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클라이페다에 살고 있는 친구 아루나스로부터 전화가 왔다. 내용인 즉 "주말에 별장 지붕용 갈대 베기를 하니 구경삼아 도와달라"는 것이었다. 조선회사의 중견간부로 일하고 있는 아루나스(46세)는 훤칠한 키에 잘 생긴 얼굴을 가진 노총각이다. 이날 갈대 베기에 동참한 15여 명의 친구들은 대부분 노처녀·노총각들이었다.
다소 추운 날씨에 2~3미터나 되는 갈대를 베고 나르고 묶는데 모두 열심히 일했다. '참'으로는 샌드위치, 맥주 그리고 훈제된 고등어 등이 준비되었다. 갈대 베기를 마친 우리는 곧 허름한 집의 낡고 긴 탁자에 둘러앉았다. 삶은 감자와 함께 먹은 '붉은 사탕 무국'은 정말 맛있었다. 벽난로에 타오르는 장작불은 별장냄새를 물씬 풍기게 했다.
대개의 주말모임이 그렇듯 이날도 남자들은 알코올농도가 40~50도에 이르는 보드카, 여자들은 포도주를 마시며 흥을 돋웠다. 술기운이 무르익자 다들 기타반주에 따라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 일반적으로 리투아니아인들은 술을 강제로 권하지도 않고, 돌아가면서 노래도 시키지 않는 것이 우리와는 다르다. 또 매번 잔을 다 비우지 않고 술을 조금씩 남겨두는 것이 예의이다.
분위기를 포착해 이들 노처녀·노총각들의 결혼관을 한 번 물어보았다. 우선 이들은 부담스러운 '애인'이라는 말보다는 편안한 '친구'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이들은 말이 '처녀·총각'이지 따지자면 '미혼녀·미혼남'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다. 사귀기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동거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아루나스와 동거하고 있는 아스타(26세)는 "늙은 노총각을 사귄다"고 또래 친구들로부터 핀잔을 듣거나, 부모의 반대시위에 부딪혀 본 기억이 전혀 없다. 오히려 아버지는 자기 친구 같은 예비사위를 얻게 되어 기뻐할 정도라고 한다. 그녀는 그저 사랑으로 아루나스를 선택했을 뿐이지 '나이가 많다'는 선입관 같은 건 전혀 없었다고 한다. 그녀는 "사랑에는 외형적인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부모도 결혼을 일체 강요하지 않는다고 한다. 애인이나 배필을 선택할 때 우선 나이 차이나 외형적 조건을 따지면서 선택의 폭을 스스로 좁히는 사람들과는 큰 차이를 보여준다.
노총각 요나스는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여성을 이성으로 보았고, 16세 때 첫사랑을 하고 지금까지 다섯 번 사랑을 경험했다고 한다. 그는 한 번 이별한 후 보통 1년 반이나 그 여운이 남는다고 한다. 요나스는 현재 잉가(33세)와 사귀고 있지만, 사랑과 결혼을 결부시키지 않는다. 그는 "사랑은 결혼보다 상위개념이죠"라고 힘주어 말한다. 아스타 또한 "아루나스를 깊이 사랑해요. 그와 같이 있으면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나요?"라고 반문한다.
흔히들 사랑을 하면 그것을 안전하게 지속시키기 위해 결혼을 하고, 결혼을 하면 또 그 사랑의 열매를 맺기 위해 자식을 낳는다. 하지만 아스타와 요나스는 결혼이 절대적으로 안전을 보장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이들은 서로 사랑하고 같이 살면서도 서로 구속하지 않는 삶을 더욱 선호한다. 그래서 '결혼'이라는 말을 서로 꺼내기를 꺼린다고 한다.
리투아니아인들은 주거여건만 갖추어지면 사랑하는 사람과 동거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그래서 '결혼=동거'라는 등식보다는 '사랑=동거'라는 등식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니 혼전 성관계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으며, 학교의 성교육도 순결교육보다는 사랑과 피임에 관한 교육에 더 치중한다. 이날 만난 노처녀·노총각들은 결혼해서 가정을 꾸리고 안정적으로 살아가는 것보다는, 함께 지내면서 자유롭게 사랑을 나누는 것을 더 즐기고 있었다.

