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얘기2013. 7. 31. 06:56

한 달 전에 집 근처에 있는 이발소를 갔다. 그런데 지난 10년 동안 내 머리카락을 깎아주던 여자 이발사가 직장을 그만두었다고 했다. 물어보니 중년인 그녀는 보다 나은 삶을 위해 외국으로 나갔다. 

그 대신 새로운 젊은 여자 이발사가 일을 하기 시작했다. 얼마나 만족스럽게 이발을 잘 해줄까 궁금했다. 하는 법을 거울로 보니 아직 서툴렀다. 그리고 결과는 영~ 아니였다. 가격도 지난 번보다 2000원이 더 비쌌다. 한국돈으로 약 1만 1천원이다. 결과는 불만족이고, 가격은 상승했으니 새로운 또 다른 전용(?) 이발사를 찾아야겠다는 생각을 들게 했다. 

지난 주말 리투아니아와 접해있는 폴란드 작은 도시 푼스크를 다녀왔다. 마침 이발을 해야 할 때였다. 그래서 현주인 친구와 함께 이발소를 방문했다.       


자신의 단독주택 1층에 이발소를 운영하고 있었다. 잘 다듬어진 정원을 보니 이발도 깔끔하게 잘 해줄 것 같은 기대감이 들었다.   


이날 세 친구가 연이어서 이발을 했다. 놀라운 것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가격이고, 다른 하나는 속도였다. 가격은 12즐로티(약 4200원)로 리투아니아보다 훨씬 적었다. 속도는 참 빨랐다. 리투아니아에서는 보통 30분에서 45분이 소요된다. 그런데 여기에서도 약 15분이 소요되었다. 이날 지켜보니 1시간만에 남자 4명을 이발했다. [관련글: 유럽에서 이발하기]

유럽에서 20년 이상 살면서 이렇게 빨리 이발해주는 사람은 처음 만났다. 신기해서 이발하는 광경을 아래 동영상에 담아보았다.  


이발할 때에는 나도 모르게 꾸벅 조는 습관이 있다. 그런데 15분만에 끝나는 이런 이발에는 졸 시간도 없었했다. 빠른 손놀림에 감탄을 하다보면 금방 시간이 지나갔다. 우리 남자 셋은 폴란드 시골 여자 이발사의 이발에 모두 만족해 했다.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13. 7. 29. 07:10

지난 주말 리투아니아와 폴란드 접경 지대 푼스크(Puńsk, Punskas)를 다녀왔다. 폴란드 영토인 푼스크는 인구가 천명이고, 80% 이상이 리투아니아인이다. 일명 폴란드내 리투아니아인 수도로 불린다. 

바르샤바에 살고 있는 친구의 처가가 바로 이 동네에 있다. 우리가 바르샤바까지 가기에는 멀어서 그의 처가집에서 만나기로 했다. 

친구는 모처럼 방문한 우리를 이 지역의 유명 관광명소로 안내했다. 그 중 하나가 폴란드에서 가장 높은 철도 다리로 알려진 스탄치키(Stańczyki)이다. 이 마을은 2차 대전까지 독일(동프로이센)에 속했다.


다리의 총 길이는 200미터, 높이는 36미터, 다섯 개의 아치로 구성되어 있다. 각 아치의 길이는 15미터이다. 다리는 두 개로 되어 있는데 북쪽 다리는 1912-1914년, 남쪽 다리는 1923-1926년에 세워졌다. 지금은 철도가 폐쇄되었고, 관광상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다리 위를 걸어보고 주변을 산책하는 데 입장료가 4즐로티(약 1500원)이다. 


이날 날씨가 몹시 덥고 또한 36미터 위로 올라가야 하므로 초등학생 딸아이 요가일래가 몹시 힘들어했다. 그런데 갑자기 딸아이는 재미난 발상 하나를 떠올렸다. 땋은 머리를 좌우로 흔들면서 생기있게 다리를 건너기 시작했다. 
 

게으름이나 핑계를 찾아서 다리 위로 올라가지 않겠다고 딸아이가 선언할까봐 조마조마했는데 이렇게 가쁜한 걸음을 해준 딸아이가 고마웠다. 이것이 기끼어 명소를 안내하고 있는 폴란드 친구의 성의에 보답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땋은 머리를 좌우로 흔들면서 가는 딸아이의 모습이 웃음을 자아냈다. 마치 땋은 머리가 기관차가 되어서 더위에 지친 딸아이의 몸믈 견인해 철도 다리를 건너게 해주는 듯했다. 

Posted by 초유스
영상모음2009. 5. 18. 08:39

폴란드 북동지방 푼스크는 구릉지와 호수 등으로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하다. 최근 이곳에 고대 프러시아인들의 거주지가 재현되어 화제를 모우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대 프러시아인들은 지금의 리투아니아 네무나스 강과 폴란드의 비스와 강 사이에 살았던 민족으로 발트인에 속한다. 이들은 13세기 독일 기사단에 예속되었다. 1511년 독일 기사단령은 프로이센 공국으로 되었고, 호엔촐레른가(家)가 지배하게 되었다. 이후 이 지역은 프로이센 왕국에 속하다가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폴란드, 러시아, 리투아니아로 나눠지게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거주지를 재현해낸 사람은 페트라스 루코쉐비츄스(아래 첫 번째 사진)이다. 그는 역사학자와 고고학자들의 자문을 얻어 13세기 건축물 등을 10여년에 걸쳐 손수 짓고 있다. 이곳에는 벌써 성채, 다리, 울타리, 망루, 주택 등이 세워져 있다. 고대 프러시아 거주지를 이렇게 재현함으로써 그는 사라진 과거 역사를 다음세대 사람들에게 전하고자 한다. 특히 대문에 도끼 4개를 묶어 동서남북을 표시한((아래 두 번째 사진)) 것이 인상적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는 특히 목조건물을 짓는데 쇠로 된 못을 쓰지 않고, 또한 건축자재인 목재는 영하 10도 이상인 겨울날에만 톱으로 자르는 등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이렇게 수백 년이 지난 후에야 한 개인의 의지와 노력으로 고대 프러시아 삶의 터전이 되살아난 것에 대해 깊은 감명을 받았다. 이런 사람들이 있기에 지나간 역사도 이렇게 다시 빛을 발할 수가 있음은 확인하게 되었다. 고대 프러시아 거주지 재현 현장을 아래 영상에 담아보았다.



* 관련글: 술마신 후 빵냄새를 맡는 까닭은

Posted by 초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