했다. 
   
총 소득액에서 30%를 제한다. 남은 액수의 70% 중 5%를 주민소득세로 국세청에 납부한다. 또한 그 70%를 반으로 나눈 금액의 28.5%를 사회보장세로 소드라에 납부하고, 9%를 의무 의료보험료로 낸다.

이렇게 계산해보니 소드라 직원이 처음에 제시한 납부 금액보다 훨씬 줄어들었다. 마침 이날 저녁에 아내의 생일잔치가 중식당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그 차액으로 잔치비용을 부담하고도 솔찬한 액수가 남았다.

무엇인가 따지고 분석하려는 유럽인 아내의 성격으로 종종 피곤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날 따라 아내의 이런 성격이 정말 박수칠 만하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3. 11. 06:32

대부분 집에서 일을 하다보니 아무래도 다른 남편들보다 부엌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다. 아침식사로 직접 샌드위치와 샐러드를 만들어 먹고 있는 지 꽤 오래되었다. 고기 요리가 주가 되는 점심은 주로 아내가 한다. 부엌 찬장 정리는 아내 몫이다. 

설탕이나 소금, 곡물, 양념 등을 찬장에서 찾아야 할 때가 있다. 이리저리 찾아봐도 찾을 수가 없다. 아내에게 긴급 문의를 한다.

"여보, 소금 어디 있어?"
"잘 찾아봐."
"아무리 찾아도 없어."
"당신은 꼭 눈에 보이는 데서만 찾잖아."

하도 이런 일이 다반사라 아내는 달가워하지 않는다. '어디 있나?'라는 서너 차례 물음에 결국 아내는 부엌으로 무거운 걸음을 하고 쉽게 찾아주면서 잔소리한다. 

최근 인터넷 사이트에서 재미난 사진을 보게 되었다. 바로 물건들이 선반 표면에 놓여있지 않고 선반 위에 붙여져 있다. 보자마자 아~ 탄성을 질렀다. 


공공 활용에도 도움이 되지만, 어떤 물건이 어디에 있는 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꼭 찬장 선반에서 물건찾기에 서투른 남편을 위해 만들어 놓은 듯하다.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11. 11. 25. 06:16

다문화 가정의 아이로 태어난 딸아이(만 10살)는 누가 언제 묻더라도 대답은 동일하다. "나는 한국인 사람이자 리투아니아 사람이다." 생활 근거지가 리투아니아라 한국을 접할 수 있는 주된 창구는 아빠이다. 딸아이를 지켜보니 한국에 관해서 아빠가 싫어하거나 좋아하지 않을 것 같은 내용은 가급적 언급하지 않으려고 한다.

일전에 아빠와 둘이서 한국을 방문하면서 느낀 첫 소감을 엄마에게 말한 것이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엄마, 내가 아빠에게 정말 솔직하게 한국에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라고 말했어."

지하철이나 거리나 사람들이 북적대서 불편함을 느낀 딸아이의 인상이었다. 아빠에게 "한국에는 사람이 너무 많다."라고 말하는 것이 조심스러웠던 것이다. 그래서 딸아이는 "정말 솔직하게"라는 표현을 붙었다.

어제 아침 학교에 가기 전 부엌에서 두 모녀가 아침을 먹으면서 이런 대화를 했다고 아내가 전해주었다.

"엄마, 내가 크면 한국 여자들처럼 살고 싶어."
"어떤 점이 좋아서 그렇게 생각하는 데?"

"한국 여자들은 일하러 가지 않고 집에 있잖아."
"그럼 죽을 때까지 누가 먹어살리나?"

"남편이지."
"남편이 먼저 돌아가면 어떻하지?"

"그러게."
"남편이 아내보다 더 늦게 돌아가도록 신(神)과 계약할 필요가 있겠다."

"엄마, 신과 어떻게 그런 계약을 할 수 있어? 더 좋은 방법이 없을까?"
"평생 일하지 않아도 먹고살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남자를 남편으로 맞이하는 것이지."

"그럴려면 어떻게 해야지?"
"지금부터 열심히 공부하고 바르게 살다보면 그런 남자를 만날 수 있지."

"그래도 어려울 것 같은데. 그냥 나도 크면 엄마처럼 일하고 살아야겠다."
"그래. 그게 정답이야!"
 
이 대화를 전한 아내에게 말했다.
"일하는 한국 여자들도 많이 있다고 당신이 딸아이의 생각을 고쳐주었어야지."
"아마 주변 한국 여자들과 한국에서 만난 여자들이 집에 있는 것을 보고 그런 인상을 받은 것 같아."

▲ 얼마 전 덕숭궁에 찍은 사진. 꿈을 그리는 모습이라면서 딸아이가 아주 좋아하는 사진이다.
 

초등학교 담임 선생님도 여자, 엄마를 비롯해 음악학교 선생님들도 모두 여자인 환경 속에서 딸아이가 배우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일하지 않고 사는 것으로 딸에게 비친 한국 여자들이 부러움으로 다가온 것 같다. 하지만 일생을 일하지 않고 편하게 살고 싶어하는 딸의 이런 꿈은 신(神)과의 계약, 부자 남자 만나기 등의 엄마 주장에 부서지고 말았다.