▲ "사랑이면 족하죠, 뭐!" 결혼에는 별생각 없는 리투아니아의 세 노총각들
▲ 나이차이가 20년이나 되는 이들은 몇 년 후에 결혼해 아들 둘을 낳고 행복하게 살고 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그렇게 따지면, 이슬람의 1부4처제도 이해하시 겠네요.
2011.06.27 22:16 [ ADDR : EDIT/ DEL : REPLY ]사회적으로 4명의 마누라가 남편에게 불만이 없으니까.
본받아야 겠네요?
그렇게 따지면, 인도의 사티 풍습도 이해하시 겠네요.
남편이 죽으면, 여자가 스스로 자신의 몸을 태워서 자살하고, 불만이 없으니까.
본받아야 겠네요?
한국도 과거 조선 시대에
나이 많이 먹은 노인들이 무병장수 한다고,
나이 어린 여자들 첩질한 것으로 압니다.
근대화 시기, 최근까지도 일본 노인네 현지처도 많고,
동남아 가면, 늙은 백인들이 10살짜리 여자 아이들 돈주고 사서,
첩질하고 다니죠..
참.. 보기 좋으시겠네요?
리투아니아의 현상에 대해서 불만이 라는 것이 아닙니다.
한국의 사회적 가치관은 그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서 발생한 겁니다.
한국의 모든 것을 차별이니, 외형만 따지니로 몰아가지 마세요.
안그래도, 요새 원조교제가 퍼지고 있어서, 사회적으로 막아보려 애쓰는 데..
이건뭐..>
2011.06.29 17:01 [ ADDR : EDIT/ DEL ]삽질 좀 하지 마시지.
내가 여자로 보이나?
어떻게 하면, 지멋대로 헛다리 짚고 헛소리 하는지?
장인과 사위가 동갑인 것을 그냥 소개하면 몰라도,
그걸 한국에 아름다운 현상으로 주입시키려니까.
그 위험성을 블로그 주인장에게 말한 거다.
어디서 여자한테 한소리 듣고 엉뚱한 데서 화풀이 하는지.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동갑이면,
퍽이나 아름다워 보이겠네요? 응?
이렇게 했어야 니가 삽질하지 않고 만족했겠나?
가장 무례한 것은 반말이나 비난이 아니다.
반대 의견을 말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지.
그리고 그런 의견 봉쇄를 예의 존중이라고 하는 것이 코미디.
다른 의견이 있으면 정중하게 이건 이렇다 라고 말씀하시지 제가보기에도 시비조로 보이네요.님답글에 답글달리니 님도 삽질하지말라잖아요 님도 그만 삽질하세요. 아는척하는 가식적인 악플러로밖에 안보입니다.
2011.06.30 22:13 [ ADDR : EDIT/ DEL ]저 역시 지나가다 글 남깁니다.
2011.06.30 22:20 [ ADDR : EDIT/ DEL : REPLY ]...님의 댓글을 보자면 욱해서 싸지른 뭐 같군요. 블로거 둘러보니 리투아니아에 살면서 다분화 가정을 일구고 사는 분의 문화체험 내지는 소개 정도가 주제 같은데 충분히 리투아니아 문화의 관점에서도 설명을 할 수 있는 부분 아니겠어요? 현지에 살고 계신 분이니까요.
그리고 위에 '이 건 뭐'님의 말은 문화의 상대성은 다르다는 것 뿐이지 결코 상하관계가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죠. 다시말해서 다른 나라의 문화를 가지고 이러쿵 저러쿵 평하려 들 지 말라는 말이죠.
그리고 한국에 아름다운 현상으로 주입을 시켜요? 억지좀 부리지 마세요.
...님의 논리와 어투를 보자면 그 어떤 상황에서도 본인의 말은 틀리지 않겠구나 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기본적으로 논거에 맞지 않는 특정한 사례를 반복하며 마치 본인의 주장이 맞다는 듯한 뉘앙스를 풍기는 댁같은 분들 보면 참 답답해요.
국어 공부를 다시 하시던가 아님 도덕책을 펴시던지요.
이해가 안 가죠?
다시 읽어보세요 ... 님 본인이 남긴 글이랑 이건뭐 님이 예를 들어 얘기한 것이랑 어떤 차이가 있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