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첫면2015. 1. 8. 06:00

며칠 전 리투아니아 은행을 다녀왔다. 요즘 여기 은행은 어느 때보다 사람들로 붐빈다. 왜냐하면 환전 때문이다. 아직 관광철 아닌데 벌써 환전이라니... 바로 유로 도입 때문이다. 리투아니아 는 2004년에 유럽연합에 가입한 이후로 2015년 1월 1일 0시 0초부터 19번째 국가로 공동화폐인 유로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래서 집에 소지하고 있던 리투아니아 화폐를 가져와 유로로 환전하는 일 때문에 사람들로 가득 차 있었다. 평소 번호판을 받고 약 5-15분 기다리면 은행 창구에 가서 일을 처리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날은 30분이 지나도 내 번호를 부르는 신호음이 들지 않았다, 

* 요즘 리투아니아는 유로 도입으로 은행이 분주한 때


정확하게 50분이 지나자 내 번호가 전광판에 떴다. 갑자기 왼쪽 팔이 엄청나게 아파진 것을느겼다. 기다리면서 움직이지 않고 전화로 인터넷을 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아파보기는 처음이었다. 그만큼 오래 기달렸다는 말이다.  

창구 직원한테 가서 일처리를 부과받은 숫자를 써서 보여주었다. 아래 사진에서 숫자 7과 1은 보통 한국 사람들이 쓰는 것과는 약간 다르게 표기했다. 숫자를 읽어가던 직원은 숫자 4에서 막혔다.

"이게 무슨 숫자?"

순간 내 뇌리 속에 '분명하게 숫자 4를 썼는데 왜 물어보지?', '뭐가 잘못되었지?'가 떠올랐다. 그리고 '아차, 이렇게 쓰는 것이 아닌데 주의심이 부족했네.'라는 대답이 떠올랐다. 


바로 위에 붉은 색으로 동그라미를 한 것이 숫자 4이다. 어떤 사람들은 한치의 의문도 일어나지 않고 숫자 4로 알 것이다. 그런데 숫자를 다루는 은행원이 이를 못 알아보다니...

허참~~~ 

그럼 리투아니아 사람들을 비롯한 유럽 사람들에게는 어떤 숫자 4 표기에 익숙해져 있을까? 



바로 왼편에 붉은 원 안에 있는 숫자가 일반적으로 이들이 표기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나에겐 이런 표기가 숫자 4가 아니라 9로 보여지는 경우가 더러 있었다.  40유로 달라는 쪽지를 보고 90유로를 주는 실수를 범할 수도 있다. 유럽 사람들 사이에 어울려 살면서 특히 숫자 1, 4, 7에 각별하게 주의를 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날 은행에서 숫자 4 표기를 겪어보니 20여년 전 한국에서 겪었던 일이 생각났다. 당시 유럽에서 3년을 꼬박 살다가 일 때문에 한국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어느 날 필름을 사진관에 맡기고 인화할 수만큼 해당 필름에 숫자를 표기했다. 며칠 후 사진을 찾으려 갔는데 의외의 일이 기다리고 있었다. 
사진 봉투가 기대한 것보다 훨씬 두꺼웠다. 1장을 인화하라고 한 모든 사진이 7장으로 인화되어 있었다.
"아저씨, 1장 인화하라고 숫자 1(아래 사진 가운데)을 표기했는데 왜 7장을 인화했나요?"
"여기 봐요. 숫자 1이 아니라 숫자 7이잖아요."
"아, 제가 유럽에서 익숙해졌던 숫자 표기 때문이네요."

▲ 일반적으로 표기하는 숫자 1(왼쪽), 유럽 사람들이 흔히 표기하는 숫자 1(가운데), 유럽 사람들이 흔히 표기하는 숫자 7(오른쪽). 


한국의 사진관 아저씨가 가운데 숫자를 7로 읽었다. 사진관 주인은 내가 쓴 1자를 7자로 읽었던 것이다. 결국 이 1자 표기 때문에 사진값을 7배나 지불했다. 표기 실수에 대한 너무 비싼 수업료였다. 그 후 한국에서 1자를 쓸 때마다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했다. 1과 7, 그리고 4마저 현지 사람들이 익숙하게 쓰는 방법대로 해야겠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4. 7. 17. 06:19

숫자를 셀 때 잊어버리지 않도록 표시한다. 흔히 손가락을 꼽으면서 센다. 투표에서 표를 셀 때 칠판에 바를 정자를 사용하던 일이 생생하다. 5획인 바를 정(正)자를 사용해 다섯을 표시한다.


일전에 라트비아에서 열린 에스페란토 국제행사에 참가했다. 접수 담당자인 라트비아 할머니의 계산 표시법이 눈길을 끌었다. 한 모양이 다섯이 아니라 열을 표시하고 있었다. 


먼저 네모 형태로 점을 차례로 찍어 4를 만들고, 점과 점을 이어 4을 만든다. 그리고 이어서 대각선으로 2를 만든다. 합이 10이다. 

