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월 중순 한국에 2주 동안 체류하다 돌아왔다. 그때 리투아니아인 아내가 신신당부한 물건이 하나 있다. 혹시 한국에서 친척과 친구들과의 진한 만남 속에 잊어버리지는 않을까 걱정해서 메일과 대화로 자주 상기시켰다.
리투아니아엔 없는 그 물건은 바로 들깨 씨이다. 아내가 한국을 몇 차례 방문하면서 먹어본 한국 반찬 가운데 가장 맛있는 것 중 하나가 깻잎장아찌이다. 그래서 몇 해 전 한국에 가서 가져온 들깨 씨를 시골 장모님 텃밭에 심기도 했다. 그때 지인과 인터넷에서 요리법을 배워 처음으로 깻잎장아찌를 직접 만들어보았다. 그 덕분에 가까운 친구나 친척들도 깻잎장아찌를 맛볼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올해는 같은 도시에서 사는 친척 한 명이 단독주택으로 이사를 해서 넓은 마당을 갖게 되었다. 채소를 같이 키워 나눠먹자고 제안을 해 아내는 더 더욱 들깨 씨를 종용했다. 한국에 있으면서 마침 큰 형수님의 친척이 들깨 농사를 짓는 사람이라 쉽게 구할 수 있었다.
드디어 지난 5월 3일 가져온 들깨 씨를 텃밭에 심었다. 삽으로 땅을 파고, 뒤집고, 고른 후 골을 파서 씨를 뿌렸다. 육체적으로는 힘든 하루였지만, 아내에게 좋아하는 깻잎장아찌를 만들어줄 수 있고, 또한 주위 사람들에게 깻잎의 효용성을 언급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과 한국 사람들을 알리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마음만큼은 즐거웠다.
깻잎이 하루 빨리 세상 밖으로 나오길 기대한다.
|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비밀댓글입니다
2008.05.11 09:09 [ ADDR : EDIT/ DEL : REPLY ]리투아니아엔 대체로 땅이 비옥하지 않죠. 정말 대풍이 될 지 한번 봐야겠습니다. 글 올릴께요. 그럼, 좋은 하루 보내세요 (리투아니아어로 geros dienos: 게로스 디에노스).
2008.05.11 15:47 신고 [ ADDR : EDIT/ DEL ]저희 집은 옥탑방 전세인데요, 화분을 두고 들깨, 상추, 고추, 토끼풀들을 길러 먹습니다. 풍흉은 농사꾼 하기 나름이라고 봅니다. 고려인들은 중앙아시아에서 벼농사를 성공시키지 않았습니까?
2008.05.11 19:05 [ ADDR : EDIT/ DEL : REPLY ]들깨농사를 결과를 가을에 알려드리겠습니다.
2008.05.15 06:39 신고 [ ADDR : EDIT/ D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