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얘기2017. 3. 27. 07:06

남녀가 함께 사는 공간에 
화장실을 놓아두고 서로 얼굴 붉힐 일이 없지는 않을 듯하다.
우리 집 네 식구 중 나 홀로 남자다. 
식구가 다 같이 사용하는 화장실에서 
조심한다고는 하지만 어찌 매번 성공하지는 못한다.

때로는 흔적을 내가 남기지 않은 듯한데
아내로부터  바가지를 긁힌다. 

"누가 또?"
"내가 아닌데."
"그럼, 우리 집에 남자는 당신밖에 없잖아."
"어찌 꼭 남자만 흔적을 남길까..."
"한 번만 더 눈에 띄면 이젠 당신이 화장실 청소해야 해!!!"

사실 화장실 청소라면 자신 있다.
20대에 3층 건물에 살면서 
3년 동안 아침마다 화장실 4개를 청소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당신도 이제 우리처럼 한번 앉아서 해봐."
"남자 소변기를 하나 설치하면 좋겠다."
"그냥 당신 습관 하나 고치면 되지. 뭘 돈을 써?!"

우리 집만 그런 것이 아니다.
지난 해 한국에 갔을 때 
남녀가 같이 사용하는 화장실에 이런 안내문을 보았다.

선남자(善南子)는 앉아서 소변봅니다.


화장실 청소 하기가 싫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 
정말 습관 하나 고쳐보자고 다짐을 했다. 
그래서 지난 6개월 선남자가 되어 보았다.

결론은 서서보다는 앉아서 소변보는 것이 이제는 훨씬 더 편하다.

화장실 문을 열면 바지를 내리기 위해 
두 손이 먼저 바지 양쪽을 잡는다.

앉아서 소변을 보기 시작한 부터는 자주 화장실 전등을 켜지 않는다.
좌변기 위치는 발이 스스로 알고 있으니 굳이 불이 필요하지가 않다.

정말 아내의 말대로 
남자 습관 하나 고치니 
친구 집에 따로 설치된 남자 소변기가 이제는 더 이상 부럽지가 않다.

문제는 우리 집을 찾는 손님 중 남자가 있을 때이다. 
특히 꼬마 남자 손님이다. ㅎㅎㅎ

* 에스토니아 탈린 공항 화장실에서 나가는 문 - 당신을 지퍼(쇠줄닫이)를 확인했나요?

남자 손님 방문시 화장실에
"이 집 주인 남자는 앉아서 봅니다"
혹은
"우리집은 선 남자보다는 앉은 남자를 더 선호합니다"라는 
안내문을 붙일까 고민 중이다.
Posted by 초유스
다음첫면2015. 1. 19. 05:52

유럽인 친구와 함께 잠시 한국에 와 있다. 
충남 산 속에서 열리는 국제 행사에 참가하고 있다. 
따뜻한 햇살로 아기자기한 산들 위로 내려다보는 파늘 하늘이 참으로 멋지다,


한국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이런 쾌청한 겨울날이 감동으로 다가오지 않지만
우중충한 구름낀 날로 가득찬 겨울을 지내야 하는 북쪽 유럽 사람들에게는 인상적이지 않을 수가 없다.

밖에는 파아란 하늘이요, 안에는 따끈한 바닥이 이 유럽인 친구의 찬탄을 자아내었다.
건물 안에서는 실내화를 사용하고 있다. 

사전에 친구에게 알려주었다, 한국의 방에는 복도에서 싣는 실내화를 벗고 방으로 들어간다고... 

나와 함께 방에 들어갈 때는 나를 따라 그도 방문 앞에서 실내화를 벗고 들어갔다.

그런데 방에서 아뿔싸...

어느 순간 방바닥에 다리를 뻗고 뭔가 적고 있는 그 모습을 보게 되었다.


복도와 건물 근처에서 신고 다니는 실내화가 그의 발바닥에 여전히...



"어~~ 친구야."

"왜?"

"네 발 좀 ㅎㅎㅎ"

"앗, 내 정신 좀 봐."

"그처럼 습관이 참 무서운거야."