할머니에 따르면 젊은 시절 직장에서 맡은 일이 강물따라 떠내려오는 목재를 세는 것이었다. 이때 목재 갯수를 이런 식으로 표시했다.



옆에 있던 한 라트비아 중년 남성도 자기도 오래 전부터 이렇게 숫사를 표시한다고 말했다. 한 번에 10을 표시할 수 있지만, 바를 정자에 너무 익숙해져 따라하기엔 늦은 듯하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1. 12. 20. 07:32

부도가 나지 않을 은행에 높은 이자율을 받고 자금을 안전하게 예치하는 것은 누구나 원하는 바이다. 최근 유럽연합 리투아니아의 한 은행이 부도가 났다. 2010년 가장 좋은 은행으로 평가받은 스노라스 은행(Snoras bankas)이라 사회적 충격이 더 크다.

피의자 신분인 은행 임원들은 정치적 희생양이라 주장하고 있지만, 여론은 이에 동조하지 않고 있다. 지급보증금 10만 유로 이상을 예금한 사람들은 하루 아침에 그 윗돈을 날릴 수 있게 되었다. 비록 그 동안 경제 위기와 유로 위기가 이어져 오고 있지만 은행 부도까지는 쉽게 예상하지 못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건전하다고 믿게 하고 믿어왔던 은행이 이렇게 아무런 사전 징후없이 부도가 나버리자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은행에 대한 회의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리투아니아 일간지에 실린 덴마크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 광고(아래 사진)가 시선을 끌었다.


 한국 사람들이 사용하는 숫자 표기로 2,012는 2천12이다.
1,000,000,000에서 보듯이 한국 사람들은 천 단위에 콤마를 찍는다.  
그러므로 2,012%는 2천12%로 읽을 수 있고, 은행 금리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높다. 정말일까?

사실이 아니다. 우선 숫자 2012가 주목을 끈다. 다가오는 2012년을 연상시킨다. 콤마(,)는 서양 사람들이 점(.) 대신에 소숫점을 표기할 때 사용한다. 6개월 정기예금 2,012%는 2천 12%가 아니라 2점012%이다. 유럽 사람들과 숫자 표기를 할 때 늘 이런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1. 8. 29. 08:19

신언서판(身言書判)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동양에서 옛부터 인물을 평가하는 척도로 강조되었다. 풍채, 말, 필체, 그리고 판단력이다. 누구나 어렸을 때 글씨를 또박또박 잘 쓰라라는 말을 들었을 것이다. 필체는 인격이라는 말도 있다. 학교 다닐 때 글씨를 잘 쓰보려고 부단히 노력한 적이 있었다. 

요즈음은 문서를 작성할 때 손으로 직접 써야 할 일이 거의 없다. 서체를 선택한 후 컴퓨터 자판기를 두들겨서 인쇄하면 된다. 이젠 손으로 글쓰기가 무척 낯설다. 유럽에 살다보니 로마자를 자주 쓴다. 특히 편지봉투에 주소를 필기체로 써고 난 후 제대로 우체부가 알 수 있는 지 확인하곤 한다.

특히 필기체 소문자 "L"이 "E", "A"가 "O"로 오인되지 않을까 유의한다. 유럽에서 문서을 손으로 작성할 경우 "대문자 인쇄체로 작성하라"라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다. 정확성을 요하기 때문이다.   

최근 폴란드 웹사이트 조몬스터에 올라온 사진이 눈길을 끌었다. 이는 폴란드 사람들이 편지봉투에 쓴 주소이다. 어떤 주소는 우체부 아저씨들이 해독하느라 고생을 많이 할 듯하다. 
[사진출처 | image source link]

▲ 폴란드 사람들이 편지봉투에 표기한 거리 이름과 도시 이름
 

이 사진을 보니 20여년 전 한국에서 겪었던 일이 떠올랐다. 당시 유럽에서 3년을 꼬박 살다가 일 때문에 한국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어느 날 필름을 사진관에 맡기고 인화할 수만큼 해당 필름에 숫자를 표기했다. 며칠 후 사진을 찾으려 갔는데 의외의 일이 기다리고 있었다. 

사진 봉투가 기대한 것보다 훨씬 두꺼웠다. 1장을 인화하라고 한 모든 사진이 7장으로 인화되어 있었다. 

"아저씨, 1장 인화하라고 숫자 1(아래 사진 가운데)을 표기했는데 왜 7장을 인화했나요?"
"여기 봐요. 숫자 1이 아니라 숫자 7이잖아요."
"아, 제가 유럽에서 익숙해졌던 숫자 표기 때문이네요."


▲ 일반적으로 표기하는 숫자 1(왼쪽), 유럽 사람들이 흔히 표기하는 숫자 1(가운데), 유럽 사람들이 흔히 표기하는 숫자 7(오른쪽). 한국의 사진관 아저씨가 가운데 숫자를 7로 읽었다.

사진관 주인은 내가 쓴 1자를 7자로 읽었던 것이다. 결국 이 1자 때문에 사진값을 7배나 지불했다. 그 후 한국에서 1자를 쓸 때마다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했다.
Posted by 초유스