딸아, 부모 의지, 남편 의지 그리고 자녀 의지에 벗어나 꼭 자립하는 여자로 살기 바란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0. 6. 8. 07:41

사용자 삽입 이미지
리투아니아 6월 첫 번째 일요일은 아버지날이다. 5월 첫 번째 일요일 어머니날에 비해서는 성대하지가 않다. 어머니날에는 딸아이가 꽃선물을 하느라 부산을 떨었지만, 아버지날은 그냥 "아빠, 사랑해!"로 말선물만 했다. 말선물만으로 부족하다고 생각했는지 식두들은 놀이선물을 생각해냈다.

우리집 아파트 발코니에는 다트판이 걸려있다. 아내와 딸들이 우르러 몰려와서 식구 전부가 다트놀이를 하자고 했다. 올해 들어 처음으로 가족 모두가 놀았다. 이어서 점심을 먹은 후 아내와 딸아이 요가일래와 함께 인근 공원에 산책갔다. 엄마와 아빠 사이에 가고 있던 요가일래는 갑자기 아빠 손과 엄마 손을 서로 잡게 하고는 앞으로 빠져나갔다.

"지금부터 저기까지 두 사람이 손을 꽉 잡고 간다. 놓으면 안 돼!"

모처럼 아내 손을 잡고 걸어가니 기분이 묘하면서도 쑥스러웠다. 마침 우리 앞에는 비둘기 네 마리가 먹이를 찾아 거리를 따라 종종 걸음으로 가고 있었다. 쑥스러움을 털어버릴 수 있는 순간이었다. 잡고 있던 아내 손을 놓았다.

"아빠, 손 놓으면 안 돼. 다시 잡아!"
"야, 손 잡고 가니 비둘기에게 미안해."라는 궤변을 늘어놓았다. 사실 길이 좁아서 두 사람이 손을 잡고가면 다른 사람들에게 불편을 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아빠 말이 맞아. 비둘기가 질투하기 전에 손을 놓는 것이 좋겠다."라고 아내가 맞장구쳤다.

각설하고, 나이가 점점 들어가니 부부 말싸움이 잦아지고 있다.

상황 1
"욕실에 가는 길에 면봉 좀 가져와."라고 아내가 말한다.
친절을 베푼다고 아무 말 없이 이쑤시개를 가져다 준다.
"아니, 면봉을 가져오라고 했는데 왜 이쑤시개를 가져와!"
"나는 면봉이 아니라 이쑤시개라고 정말 들었어."
"아니, 금방 들은 말도 잊어버려?"
"아니, 금방 말한 말도 잊어버려?" 이렇게 구절이 이어질수록 목소리는 점점 커진다.

이런 경우 누가 맞고 틀리는 지를 분명하게 알려주는 블랙박스 같은 기록장치가 사람마다 하나씩 가지고 있었으면 좋겠다고 절실히 느낀다.  

상황 2
일요일 아내가 삼겹살을 구웠다. 부엌에서 굽는 것을 보면서 내가 먹을 만큼을 접시에 담았다. 그리고 거실  식탁에 와서 먹고 있었다. 아내도 접시를 들고 왔다. 맛 있으니 양이 적은 듯했다.
"삼겹살 더 있어?"
"굽지 않은 삼겹살이 더 있어!"
"그럼, 더 안 먹을래."
"직접 굽는 것이 싫어서 그래?"
"당연하지."
"부엌에 와서 눈으로 직접 굽는 장면을 보고도 고기가 얼마 남았는지를 기억 못해서 물어? 구운 삼겹살이 아직 남았으니까 가서 먹어."


이렇게 말싸움이 늘어나는 이유는 한 말도, 들은 말도 금방 잊어버린다. 기억력이 점점 둔해지기 때문이다. 내가 생생하게 듣기로는 A인데, 말한 사람은 B라고 한다. 내가 분명하게 A라고 말했는데 들은 사람은 B라고 한다. 상대방 말을 정확하게 끝까지 들으려 하지 않고, 내가 생각하는 대로 대충 들으려 하기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긴다.

일전에 한 모임에서 들은 친구 이야기이다. 아내와 함께 다른 친구의 비싼 차를 직접 몰고 대형마트에 갔다. 장을 다 보고 주차한 곳으로 오니 차가 없었다. 등에는 벌써 식은 땀이 줄줄 흘렀다. 자기 차도 아니고 남의 차인데, 그것도 비싼 차인데...... 이들 부부는 넓은 주차장을 샅샅이 뒤졌지만 찾지를 못했다. 당황함 속에 잠시 숨을 가다듬었다. 혹시 대형마트 뒷쪽에 있는 주차장이 아닐까? 가서 보니 그곳에 차가 있었다. 들으면서 웃음이 나왔지만, 남의 일 같지가 않았다.

나는 분명이 이렇게 했는데 (혹은 했다고 생각하는 데) 결과는 저렇게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진다. 나이가 들면 이런 갑다 생각하고 살아간다. 그래서 늘어나는 말싸움이지만 오래 가지가 않는다. 바로 내가 반박할 순간에 내 입을 닫아버리기 때문이다.
 
딸의 생일잔치로 부모가 외박하다
한국은 위대한 나라 - 리투아니아 유명가수
공부 못한다고 놀림 받은 딸에게 아빠 조언
아빠가 한국인이라서 안 좋은 점은
한국에 푹 빠진 리투아니아 여대생
세계 男心 잡은 리투아니아 슈퍼모델들
피겨선수 김레베카 폴란드에서 2년 연속 우승
다문화 가정의 2세 언어교육은 이렇게
아빠와 딸 사이 비밀어 된 한국어

Posted by 초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