유럽 생활 초기에 현지인 친구들의 집 문을 열고 들어가면 깨끗한 마룻바닥이라 신발을 벗으려고 했다. 그럴 때마다 실내화를 싣고 있는 현지인들도 그냥 신발을 벗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종종 우리 집에 소포를 가져오거나 전기나 가스를 점검하는 사람들이 찾아온다. 아파트 현관문에서 신발을 벗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는 사람도 있다. 후자의 사람들에게 "우리 집은 신발을 벗어야 돼요."라고 말하기가 쉽지가 않다. 그 사람이 나간 후 방이니 복도를 청소하는 것이 마음적으로 더 편하기 때문이다. 


유럽인이 한국의 집에 손님으로 와서 비록 사전 알림을 들었을지라도 습관으로 인해 신발이나 복도용 실내화를 신고 방안으로 들어오기가  쉽겠다. 습관의 위력이다. 그러니 낯선 곳에서의 처신에는 자기점검이 더 절실하다.


Posted by 초유스
다음첫면2015. 1. 8. 06:00

며칠 전 리투아니아 은행을 다녀왔다. 요즘 여기 은행은 어느 때보다 사람들로 붐빈다. 왜냐하면 환전 때문이다. 아직 관광철 아닌데 벌써 환전이라니... 바로 유로 도입 때문이다. 리투아니아 는 2004년에 유럽연합에 가입한 이후로 2015년 1월 1일 0시 0초부터 19번째 국가로 공동화폐인 유로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래서 집에 소지하고 있던 리투아니아 화폐를 가져와 유로로 환전하는 일 때문에 사람들로 가득 차 있었다. 평소 번호판을 받고 약 5-15분 기다리면 은행 창구에 가서 일을 처리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날은 30분이 지나도 내 번호를 부르는 신호음이 들지 않았다, 

* 요즘 리투아니아는 유로 도입으로 은행이 분주한 때


정확하게 50분이 지나자 내 번호가 전광판에 떴다. 갑자기 왼쪽 팔이 엄청나게 아파진 것을느겼다. 기다리면서 움직이지 않고 전화로 인터넷을 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아파보기는 처음이었다. 그만큼 오래 기달렸다는 말이다.  

창구 직원한테 가서 일처리를 부과받은 숫자를 써서 보여주었다. 아래 사진에서 숫자 7과 1은 보통 한국 사람들이 쓰는 것과는 약간 다르게 표기했다. 숫자를 읽어가던 직원은 숫자 4에서 막혔다.

"이게 무슨 숫자?"

순간 내 뇌리 속에 '분명하게 숫자 4를 썼는데 왜 물어보지?', '뭐가 잘못되었지?'가 떠올랐다. 그리고 '아차, 이렇게 쓰는 것이 아닌데 주의심이 부족했네.'라는 대답이 떠올랐다. 


바로 위에 붉은 색으로 동그라미를 한 것이 숫자 4이다. 어떤 사람들은 한치의 의문도 일어나지 않고 숫자 4로 알 것이다. 그런데 숫자를 다루는 은행원이 이를 못 알아보다니...

허참~~~ 

그럼 리투아니아 사람들을 비롯한 유럽 사람들에게는 어떤 숫자 4 표기에 익숙해져 있을까? 



바로 왼편에 붉은 원 안에 있는 숫자가 일반적으로 이들이 표기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나에겐 이런 표기가 숫자 4가 아니라 9로 보여지는 경우가 더러 있었다.  40유로 달라는 쪽지를 보고 90유로를 주는 실수를 범할 수도 있다. 유럽 사람들 사이에 어울려 살면서 특히 숫자 1, 4, 7에 각별하게 주의를 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날 은행에서 숫자 4 표기를 겪어보니 20여년 전 한국에서 겪었던 일이 생각났다. 당시 유럽에서 3년을 꼬박 살다가 일 때문에 한국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어느 날 필름을 사진관에 맡기고 인화할 수만큼 해당 필름에 숫자를 표기했다. 며칠 후 사진을 찾으려 갔는데 의외의 일이 기다리고 있었다. 
사진 봉투가 기대한 것보다 훨씬 두꺼웠다. 1장을 인화하라고 한 모든 사진이 7장으로 인화되어 있었다.
"아저씨, 1장 인화하라고 숫자 1(아래 사진 가운데)을 표기했는데 왜 7장을 인화했나요?"
"여기 봐요. 숫자 1이 아니라 숫자 7이잖아요."
"아, 제가 유럽에서 익숙해졌던 숫자 표기 때문이네요."

▲ 일반적으로 표기하는 숫자 1(왼쪽), 유럽 사람들이 흔히 표기하는 숫자 1(가운데), 유럽 사람들이 흔히 표기하는 숫자 7(오른쪽). 


한국의 사진관 아저씨가 가운데 숫자를 7로 읽었다. 사진관 주인은 내가 쓴 1자를 7자로 읽었던 것이다. 결국 이 1자 표기 때문에 사진값을 7배나 지불했다. 표기 실수에 대한 너무 비싼 수업료였다. 그 후 한국에서 1자를 쓸 때마다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했다. 1과 7, 그리고 4마저 현지 사람들이 익숙하게 쓰는 방법대로 해야겠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10. 8. 06:26

자주는 아니지만 종종 집으로 손님을 초대한다. 주로 생일이나 특별한 손님이 왔을 때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대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딸이 어렸을 때는 생일 때마다 일가 친척을 초대했다. 하지만 10살이 넘어서자 친척은 커녕 부모와도 함께 생일잔치를 하는 것을 꺼린다.


또한 나이가 드니 자기 생일 챙기려는 마음도 예전 같지가 않다. 보통 유럽 사람들은 특히 50주년 생일은 아주 성대하게 치른다. 그런데 차일피일 미루다가 이마저도 생략하게 되었다. 

집에 잔치하려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걱정은 
무슨 음식을 준비하지
설겆이는 어떻게 하지다.

보통 소규모는 10명 내외, 대규모는 20명 내외다. 이런 부담감 때문에 허물없는 친구들을 초대할 경우는 '맥주 모임'을 열곤 한다. 이는 각자가 마실 술이나 먹을 간단한 음식을 가져오는 것이다. 우리는 커피나 차, 그리고 약간의 음식만 준비하면 된다.

* 현지인을 초대해 2012년 설을 함께 보냄 

집에서 큰 잔치를 한 지 오래되어서 그런가 최근 아내가 집으로 초대한 한국 손님과 유럽 손님간 차이를 기억하면서 한마디 했다. 우리 집에는 현지 유럽인들뿐만 아니라 한국 손님들도 더러 온다. 그렇다면 가장 큰 차이가 무엇일까? 

부엌일 협력이다.

유럽 손님들은 초대한 시각에 맞춰 온다. 그리고 끝나면 식탁에서 그대로 일어나 집으로 돌아간다.
한국 손님들은 잔치가 끝날 쯤 식탁에 있는 음식이나 그릇 등을 우리와 함께 정리한 후에 돌아간다.
물론 이는 절대적인 차이는 아니다. 우리 가정이나 주변에서 겪은 경험일 뿐이다.

특별히 부탁하지 않은 이상 아주 가까운 친척 손님도 마찬가지이다. 음식 준비와 뒷정리는 초대한 집 주부가 혼자 다 한다. 왜 그럴까? 남의 집 부엌에 들어가서 함부로 하지 않는 것이 습관화되어 있기 때문이 아닐까. 괜히 거들다가 남의 집 부엌을 오히려 어지럽힐 수도 있겠다.

그런데 이것이 꼭 나쁘지만은 않다. 왜냐하면 우리가 초대받아 갈 경우 우리도 조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제시각에 가서 끝나면 곧장 집으로 돌아오면 된다.

"한국 손님이 좋아? 아니면 리투아니아 손님이 좋아?"라고 아내에게 물었다.
"한국 손님들은 우리 부엌을 꼭 자기 부엌처럼 여겨서 음식을 준비하고 설겆이를 하는 것을 도와주니까 좋아. 마치 주인처럼."
"그럼, 요가일래(딸)는 어느 쪽을 더 닮으면 좋을까?"
"물론 한국 쪽이지."

부엌을 좀 어지럽히고, 잠시 주인 행세를 하더라도 음식 준비와 설겆이 등을 즐겁게 도와주는 한국 손님들이 리투아니아인 아내에게 더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Posted by 초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